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갤러리)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형식=== | ===형식=== | ||
− | + | [[파일:BHST stele parts.jpg|300px|right]] | |
+ | ====[[귀부]]==== | ||
+ | 비신받침은 대개 거북모양으로 만드는데 이를 [[귀부|귀부(龜趺)]]라고 한다. 거북의 등 위에는 비석 받침구멍을 파는데 이를 비좌(碑座)라고 한다.<ref>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36264&cid=55761&categoryId=55761 부도비]",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비신==== | ||
+ | 비신(碑身)은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를 말한다. | ||
+ | ====[[이수]]와 [[제액]]==== | ||
+ | 비신 위에는 옥개석을 올리는데 이를 [[이수|이수(螭首)]]라고 한다. [[이수]]는 보통 구름과 용이 얽혀 있는 모습으로 조각되며 이수 전면 중앙에는 편액처럼 면을 다듬어 탑비 주인의 이름을 새겼다. 이 부분을 [[제액|제액(題額)]]이라고 한다.<ref>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836264&cid=55761&categoryId=55761 부도비]",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 | ===상징=== | ||
탑비에 거북과 용을 표현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중국 당나라 비의 모방이라는 견해와 고구려 고분벽화에 등장하는 사신도(四神圖) 중 현무(玄武)에서 기원했다는 견해가 있다. 거북과 용은 장수의 상징인 동시에 물, 하늘, 땅을 자유자재로 다닐 수 있는 신(神)의 사자로 오래 전부터 인식되어 왔다. 따라서 탑비를 구성하는 가장 하부를 거북과 용으로 형상화한 것은 비가 영원토록 전해지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가장 정상 부분인 [[이수]]에는 구름과 용을 조각하여 하늘로 승천한 탑비의 주인공을 상징한다.<ref>선묵 혜자, 『선묵 혜자 스님과 산사에서 배우는 불교』, 연중, 2010, 416쪽.</ref> | 탑비에 거북과 용을 표현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중국 당나라 비의 모방이라는 견해와 고구려 고분벽화에 등장하는 사신도(四神圖) 중 현무(玄武)에서 기원했다는 견해가 있다. 거북과 용은 장수의 상징인 동시에 물, 하늘, 땅을 자유자재로 다닐 수 있는 신(神)의 사자로 오래 전부터 인식되어 왔다. 따라서 탑비를 구성하는 가장 하부를 거북과 용으로 형상화한 것은 비가 영원토록 전해지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가장 정상 부분인 [[이수]]에는 구름과 용을 조각하여 하늘로 승천한 탑비의 주인공을 상징한다.<ref>선묵 혜자, 『선묵 혜자 스님과 산사에서 배우는 불교』, 연중, 2010, 416쪽.</ref> | ||
29번째 줄: | 38번째 줄: | ||
===글씨체=== | ===글씨체=== | ||
탑비에 새겨진 글씨체는 일반 석비의 경우와 같이 정자체인 [[해서|해서(楷書)]]가 주로 사용되는데, 신라하대 이후 계속해서 조성되었기 때문에 각 시기마다 해서풍의 변화과정을 살필 수 있다. 이외에 [[행서|행서(行書)]]를 사용하기도 하며 옛 명서가들의 필적을 모아 새기기도 한다. 예를 들어 당(唐)태종(太宗)의 필적으로 집자한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흥법사진공대사비(940년)]], 통일신라 [[김생|김생(金生)]]의 필적으로 집자한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954년)]], 동진(東晉) [[왕희지|왕희지(王羲之)]]의 필적으로 집자한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인각사보각국사정조탑비(1295년)]] 등이 있다.<ref>이완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843 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탑비에 새겨진 글씨체는 일반 석비의 경우와 같이 정자체인 [[해서|해서(楷書)]]가 주로 사용되는데, 신라하대 이후 계속해서 조성되었기 때문에 각 시기마다 해서풍의 변화과정을 살필 수 있다. 이외에 [[행서|행서(行書)]]를 사용하기도 하며 옛 명서가들의 필적을 모아 새기기도 한다. 예를 들어 당(唐)태종(太宗)의 필적으로 집자한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흥법사진공대사비(940년)]], 통일신라 [[김생|김생(金生)]]의 필적으로 집자한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954년)]], 동진(東晉) [[왕희지|왕희지(王羲之)]]의 필적으로 집자한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인각사보각국사정조탑비(1295년)]] 등이 있다.<ref>이완우,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8843 탑비]",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 |||
+ | =='''지식관계망'''== | ||
+ | ===관련항목===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탑비]] || [[귀부]] || A는 B를 포함한다 || | ||
+ | |- | ||
+ | | [[탑비]] || [[이수]] || A는 B를 포함한다 || | ||
+ | |- | ||
+ | | [[탑비]] || [[제액]] || A는 B를 포함한다 || | ||
+ | |- | ||
+ | | [[탑비]] || [[승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30px caption='한국 불교사찰의 탑비'> | + | ===갤러리===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30px caption='한국 불교사찰의 탑비(건립시기순)'> | ||
파일:BHST Borimsa Bojo stele.jpg|[[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884) | 파일:BHST Borimsa Bojo stele.jpg|[[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884) | ||
− | 파일: | + | 파일:BHST_Seollimwonji_hongakstele4.jpg|[[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886) |
파일:BHST Ssangyesa Heysostele front 1.jpg|[[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887) | 파일:BHST Ssangyesa Heysostele front 1.jpg|[[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887) | ||
− | 파일: | + | 파일:BHST Weolgwangsaji Weollang stele front resolution.jpg|[[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890) |
− | 파일: | + | 파일:BHST_seongjusaji_nanghyestele1.jpg|[[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890년 이후) |
파일:BHST Silsangsa Jeunggak stele.jpg|[[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9세기 중엽) | 파일:BHST Silsangsa Jeunggak stele.jpg|[[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9세기 중엽) | ||
파일:BHST Ssangbongsa Cheolgam stele.jpg|[[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9세기 말) | 파일:BHST Ssangbongsa Cheolgam stele.jpg|[[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9세기 말) | ||
파일:BHST Silsangsa Sucheol stele.jpg|[[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905) | 파일:BHST Silsangsa Sucheol stele.jpg|[[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905) | ||
− | 파일: | + | 파일:BHST_jijeung_stele.jpg|[[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924) |
− | 파일: | + | 파일:BHST_jingyeong_stele.jpg|[[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924) |
− | 파일: | + | 파일:BHST Borisaji Daegyeong stele front resolution.jpg|[[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939) |
− | 파일: | + | 파일:BHST_Bohyeonsa_nangwonstele1.jpg|[[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940) |
파일:BHST Heungbeopsaji Jingong stele.jpg|[[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940) | 파일:BHST Heungbeopsaji Jingong stele.jpg|[[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940) | ||
파일:BHST_Myeongbongsa_Jajeok_stele.jpg|[[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941) | 파일:BHST_Myeongbongsa_Jajeok_stele.jpg|[[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941) | ||
50번째 줄: | 74번째 줄: | ||
파일:BHST Muwisa Seongak stele.jpg|[[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946) | 파일:BHST Muwisa Seongak stele.jpg|[[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946) | ||
파일:BHST_Taeansa_Gwangja_stele.jpg|[[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950) | 파일:BHST_Taeansa_Gwangja_stele.jpg|[[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950) | ||
− | 파일: | + | 파일:BHST_Taejasa_Haengjeok_stele.jpg|[[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954) |
− | 파일: | + | 파일:BHST_Gagyeonsa_Tongil_stele.jpg|[[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958) |
− | 파일: | + | 파일:BHST_jeongjin_stele.jpg|[[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965) |
파일:BHST_Godalsaji_Wonjong_stele.jpg|[[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975) | 파일:BHST_Godalsaji_Wonjong_stele.jpg|[[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975) | ||
− | 파일: | + | 파일:BHST_Bowonsaji_tanmun_stele_front.jpg|[[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978) |
− | 파일: | + | 파일:BHST_Yeongoksa Hyeongak stele.jpg|[[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979) |
− | 파일: | + | 파일:BHST Jeongtosaji hongbeob stele front resolution.jpg|[[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1017) |
파일:BHST Geodonsaji Wongong stele.jpg|[[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1025) | 파일:BHST Geodonsaji Wongong stele.jpg|[[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1025) | ||
− | 파일: | + | 파일:BHST_hyeso_stele.jpg|[[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1060) |
− | 파일: | + | 파일:BHST_jigwang_stele.jpg|[[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1085) |
− | 파일: | + | 파일:BHST_hyedeok_stele.jpg|[[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1111) |
− | 파일: | + | 파일:BHST_wongyeong_stele.jpg|[[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 (1125) |
파일:BHST Seonbongsa uicheon stele-1.jpg|[[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1137) | 파일:BHST Seonbongsa uicheon stele-1.jpg|[[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1137) | ||
파일:BHST Unmunsa woneung stele-3.jpg|[[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1147) | 파일:BHST Unmunsa woneung stele-3.jpg|[[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1147) | ||
− | 파일: | + | 파일:BHST_Yeongguksa_Wongak_stele.jpg|[[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1180) |
− | 파일: | + | 파일:BHST_Sebongsaji_Jongrin_stele_front.jpg|[[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1185) |
− | 파일: | + | 파일:BHST_Bogyeongsa_Seunghyeong_stele_front.jpg|[[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1224) |
− | 파일: | + | 파일:BHST_Changseongsaji_stele_front.jpg|[[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1234년 이후로 추정) |
파일:BHST Ingaksa Bogak stele-front.jpg|[[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1295) | 파일:BHST Ingaksa Bogak stele-front.jpg|[[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1295) | ||
− | 파일: | + | 파일:BHST_daebogwang_stele.jpg|[[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1358) |
− | 파일: | + | 파일:BHST_seongak_stele.jpg|[[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1377) |
− | 파일: | + | 파일:BHST Silleuksa Naong stele.jpg|[[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1379) |
파일:BHST Taegosa Wonjeung stele.jpg|[[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1385) | 파일:BHST Taegosa Wonjeung stele.jpg|[[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1385) | ||
− | 파일: | + | 파일:BHST_Changseongsaji_stele_front.jpg|[[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1386) |
파일:BHST Eokjeongsaji Daeji stele-1.jpg|[[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1393) | 파일:BHST Eokjeongsaji Daeji stele-1.jpg|[[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1393) | ||
파일:BHST Cheongnyongsaji Bogak stele.jpg|[[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1394) | 파일:BHST Cheongnyongsaji Bogak stele.jpg|[[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1394) | ||
− | 파일: | + | 파일:BHST_jeongji_stele.jpg|[[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1398) |
− | 파일: | + | 파일:BHST_samyeong_stele.jpg|[[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비]] (1612) |
− | 파일: | + | 파일:BHST Dogapsa Doseon-Sumi stele-side.jpg|[[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1653) |
− | 파일: | + | 파일:BHST_Yeongoksa east stele.jpg|[[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미상) |
</gallery> | </gallery> | ||
93번째 줄: | 117번째 줄: | ||
{{승탑비문 Top icon}} | {{승탑비문 Top icon}} |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승탑/검토요청]]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분류:개념]] [[분류:승탑/검토요청]] |
2017년 12월 14일 (목) 14:34 기준 최신판
탑비 (塔碑) |
|
대표명칭 | 탑비 |
---|---|
한자표기 | 塔碑 |
이칭 | 부도비(浮屠碑) |
관련개념 | 승탑(僧塔), 귀부(龜趺), 이수(螭首), 제액(題額) |
목차
정의
승려의 생애를 적은 비.[1]
내용
개요
탑비는 승탑(僧塔)과 함께 조성되며, 승려의 출생에서 사망에 이르는 일생의 행적을 적은 것이다.[2] 탑비의 주인인 승려의 덕(德)을 추모하기 위해 평생의 이력을 낱낱이 적어 널리 알리게 되며, 종이에 쓴 것은 쉽게 없어지리라는 생각에 주로 금석(金石)에 새겨 세워지게 된다.[3]
불교가 융성했던 통일신라·고려시대에는 역대 국왕이 고승(高僧)들을 존경하여 그들이 사망하면 장사를 후하게 치르고, 아울러 시호(諡號)와 탑명(塔名)을 내리면서 당시를 대표하는 문신과 명필에게 비문을 짓고 쓰게 하는 사례가 빈번했다. 그 뒤 조선시대에 들어서면 이전과 같이 국왕이 탑명을 내리는 국가적 차원의 조성은 매우 드물었지만, 부도와 탑비의 조성에 대한 전통은 꾸준히 지속되었다.[4]
형식
귀부
비신받침은 대개 거북모양으로 만드는데 이를 귀부(龜趺)라고 한다. 거북의 등 위에는 비석 받침구멍을 파는데 이를 비좌(碑座)라고 한다.[5]
비신
비신(碑身)은 비문을 새긴 비석의 몸체를 말한다.
이수와 제액
비신 위에는 옥개석을 올리는데 이를 이수(螭首)라고 한다. 이수는 보통 구름과 용이 얽혀 있는 모습으로 조각되며 이수 전면 중앙에는 편액처럼 면을 다듬어 탑비 주인의 이름을 새겼다. 이 부분을 제액(題額)이라고 한다.[6]
상징
탑비에 거북과 용을 표현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중국 당나라 비의 모방이라는 견해와 고구려 고분벽화에 등장하는 사신도(四神圖) 중 현무(玄武)에서 기원했다는 견해가 있다. 거북과 용은 장수의 상징인 동시에 물, 하늘, 땅을 자유자재로 다닐 수 있는 신(神)의 사자로 오래 전부터 인식되어 왔다. 따라서 탑비를 구성하는 가장 하부를 거북과 용으로 형상화한 것은 비가 영원토록 전해지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이다. 가장 정상 부분인 이수에는 구름과 용을 조각하여 하늘로 승천한 탑비의 주인공을 상징한다.[7]
비문
탑비에는 일반 역사책에서 보기 어려운 고승의 일생이 기술되어 있다. 즉 출생으로부터 불문(佛門)에 들어가 활동하고 사망하기까지 일생의 행력(行歷)이 적혀 있으며, 뒤쪽에는 탑비 조성에 참여한 제자와 문도(門徒)들의 이름이 열거되어 있다. 따라서 탑비는 고승의 학통(學統)이라든지 그를 둘러싼 당시 불교계의 여러 가지 상황을 살필 수 있는 귀중한 사료가 된다.[8]
글씨체
탑비에 새겨진 글씨체는 일반 석비의 경우와 같이 정자체인 해서(楷書)가 주로 사용되는데, 신라하대 이후 계속해서 조성되었기 때문에 각 시기마다 해서풍의 변화과정을 살필 수 있다. 이외에 행서(行書)를 사용하기도 하며 옛 명서가들의 필적을 모아 새기기도 한다. 예를 들어 당(唐)태종(太宗)의 필적으로 집자한 흥법사진공대사비(940년), 통일신라 김생(金生)의 필적으로 집자한 태자사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954년), 동진(東晉) 왕희지(王羲之)의 필적으로 집자한 인각사보각국사정조탑비(1295년) 등이 있다.[9]
지식관계망
관련항목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탑비 | 귀부 | A는 B를 포함한다 | |
탑비 | 이수 | A는 B를 포함한다 | |
탑비 | 제액 | A는 B를 포함한다 | |
탑비 | 승탑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시각자료
갤러리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884)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886)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887)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890)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890년 이후)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9세기 중엽)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9세기 말)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905)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924)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924)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939)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940)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940)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941)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943)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944)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946)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950)
봉화 태자사 낭공대사탑비 (954)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958)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965)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975)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978)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979)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1017)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1025)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1060)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1085)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1111)
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 (1125)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1137)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1147)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1180)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1185)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1224)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1234년 이후로 추정)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1295)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1358)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1377)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1379)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1385)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1386)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1393)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1394)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1398)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비 (1612)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1653)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미상)
주석
- ↑ 이완우, "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완우, "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선묵 혜자, 『선묵 혜자 스님과 산사에서 배우는 불교』, 연중, 2010, 416쪽.
- ↑ 이완우, "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온라인 참조: "부도비",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온라인 참조: "부도비",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선묵 혜자, 『선묵 혜자 스님과 산사에서 배우는 불교』, 연중, 2010, 416쪽.
- ↑ 이완우, "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이완우, "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참고문헌
-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온라인 참조: "부도비",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선묵 혜자, 『선묵 혜자 스님과 산사에서 배우는 불교』, 연중, 2010, 415-416쪽.
- 정병삼, 『오늘 나는 사찰에 간다』, 풀빛, 2003, 316-325쪽.
- 조동원, "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완우, "탑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