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종묘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잔글 (내용)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9번째 줄: 19번째 줄:
 
}}
 
}}
  
==정의==
+
=='''정의'''==
1706년 [[종묘|종묘(宗廟)]]의 연혁과 제도, 각종 의식의 절차, 관련 행사 등에 대해 기록한 [http://heritage.unesco.or.kr/mows/uigwe-the-royal-protocols-of-the-joseon-dynasty/ 책]이다.
+
1706년 [[종묘|종묘(宗廟)]]의 연혁과 제도, 각종 의식의 절차, 관련 행사 등에 대해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내용'''==
종묘의궤는 『[[국조오례의]]』의 종묘의례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항을 첨가하여 작성되었다. 『[[국조오례의]]』는 의궤의 규정만을 서술하고 있으나, 종묘의궤는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 등록(謄錄) 및 문집(文集) 등에서 의례와 관계되는 논의를 채록하여 함께 싣고 있다. 조선 초기부터 행해진 종묘의 연혁과 각종 의식 등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으며, 그림과 해설을 통해 종묘의 형태와 기물을 확인할 수 있다.  
+
1705년(숙종 31)에 [[종묘]]의 금보를 개조하는 등 수리가 완료되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재정비된 종묘 시설과 종묘제례 등을 총정리하는 의궤이다. 『[[국조오례의]]』의 종묘의례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항을 첨가하여 작성되었다.<ref>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208~209쪽.</ref>『[[국조오례의]]』는 의궤의 규정만을 서술하고 있으나, 종묘의궤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승정원일기]]』 , 등록(謄錄) 및 문집(文集) 등에서 의례와 관계되는 논의를 채록하여 함께 싣고 있다. 조선 초기부터 행해진 종묘의 연혁과 각종 의식 등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으며, 그림과 해설을 통해 종묘의 형태와 기물을 확인할 수 있다.<ref>나종현, "[http://kyu.snu.ac.kr/center/inspection/ins_view.jsp?uci=GK14220_00 종묘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의궤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ref>
  
 
===목록===
 
===목록===
32번째 줄: 32번째 줄:
  
 
===해제===
 
===해제===
[http://kyu.snu.ac.kr/center/inspection/ins_view.jsp?uci=GK14220_00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
+
나종현, "[http://kyu.snu.ac.kr/center/inspection/ins_view.jsp?uci=GK14220_00 종묘의궤]",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의궤 종합정보』<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판본===
 
===판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어람용(奎 14220)<br/>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어람용(奎 14220)<br/>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194)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194)
 +
 +
{{연계자원정보
 +
|연계자원1= '''회화'''<br/>[[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
|연계자원2=
 +
|연계자원3=
 +
|연계자원4=
 +
|연계자원5=
 +
}}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43번째 줄: 51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종묘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종묘의궤 || [[왕의 대례복]] || A에 B가 그려져 있다 || A ekc:depicts B
 
|-
 
|-
| 종묘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종묘의궤 || [[백관의 제복]] || A에 B가 그려져 있다 || A ekc:depicts B
 +
|-
 +
| 종묘의궤 || [[제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 종묘의궤 || [[제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
| 종묘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 종묘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95번째 줄: 107번째 줄: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백관_패_종묘의궤_규장각.jpg | [[패옥(백관)|패옥(佩玉)]]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백관_패_종묘의궤_규장각.jpg | [[패옥(백관)|패옥(佩玉)]]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백관_수_종묘의궤_규장각.jpg | [[후수(백관)|후수(後綬)]]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백관_수_종묘의궤_규장각.jpg | [[후수(백관)|후수(後綬)]]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백관_리_종묘의궤_규장각.jpg | [[|리(履)]]
+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백관_리_종묘의궤_규장각.jpg | [[혜(남성)|리(履)]]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백관_말_종묘의궤_규장각.jpg | [[버선|말(襪)]]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백관_말_종묘의궤_규장각.jpg | [[버선|말(襪)]]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백관_홀_종묘의궤_규장각.jpg | [[홀|홀(笏)]]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백관_홀_종묘의궤_규장각.jpg | [[홀|홀(笏)]]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백관_방심곡령_종묘의궤_규장각.jpg | [[방심곡령(백관)|방심곡령(方心曲領)]]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백관_방심곡령_종묘의궤_규장각.jpg | [[방심곡령(백관)|방심곡령(方心曲領)]]
 +
</gallery>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caption=『종묘의궤』-「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가이 종묘의궤 규장각.jpg | [[가이|가이(斝彝)]]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계이 종묘의궤 규장각.jpg | [[계이|계이(鷄彝)]]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궤 종묘의궤 규장각.jpg | [[궤(신주받침)|궤(几)]]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궤개구 종묘의궤 규장각.jpg | [[궤(그릇)|궤개구(簋蓋具)]]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난도 종묘의궤 규장각.jpg | [[난도|난도(鑾刀)]]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대준 종묘의궤 규장각.jpg | [[대준|대준(大尊)]]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두개구 종묘의궤 규장각.jpg | [[두|두개구(豆蓋具)]]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등개구 종묘의궤 규장각.jpg | [[등|등개구(㽅蓋具)]]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등잔 종묘의궤 규장각.jpg | [[등잔|등잔(燈盞)]]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멱 종묘의궤 규장각.jpg | [[멱|멱(冪)]]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모혈반 종묘의궤 규장각.jpg | [[모혈반|모혈반(毛血盤)]]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번간로 종묘의궤 규장각.jpg | [[번간로|번간로(燔肝爐)]]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변개구 종묘의궤 규장각.jpg | [[변|변개구(籩蓋具)]]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보개구 종묘의궤 규장각.jpg | [[보(그릇)|보개구(簠蓋具)]]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부 종묘의궤 규장각.jpg | [[부|부(釜)]]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비 종묘의궤 규장각.jpg | [[비(숟가락)|비(匕)]]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서직비 종묘의궤 규장각.jpg | [[비(숟가락)|서직비(匕)]]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비개구 종묘의궤 규장각.jpg | [[비(광주리)|비개구(篚蓋具)]]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산뢰 종묘의궤 규장각.jpg | [[산뢰|산뢰(山罍)]]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상 종묘의궤 규장각.jpg | [[상|상(床)]]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상준 종묘의궤 규장각.jpg | [[상준|상준(象尊)]]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세 종묘의궤 규장각.jpg | [[세|세(洗)]]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세뢰 종묘의궤 규장각.jpg | [[세뢰|세뢰(洗罍)]]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소생갑개구 종묘의궤 규장각.jpg | [[생갑|소생갑개구(小牲匣蓋具)]]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대생갑개구 종묘의궤 규장각.jpg | [[생갑|대생갑개구(大牲匣蓋具)]]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시정 종묘의궤 규장각.jpg | [[시정|시정(豕鼎)]]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식함 종묘의궤 규장각.jpg | [[식함|식함(食函)]]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양정 종묘의궤 규장각.jpg | [[양정|양정(羊鼎)]]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용작 종묘의궤 규장각.jpg | [[용작|용작(龍勺)]]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우정 종묘의궤 규장각.jpg | [[우정|우정(牛鼎)]]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유증 종묘의궤 규장각.jpg | [[유증|유증(鍮甑)]]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작 종묘의궤 규장각.jpg | [[작|작(爵)]]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점 종묘의궤 규장각.jpg | [[점|점(坫)]]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조 종묘의궤 규장각.jpg | [[조|조(俎)]]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조이 종묘의궤 규장각.jpg | [[조이|조이(鳥彛)]]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착준 종묘의궤 규장각.jpg | [[착준|착준(著尊)]]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찬 종묘의궤 규장각.jpg | [[찬|찬(瓚)]]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찬반 종묘의궤 규장각.jpg | [[찬|찬반(瓚槃)]]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촉대 종묘의궤 규장각.jpg | [[촉대|촉대(燭臺)]]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향로개구 종묘의궤 규장각.jpg | [[향로|향로개구(香爐蓋具)]]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향합개구 종묘의궤 규장각.jpg | [[향합|향합개구(香盒蓋具)]]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형개구 종묘의궤 규장각.jpg | [[형|형개구(鉶蓋具)]]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호준 종묘의궤 규장각.jpg | [[호준|호준(壺尊)]]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확 종묘의궤 규장각.jpg | [[확|확(鑊)]]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황이 종묘의궤 규장각.jpg | [[황이|황이(黃彝)]]
 +
파일:궁중기록화 물품 희준 종묘의궤 규장각.jpg | [[희준|희준(犧尊)]]
 
</gallery>
 
</gallery>
  
105번째 줄: 165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인용 및 참조===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111번째 줄: 171번째 줄: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한형주, 『종묘와 궁묘』, 민속원, 2016.
 
* 한형주, 『종묘와 궁묘』, 민속원, 2016.
 +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의궤]]
 
[[분류:의궤]]

2017년 12월 15일 (금) 22:11 기준 최신판


종묘의궤
(宗廟儀軌)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대표명칭 종묘의궤
한자표기 宗廟儀軌
주제 길례(吉禮)
작성주체 종묘서(宗廟署)
의례담당자 서문중(徐文重)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706(숙종 32년)
소장처(원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어람용)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총 4책 409장(제1책 57장, 제2책 111장, 제3책 120장, 제4책 121장)
크기 49.7×35.7
도설 91면



정의

1706년 종묘(宗廟)의 연혁과 제도, 각종 의식의 절차, 관련 행사 등에 대해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1705년(숙종 31)에 종묘의 금보를 개조하는 등 수리가 완료되자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재정비된 종묘 시설과 종묘제례 등을 총정리하는 의궤이다. 『국조오례의』의 종묘의례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항을 첨가하여 작성되었다.[1]국조오례의』는 의궤의 규정만을 서술하고 있으나, 종묘의궤는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승정원일기』 , 등록(謄錄) 및 문집(文集) 등에서 의례와 관계되는 논의를 채록하여 함께 싣고 있다. 조선 초기부터 행해진 종묘의 연혁과 각종 의식 등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으며, 그림과 해설을 통해 종묘의 형태와 기물을 확인할 수 있다.[2]

목록

1책: 범례(凡例), 목록(目錄), 종묘전도(宗廟全圖), 종묘일간도(宗廟一間圖), 대제설찬도설(大祭設饌圖設), 종묘속절삭망(宗廟俗節朔望), 칠사(七祀), 종묘시용등가도설(宗廟時用登歌圖說), 시용헌가도설(時用軒歌圖說), 종묘시용보태평지무도설(宗廟時用保太平之舞圖說), 시용정대업지무도설(時用定大業之舞圖說), 종묘등가도설(宗廟登歌圖設), 헌가도설(軒架圖說), 종묘문무도설(宗廟文舞圖說), 무무도설(武舞圖說), 종묘제기도설(宗廟祭器圖說), 종묘등헌가낙기도설(宗廟登軒架樂器圖說), 정대업지무의물도설(定大業之舞儀物圖說), 제복도설(祭服圖說)
2책: 묘제(廟制), 창건(創建), 중건(重建), 각실위판제식(各室位版題式), 주제(主制), 상시(上諡), 묘호(廟號), 각실위호서차(各室位號序次), 부묘(祔廟), 세실(世室), 조천(祧遷)
3책: 복위(復位), 추숭(追崇), 추부(追祔), 추상존호(追上尊號), 가상존호(加上尊號), 제향(祭享), 친제(親祭), 묘현(廟見), 삭망속절(朔望俗節), 악장(樂章)
4책: 이환안(移還安), 섭사의(攝事儀), 기고종묘의(祈告宗廟儀), 축폐(祝幣), 희생찬품(犧牲饌品), 철찬(撤饌), 천신(薦新), 봉심(奉審), 수개(修改), 수보의장(修補儀章), 책보(冊寶), 변례(變禮), 도변(盜變), 칠사(七祀), 배향(配享), 금벌(禁伐), 고사(故事), 관원(官員), 수직(守直), 수복(守僕), 제향진공각사물목(祭享進供各司物目), 수결(手決)

해제

나종현, "종묘의궤", 의궤 검색, 『의궤 종합정보』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판본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어람용(奎 14220)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K2-2194)


연계 자원 보러 가기
회화
종묘친제규제도설병풍(宗廟親祭規制圖說屛風)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종묘의궤 왕의 대례복 A에 B가 그려져 있다 A ekc:depicts B
종묘의궤 백관의 제복 A에 B가 그려져 있다 A ekc:depicts B
종묘의궤 제례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documents B
종묘의궤 규장각한국학연구원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종묘의궤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706년 『종묘의궤』가 편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603506 127.0559638 사적 제125호인 종묘(宗廟)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208~209쪽.
  2. 나종현, "종묘의궤", 의궤 검색, 『의궤 종합정보』online,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한형주, 『종묘와 궁묘』, 민속원, 2016.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