"예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관서정보
+
{{단체정보
|사진=  
+
|사진=
|사진출처=  
+
|사진출처=
 
|대표명칭= 예조
 
|대표명칭= 예조
 
|한자표기= 禮曹
 
|한자표기= 禮曹
|이칭별칭= 남궁(南宮), 춘관(春官), 의조(儀曹)
+
|영문명칭=
|설치폐지= 1392년-1894년
+
|이칭= 남궁(南宮), 춘관(春官), 의조(儀曹)
 +
|유형=
 +
|창립자=
 +
|창립시대= 조선
 +
|창립일= 1392년
 +
|변경일=
 +
|해체일= 1894년
 
|주요업무= 예악, 제사, 연향, 외교, 학교, 과거 등
 
|주요업무= 예악, 제사, 연향, 외교, 학교, 과거 등
|주관의례= [[길례]], [[흉례]], [[군례]], [[빈례]], [[가례]]
+
|담당업무= [[길례]], [[흉례]], [[군례]], [[빈례]], [[가례]]의 모든 의례
|참가의례= [[제례]], [[책봉례]], [[혼례]], [[관례]], [[연향례]], [[등극례]], [[대사례]], [[상례]], [[영접례]]
+
|관련기관=
|소속관서=
+
|관련단체=
 +
|소재지=
 +
|웹사이트=
 
}}
 
}}
  
17번째 줄: 25번째 줄:
 
=='''내용'''==
 
=='''내용'''==
 
===업무===
 
===업무===
육조(六曹)의 하나로 [[남궁|남궁(南宮)]]ㆍ[[춘관|춘관(春官)]]ㆍ[[의조|의조(儀曹)]]라고도 한다. [[예조]]는 1392년 [[태조]] 원년에  설치되었으며,<ref>『增補文獻備考』 卷218, 「職官考」, <六官>, “禮曹”</ref>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갑오경장(甲午更張)]] 때 관제개편으로 폐지되었다.<ref>『고종실록』 31권, 고종 31년 6월 28일 계유 4번째 기사, ‘의정부 이하 각 아문의 관제를 개정하다.</ref><br />
+
육조(六曹)의 하나로 [[남궁|남궁(南宮)]]ㆍ[[춘관|춘관(春官)]]ㆍ[[의조|의조(儀曹)]]라고도 한다. [[예조]]는 1392년 [[태조]] 원년에  설치되었으며,<ref>『增補文獻備考』 卷218, 「職官考」, <六官>, “禮曹”</ref>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갑오경장(甲午更張)]] 때 관제개편으로 폐지되었다.<ref>『高宗實錄』 31년(1894) 6월 28일:「軍國機務處啓」.</ref> 1392년(태조 1) 제향ㆍ빈객ㆍ조회ㆍ과거ㆍ진헌 등의 업무를 보도록 규정하였고,<ref>『太祖實錄』 1년(1392) 7월 28일:「定文武百官之制」.</ref> 1405년(태종 5) 예악ㆍ제사ㆍ연향ㆍ과거ㆍ복축(伏祝) 등을 맡도록 규정하였다.<ref>『太宗實錄』 5년(1405) 3월 1일: 「禮曹詳定六曹分職及所屬以聞」.</ref> 이후 『[[경국대전|경국대전(經國大典)]]』에 예악ㆍ제사ㆍ연향ㆍ조빙ㆍ학교ㆍ과거 등을 담당하도록 규정되었으나 왕권이나 여타 관서와의 역학관계에 따라 업무가 변동되었다. [[예조]]의 위상은 [[태종]] 때까지 [[이조]]ㆍ[[병조]]ㆍ[[호조]]에 이어 4번째였다가 [[세종]] 즉위 후에는 [[이조]]ㆍ[[호조]]에 이어 3번째가 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57687&cid=46622&categoryId=46622 예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네이버.</ref>
1392년(태조 1) 제향ㆍ빈객ㆍ조회ㆍ과거ㆍ진헌 등의 업무를 보도록 규정하였고,<ref>『태조실록』 1권, 태조 1년 7월 28일 정미 4번째 기사, ‘문무 백관의 관제.</ref> 1405년(태종 5) 예악ㆍ제사ㆍ연향ㆍ과거ㆍ복축(伏祝) 등을 맡도록 규정하였다.<ref>『태종실록』 9권, 태종 5년 3월 1일 병신 2번째 기사, ‘예조에서 육조의 직무 분담과 소속 아문을 상정하여 아뢰다.</ref> 이후 『[[경국대전|경국대전(經國大典)]]』에 예악ㆍ제사ㆍ연향ㆍ조빙ㆍ학교ㆍ과거 등을 담당하도록 규정되었으나 왕권이나 여타 관서와의 역학관계에 따라 업무가 변동되었다. [[예조]]의 위상은 [[태종]] 때까지 [[이조]]ㆍ[[병조]]ㆍ[[호조]]에 이어 4번째였다가 [[세종]] 즉위 후에는 [[이조]]ㆍ[[호조]]에 이어 3번째가 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57687&cid=46622&categoryId=4662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예조]</ref>
 
  
 
===구성===
 
===구성===
 
[[판서]] 1인, [[참판]] 1인, [[참의]] 1인, [[정랑]] 3인, [[좌랑]] 3인이 있었다.<ref>『經國大典』 卷1, 「吏典」, <京官職>, “正二品衙門”, ‘六曹’</ref> 돌발적인 업무와 중대한 업무는 판서ㆍ참판ㆍ참의가 하급관리들을 지휘하여 처리하였으며, 일상사는 정랑과 좌랑을 중심으로 처리하였다. 판서는 [[승문원]] 제조와 [[비변사]] 제조를 겸하였고,<ref>『大典會通』 卷1, 「吏典」, <京官職>, “正一品衙門”, ‘備邊司’</ref> 참판은 봉상시와 예빈시 제조를 겸하여 사무에 참여하였다.
 
[[판서]] 1인, [[참판]] 1인, [[참의]] 1인, [[정랑]] 3인, [[좌랑]] 3인이 있었다.<ref>『經國大典』 卷1, 「吏典」, <京官職>, “正二品衙門”, ‘六曹’</ref> 돌발적인 업무와 중대한 업무는 판서ㆍ참판ㆍ참의가 하급관리들을 지휘하여 처리하였으며, 일상사는 정랑과 좌랑을 중심으로 처리하였다. 판서는 [[승문원]] 제조와 [[비변사]] 제조를 겸하였고,<ref>『大典會通』 卷1, 「吏典」, <京官職>, “正一品衙門”, ‘備邊司’</ref> 참판은 봉상시와 예빈시 제조를 겸하여 사무에 참여하였다.
1405년(태종 5) 소속관서로 [[예문춘추관|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ㆍ[[경연|경연(經筵)]]ㆍ[[서연|서연(書筵)]]ㆍ[[성균관|성균관(成均館)]]ㆍ[[통례문|통례문(通禮門)]]ㆍ[[봉상시|봉상시(奉常寺)]]ㆍ[[예빈시|예빈시(禮賓寺)]]ㆍ[[전의감|전의감(典醫監)]]ㆍ[[사역원|사역원(司譯院)]]ㆍ[[서운관|서운관(書雲觀)]]ㆍ[[교서관|교서관(校書館)]]ㆍ[[문서응봉사|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ㆍ[[종묘서|종묘서(宗廟署)]]ㆍ[[사온서|사온서(司醞署)]]ㆍ[[제생원|제생원(濟生院)]]ㆍ[[혜민국|혜민국(惠民局)]]ㆍ[[아악서|아악서(雅樂署)]]ㆍ[[전악서|전악서(典樂署)]]ㆍ[[사련소|사련소(司攣所)]]ㆍ[[선관서|선관서(膳官署)]]ㆍ[[도류방|도류방(道流房)]]ㆍ[[복흥고|복흥고(福興庫)]]ㆍ[[동서대비원|동서대비원(東西大悲院)]]ㆍ[[빙고|빙고(氷庫)]]ㆍ[[종약색|종약색(種藥色)]]ㆍ[[대청관|대청관(大淸觀)]]ㆍ[[소격전|소격전(昭格殿)]]ㆍ[[도화원|도화원(圖畵院)]]ㆍ[[가각고|가각고(架閣庫)]]ㆍ[[전구서|전구서(典廐署)]]ㆍ[[사직단|사직단(社稷壇)]]ㆍ[[관습도감|관습도감(慣習都監)]]ㆍ[[승록사|승록사(僧錄司)]]가 있으며 각 도의 학교와 의학도 [[예조]]에 속했다.<ref>『태종실록』 9권, 태종 5년 3월 1일 병신 2번째 기사, ‘예조에서 육조의 직무 분담과 소속 아문을 상정하여 아뢰다.</ref>
+
1405년(태종 5) 소속관서로 [[예문춘추관|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ㆍ[[경연|경연(經筵)]]ㆍ[[서연|서연(書筵)]]ㆍ[[성균관|성균관(成均館)]]ㆍ[[통례문|통례문(通禮門)]]ㆍ[[봉상시|봉상시(奉常寺)]]ㆍ[[예빈시|예빈시(禮賓寺)]]ㆍ[[전의감|전의감(典醫監)]]ㆍ[[사역원|사역원(司譯院)]]ㆍ[[서운관|서운관(書雲觀)]]ㆍ[[교서관|교서관(校書館)]]ㆍ[[문서응봉사|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ㆍ[[종묘서|종묘서(宗廟署)]]ㆍ[[사온서|사온서(司醞署)]]ㆍ[[제생원|제생원(濟生院)]]ㆍ[[혜민국|혜민국(惠民局)]]ㆍ[[아악서|아악서(雅樂署)]]ㆍ[[전악서|전악서(典樂署)]]ㆍ[[사련소|사련소(司攣所)]]ㆍ[[선관서|선관서(膳官署)]]ㆍ[[도류방|도류방(道流房)]]ㆍ[[복흥고|복흥고(福興庫)]]ㆍ[[동서대비원|동서대비원(東西大悲院)]]ㆍ[[빙고|빙고(氷庫)]]ㆍ[[종약색|종약색(種藥色)]]ㆍ[[대청관|대청관(大淸觀)]]ㆍ[[소격전|소격전(昭格殿)]]ㆍ[[도화원|도화원(圖畵院)]]ㆍ[[가각고|가각고(架閣庫)]]ㆍ[[전구서|전구서(典廐署)]]ㆍ[[사직단|사직단(社稷壇)]]ㆍ[[관습도감|관습도감(慣習都監)]]ㆍ[[승록사|승록사(僧錄司)]]가 있으며 각 도의 학교와 의학도 [[예조]]에 속했다.<ref>『太宗實錄』 5년(1405) 3월 1일: 「禮曹詳定六曹分職及所屬以聞」.</ref> 이들 관서는 [[『경국대전』]]에 [[홍문관(弘文館)]]ㆍ[[예문관]]ㆍ[[춘추관]]ㆍ[[성균관]]ㆍ[[승문원(承文院)]]ㆍ[[통례원(通禮院)]]ㆍ[[봉상시]]ㆍ[[예빈시]]ㆍ[[전의감]]ㆍ[[사역원]]ㆍ[[관상감(觀象監)]]ㆍ[[교서관]]ㆍ[[내의원(內醫院)]]ㆍ[[장악원(掌樂院)]]ㆍ[[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ㆍ[[종학(宗學)]]ㆍ[[종묘서]]ㆍ[[소격서]]ㆍ[[사직서]]ㆍ[[빙고]]ㆍ[[전생서(典牲署)]]ㆍ[[사축서(司畜署)]]ㆍ[[혜민서]]ㆍ[[도화서]]ㆍ[[활인서(活人署)]]ㆍ[[귀후서(歸厚署)]]ㆍ[[사학(四學)]]ㆍ[[각전(各殿)]]ㆍ[[각릉(各陵)]]으로 성문화되었다.<ref>『經國大典』 卷1, 「吏典」</ref> [[예조]]에 소속된 관서들은 대부분 자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하였으나, 기능이 중시된 [[홍문관]]ㆍ[[예문관]]ㆍ[[성균관]]ㆍ[[춘추관]]ㆍ[[승문원]]ㆍ[[봉상시]] 등은 [[겸관]] 및 [[예조]]와 협의하여 업무를 처리하였다. [[갑오경장]] 이후에는 업무의 대부분을 [[학무아문|학무아문(學務衙門)]]이 담당하였고, 일부는 [[궁내부|궁내부(宮內府)]]가 맡았다.<ref>『高宗實錄』 31년(1894) 6월 28일:「軍國機務處啓」.</ref>
이들 관서는 [[『경국대전』]]에 [[홍문관(弘文館)]]ㆍ[[예문관]]ㆍ[[춘추관]]ㆍ[[성균관]]ㆍ[[승문원(承文院)]]ㆍ[[통례원(通禮院)]]ㆍ[[봉상시]]ㆍ[[예빈시]]ㆍ[[전의감]]ㆍ[[사역원]]ㆍ[[관상감(觀象監)]]ㆍ[[교서관]]ㆍ[[내의원(內醫院)]]ㆍ[[장악원(掌樂院)]]ㆍ[[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ㆍ[[종학(宗學)]]ㆍ[[종묘서]]ㆍ[[소격서]]ㆍ[[사직서]]ㆍ[[빙고]]ㆍ[[전생서(典牲署)]]ㆍ[[사축서(司畜署)]]ㆍ[[혜민서]]ㆍ[[도화서]]ㆍ[[활인서(活人署)]]ㆍ[[귀후서(歸厚署)]]ㆍ[[사학(四學)]]ㆍ[[각전(各殿)]]ㆍ[[각릉(各陵)]]으로 성문화되었다.<ref>『經國大典』 卷1, 「吏典」</ref>
 
[[예조]]에 소속된 관서들은 대부분 자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하였으나, 기능이 중시된 [[홍문관]]ㆍ[[예문관]]ㆍ[[성균관]]ㆍ[[춘추관]]ㆍ[[승문원]]ㆍ[[봉상시]] 등은 [[겸관]] 및 [[예조]]와 협의하여 업무를 처리하였다. [[갑오경장]] 이후에는 업무의 대부분을 [[학무아문|학무아문(學務衙門)]]이 담당하였고, 일부는 [[궁내부|궁내부(宮內府)]]가 맡았다.<ref>『고종실록』 31권, 고종 31년 6월 28일 계유 4번째 기사, '의정부 이하 각 아문의 관제를 개정하다.'</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31번째 줄: 36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예조(禮曹) || [[제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
| 예조 || [[제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A ekc:administrates B
 
|-
 
|-
| 예조(禮曹) || , [[책봉례]] || A는 B에 위치한다 ||
+
| 예조 || [[책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A ekc:administrates B
 
|-
 
|-
| 예조(禮曹) || [[혼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
| 예조 || [[혼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A ekc:administrates B
 
|-
 
|-
| 예조(禮曹) || [[관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
| 예조 || [[관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A ekc:administrates B
 
|-
 
|-
| 예조(禮曹) || [[연향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
| 예조 || [[연향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A ekc:administrates B
 
|-
 
|-
| 예조(禮曹) || [[등극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
| 예조 || [[등극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A ekc:administrates B
 
|-
 
|-
| 예조(禮曹) || [[대사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
| 예조 || [[대사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A ekc:administrates B
 
|-
 
|-
| 예조(禮曹) || [[상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
| 예조 || [[상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A ekc:administrates B
 
|-
 
|-
| 예조(禮曹) || [[영접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
| 예조 || [[영접례]]  || A는 B를 담당하였다 || A ekc:administrates B
 
|}
 
|}
  
58번째 줄: 63번째 줄:
 
| 1894년 ||  [[예조]]가 폐지되었다
 
| 1894년 ||  [[예조]]가 폐지되었다
 
|}
 
|}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200px>
 
</gallery>
 
===영상===
 
  
 
==주석==
 
==주석==
79번째 줄: 76번째 줄:
 
* 『증보문헌비고』
 
* 『증보문헌비고』
 
* 『대전회통』
 
* 『대전회통』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657687&cid=46622&categoryId=4662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예조]
 
 
===더 읽을거리===
 
 
===유용한 정보===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단체]]
 
[[분류:단체]]

2017년 11월 4일 (토) 11:05 기준 최신판

예조(禮曹)
대표명칭 예조
한자표기 禮曹
이칭 남궁(南宮), 춘관(春官), 의조(儀曹)
창립시대 조선
창립일 1392년
해체일 1894년
주요업무 예악, 제사, 연향, 외교, 학교, 과거 등
담당업무 길례, 흉례, 군례, 빈례, 가례의 모든 의례



정의

조선시대 예악, 제사, 연향, 외교, 학교, 과거 등을 관장하던 관서이다.[1]

내용

업무

육조(六曹)의 하나로 남궁(南宮)춘관(春官)의조(儀曹)라고도 한다. 예조는 1392년 태조 원년에 설치되었으며,[2] 1894년(고종 31) 갑오경장(甲午更張) 때 관제개편으로 폐지되었다.[3] 1392년(태조 1) 제향ㆍ빈객ㆍ조회ㆍ과거ㆍ진헌 등의 업무를 보도록 규정하였고,[4] 1405년(태종 5) 예악ㆍ제사ㆍ연향ㆍ과거ㆍ복축(伏祝) 등을 맡도록 규정하였다.[5] 이후 『경국대전(經國大典)』에 예악ㆍ제사ㆍ연향ㆍ조빙ㆍ학교ㆍ과거 등을 담당하도록 규정되었으나 왕권이나 여타 관서와의 역학관계에 따라 업무가 변동되었다. 예조의 위상은 태종 때까지 이조병조호조에 이어 4번째였다가 세종 즉위 후에는 이조호조에 이어 3번째가 되었다.[6]

구성

판서 1인, 참판 1인, 참의 1인, 정랑 3인, 좌랑 3인이 있었다.[7] 돌발적인 업무와 중대한 업무는 판서ㆍ참판ㆍ참의가 하급관리들을 지휘하여 처리하였으며, 일상사는 정랑과 좌랑을 중심으로 처리하였다. 판서는 승문원 제조와 비변사 제조를 겸하였고,[8] 참판은 봉상시와 예빈시 제조를 겸하여 사무에 참여하였다. 1405년(태종 5) 소속관서로 예문춘추관(藝文春秋館)경연(經筵)서연(書筵)성균관(成均館)통례문(通禮門)봉상시(奉常寺)예빈시(禮賓寺)전의감(典醫監)사역원(司譯院)서운관(書雲觀)교서관(校書館)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종묘서(宗廟署)사온서(司醞署)제생원(濟生院)혜민국(惠民局)아악서(雅樂署)전악서(典樂署)사련소(司攣所)선관서(膳官署)도류방(道流房)복흥고(福興庫)동서대비원(東西大悲院)빙고(氷庫)종약색(種藥色)대청관(大淸觀)소격전(昭格殿)도화원(圖畵院)가각고(架閣庫)전구서(典廐署)사직단(社稷壇)관습도감(慣習都監)승록사(僧錄司)가 있으며 각 도의 학교와 의학도 예조에 속했다.[9] 이들 관서는 『경국대전』홍문관(弘文館)예문관춘추관성균관승문원(承文院)통례원(通禮院)봉상시예빈시전의감사역원관상감(觀象監)교서관내의원(內醫院)장악원(掌樂院)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종학(宗學)종묘서소격서사직서빙고전생서(典牲署)사축서(司畜署)혜민서도화서활인서(活人署)귀후서(歸厚署)사학(四學)각전(各殿)각릉(各陵)으로 성문화되었다.[10] 예조에 소속된 관서들은 대부분 자율적으로 업무를 처리하였으나, 기능이 중시된 홍문관예문관성균관춘추관승문원봉상시 등은 겸관예조와 협의하여 업무를 처리하였다. 갑오경장 이후에는 업무의 대부분을 학무아문(學務衙門)이 담당하였고, 일부는 궁내부(宮內府)가 맡았다.[11]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예조 제례 A는 B를 담당하였다 A ekc:administrates B
예조 책례 A는 B를 담당하였다 A ekc:administrates B
예조 혼례 A는 B를 담당하였다 A ekc:administrates B
예조 관례 A는 B를 담당하였다 A ekc:administrates B
예조 연향례 A는 B를 담당하였다 A ekc:administrates B
예조 등극례 A는 B를 담당하였다 A ekc:administrates B
예조 대사례 A는 B를 담당하였다 A ekc:administrates B
예조 상례 A는 B를 담당하였다 A ekc:administrates B
예조 영접례 A는 B를 담당하였다 A ekc:administrates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392년 예조가 설치되었다
1894년 예조가 폐지되었다

주석

  1. 『經國大典』 卷1, 「吏典」, <京官職>, “正二品衙門”, ‘六曹’
  2. 『增補文獻備考』 卷218, 「職官考」, <六官>, “禮曹”
  3. 『高宗實錄』 31년(1894) 6월 28일:「軍國機務處啓」.
  4. 『太祖實錄』 1년(1392) 7월 28일:「定文武百官之制」.
  5. 『太宗實錄』 5년(1405) 3월 1일: 「禮曹詳定六曹分職及所屬以聞」.
  6. "예조",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7. 『經國大典』 卷1, 「吏典」, <京官職>, “正二品衙門”, ‘六曹’
  8. 『大典會通』 卷1, 「吏典」, <京官職>, “正一品衙門”, ‘備邊司’
  9. 『太宗實錄』 5년(1405) 3월 1일: 「禮曹詳定六曹分職及所屬以聞」.
  10. 『經國大典』 卷1, 「吏典」
  11. 『高宗實錄』 31년(1894) 6월 28일:「軍國機務處啓」.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태조실록』
  • 『태종실록』
  • 『세조실록』
  • 『고종실록』
  • 『경국대전』
  • 『증보문헌비고』
  • 『대전회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