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학궤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계정보)
(악학궤범의 가치)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문헌정보
 
{{문헌정보
 
|사진= 한글팀_악학궤범.JPG  
 
|사진= 한글팀_악학궤범.JPG  
|사진출처= 윤미용,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481 악학궤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사진출처= 윤미용,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481 악학궤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03월 03일.
 
|대표명칭= 악학궤범
 
|대표명칭= 악학궤범
 
|한자표기= 樂學軌範
 
|한자표기= 樂學軌範
32번째 줄: 32번째 줄:
 
==내용==
 
==내용==
 
===[[악학궤범]]의 편찬===
 
===[[악학궤범]]의 편찬===
1493년(성종 24)예조판서 [[성현]], 장악원제조 [[유자광|유자광(柳子光)]], 장악원주부 [[신말평|신말평(申末平)]], 전악 [[박곤|박곤(朴棍)]]·[[김복근|김복근(金福根)]] 등은 왕명을 받아 편찬한 음악서이다.  당시 [[장악원]]에 있던 의궤와 악보가 오래되어 헐었고 요행히 남은 것들도 모두 엉성하고 틀려서, 그것을 수교(讎校:다른 것과 대조하며 교정함)하기 위하여 새로운 악규책(樂規冊)을 편찬하게 되었다. 1610년(광해군 2)에 복각되었으며, 1655년(효종 6)1743년(영조 19)에 다시 복각되었다.
+
1493년(성종 24) 예조판서 [[성현]], [[장악원]]의 [[유자광]][[신말평]], [[박곤]]·[[김복근]] 등이 [[조선 성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음악서이다.  당시 [[장악원]]에 있던 의궤와 악보가 제대로 된 것이 없어, 새로운 악규책(樂規冊)을 편찬하게 되었다. 1610년(광해군 2), 1655년(효종 6), 1743년(영조 19)에 각각 복각되었다.
<ref>윤미용, "[http://contents.history.go.kr/front/ti/view.do?treeId=05019&levelId=ti_019_0300 악학궤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ref>윤미용,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481 악학궤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03월 03일.</ref>
  
 
===[[악학궤범]]의 내용===
 
===[[악학궤범]]의 내용===
12율의 결정(決定)과 여러 제향에 쓰이는 악조(樂調)에서부터 악기의 진설(陳設), 정재춤의 진퇴(進退), 악기·의물(儀物)·관복(冠服)에 이르기까지, 제향·조회·연향의 음악 연주에 필요한 사항들을 빠짐 없이 망라하였으며, 특히 성종 당시의 아악·당악·향악 등 음악 전반을 포함하였다. 음악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그린 기술법을 채택하였는데, 그 내용이 치밀하고 정확하게 기술되었다. 그리하여 [[임진왜란]] 이후 소실된 악기와 악제를 복원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이용되었다.
+
12율의 결정(決定)과 여러 제향에 쓰이는 악조(樂調)에서부터 악기의 진설(陳設), 정재춤의 진퇴(進退), 악기·의물(儀物)·관복(冠服)에 이르기까지, 제향·조회·연향의 음악 연주에 필요한 사항들을 빠짐없이 망라하였다. 특히 성종 당시의 아악·당악·향악 등 음악 전반을 포함하였다. 음악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그린 기술법을 채택하였는데, 그 내용이 치밀하고 정확하였다. 그리하여 [[임진왜란]] 이후 소실된 악기와 악제를 복원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이용되었다.
<ref>윤미용, "[http://contents.history.go.kr/front/ti/view.do?treeId=05019&levelId=ti_019_0300 악학궤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ref>윤미용,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481 악학궤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03월 03일.</ref>
 +
 
 
===[[악학궤범]]의 가치===
 
===[[악학궤범]]의 가치===
오늘날에도 [[조선 성종|성종]] 당시의 음악 전반을 자세히 기술한 『[[악학궤범]]』 이 폐절(廢絶)된 음악을 복구하는 실용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학술적면에서도 중요시된다. [[조선 성종|성종]] 당시의 음악을 기준으로 하여, 그 이전과 그 이후의 음악을 비교,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며, 또 한편 「[[동동]]」과 「[[정읍사]]」의 기사는 국어국문학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
[[조선 성종|성종]] 당시의 음악을 자세히 기술한 『[[악학궤범]]』은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 음악을 복구하는 실용적 측면에서 중요한 자료이다. [[악학궤범]] 내부의 「[[동동]]」과 「[[정읍사]]」는 국어국문학 분야의 중요한 자료로 가치가 있다. 시기적으로는 [[조선 성종|성종]] 이전과 그 이후의 음악을 연구하는 데 필수적 자료이기도 하다.<ref>윤미용,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34481 악학궤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03월 03일.</ref>
<ref>윤미용, "[http://contents.history.go.kr/front/ti/view.do?treeId=05019&levelId=ti_019_0300 악학궤범]",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홀기류 한글고문서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14/A21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조선 성종]] || [[악학궤범]]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1493년
+
| [[조선 성종]] || [[악학궤범]] ||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 A dcterms:publisher B
|-
 
| [[악학궤범]] 편찬 || [[악학궤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성현]]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
| [[성현]]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유자광]]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
| [[유자광]]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신말평]]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
| [[신말평]]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박곤]]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
| [[박곤]]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김복근]]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
| [[김복근]] || [[악학궤범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장악원]] || [[신말평]]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
| [[장악원]] || [[신말평]]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장악원]] || [[유자광]]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
| [[장악원]] || [[유자광]]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
| [[동동]] || [[악학궤범]] || A는 B에 언급된다 ||
+
| [[악학궤범]] || [[동동]]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정읍사]] || [[악학궤범]] || A는 B에 언급된다 ||  
+
| [[악학궤범]] || [[정읍사]]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봉래의]] || [[악학궤범]] || A는 B에 언급된다 ||  
+
| [[악학궤범]] || [[봉래의]]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헌선도]] || [[악학궤범]] || A는 B에 언급된다 ||  
+
| [[악학궤범]] || [[헌선도]]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육화대]] || [[악학궤범]] || A는 B에 언급된다 ||  
+
| [[악학궤범]] || [[육화대]]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아박무]] || [[악학궤범]] || A는 B에 언급된다 ||  
+
| [[악학궤범]] || [[아박무]]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몽금척]] || [[악학궤범]] || A는 B에 언급된다 ||  
+
| [[악학궤범]] || [[몽금척]]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93번째 줄: 97번째 줄:
 
|}
 
|}
  
 +
==시각자료==
 +
===갤러리===
 +
<gallery>
 +
파일:한글팀_악학궤범.JPG |악학궤범
 +
</gallery>
 
==주석==
 
==주석==
 
<references/>
 
<references/>
 
==참고문헌==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더 읽을 거리===
 
*단행본
 
*단행본
**이혜구,『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
**이혜구,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남상숙,『악학궤범 악론 연구』, 민속원, 2009.
+
**남상숙, 『악학궤범 악론 연구』, 민속원, 2009.
 
*논문
 
*논문
**박은옥, 「《악학궤범》의 적(篴)과 퉁소(洞簫)」, 『국악원논문집』28, 국립국악원, 2013.
+
**박은옥, 「《악학궤범》의 적(篴)과 퉁소(洞簫)」, 『국악원논문집』 28, 국립국악원, 2013.
 
**송방송, 「《악학궤범》의 음악사학적 소명」, 『진단학보』77,  진단학회, 1994.
 
**송방송, 「《악학궤범》의 음악사학적 소명」, 『진단학보』77,  진단학회, 1994.
 
*웹자원
 
*웹자원
 
** "[http://contents.history.go.kr/front/hm/view.do?treeId=010504&tabId=01&levelId=hm_095_0020 예악 정신과 음악-악학궤범 서문]", 사료로 본 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http://contents.history.go.kr/front/hm/view.do?treeId=010504&tabId=01&levelId=hm_095_0020 예악 정신과 음악-악학궤범 서문]", 사료로 본 한국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http://contents.history.go.kr/front/ti/view.do?treeId=05019&levelId=ti_019_0300 악학궤범]", 교과서 속 이미지 자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http://contents.history.go.kr/front/ti/view.do?treeId=05019&levelId=ti_019_0300 악학궤범]", 교과서 속 이미지 자료, <html><online style="color:purple">『우리역사넷』<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
===유용한 정보===
 +
*최육상,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271146 세계음악사, <악학궤범> 같은 '악서' 없다]", 『오마이뉴스』, 작성일: 2005년 07월 29일.
 
[[분류:한글고문서]]
 
[[분류:한글고문서]]
 
[[분류:문헌]]
 
[[분류:문헌]]
[[분류:이혜영]]
 

2017년 11월 24일 (금) 14:46 기준 최신판

악학궤범(樂學軌範)
윤미용, "악학궤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03월 03일.
대표명칭 악학궤범
한자표기 樂學軌範
유형 고서
저자 성현,유자광,신말평,박곤,김복근
간행시기 1493년
시대 조선
수량 9권 3책


정의

조선시대의 의궤(儀軌)와 악보를 정리하여 성현(成俔), 유자광 등이 편찬한 음악서이다.

내용

악학궤범의 편찬

1493년(성종 24) 예조판서 성현, 장악원유자광신말평, 박곤·김복근 등이 조선 성종의 명을 받아 편찬한 음악서이다. 당시 장악원에 있던 의궤와 악보가 제대로 된 것이 없어, 새로운 악규책(樂規冊)을 편찬하게 되었다. 1610년(광해군 2), 1655년(효종 6), 1743년(영조 19)에 각각 복각되었다. [1]

악학궤범의 내용

12율의 결정(決定)과 여러 제향에 쓰이는 악조(樂調)에서부터 악기의 진설(陳設), 정재춤의 진퇴(進退), 악기·의물(儀物)·관복(冠服)에 이르기까지, 제향·조회·연향의 음악 연주에 필요한 사항들을 빠짐없이 망라하였다. 특히 성종 당시의 아악·당악·향악 등 음악 전반을 포함하였다. 음악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그린 기술법을 채택하였는데, 그 내용이 치밀하고 정확하였다. 그리하여 임진왜란 이후 소실된 악기와 악제를 복원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이용되었다. [2]

악학궤범의 가치

성종 당시의 음악을 자세히 기술한 『악학궤범』은 지금은 전해지지 않는 음악을 복구하는 실용적 측면에서 중요한 자료이다. 또 악학궤범 내부의 「동동」과 「정읍사」는 국어국문학 분야의 중요한 자료로 가치가 있다. 시기적으로는 성종 이전과 그 이후의 음악을 연구하는 데 필수적 자료이기도 하다.[3]

지식 관계망

  • 홀기류 한글고문서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조선 성종 악학궤범 A는 B에 의해 간행되었다 A dcterms:publisher B
성현 악학궤범 편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유자광 악학궤범 편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신말평 악학궤범 편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박곤 악학궤범 편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김복근 악학궤범 편찬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장악원 신말평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장악원 유자광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악학궤범 동동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악학궤범 정읍사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악학궤범 봉래의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악학궤범 헌선도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악학궤범 육화대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악학궤범 아박무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악학궤범 몽금척 A는 B를 언급하였다 A ekc:mentions B

시간정보

시간정보 내용
1493년 조선 성종의 명으로 성현, 유자광, 신말평, 박곤, 김복근 등이 악학궤범을 편찬하였다.
1655년 악학궤범이 복각되었다.
1743년 악학궤범이 복각되었다.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1. 윤미용, "악학궤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03월 03일.
  2. 윤미용, "악학궤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03월 03일.
  3. 윤미용, "악학궤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7년 03월 03일.

참고문헌

더 읽을 거리

  • 단행본
    • 이혜구,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 남상숙, 『악학궤범 악론 연구』, 민속원, 2009.
  • 논문
    • 박은옥, 「《악학궤범》의 적(篴)과 퉁소(洞簫)」, 『국악원논문집』 28, 국립국악원, 2013.
    • 송방송, 「《악학궤범》의 음악사학적 소명」, 『진단학보』77, 진단학회, 1994.
  • 웹자원

유용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