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색"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시각자료)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인물정보 | {{인물정보 | ||
− | |사진= | + | |사진=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색 초상.jpg |
− | |사진출처= | + | |사진출처="[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2150100,11&flag=Y 이색초상-목은영당본]",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
|대표명칭=이색 | |대표명칭=이색 | ||
|한자표기=李穡 | |한자표기=李穡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유형= | |유형= | ||
}} | }} | ||
− | |||
=='''정의'''== | =='''정의'''== | ||
40번째 줄: | 39번째 줄: | ||
===비문의 찬자=== | ===비문의 찬자=== | ||
− | 이색(李穡)이 지은 비문으로는,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碑, 보물 제611호)]],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水原 彰聖寺址 眞覺國師塔碑, 보물 제14호)]],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楊州 檜巖寺址 禪覺王師碑, 보물 제387호)]],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楊洲 檜巖寺 指空禪師浮屠碑,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35호)]],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鐘碑, 보물 제229호)]], [[광통보제선사비|광통보제선사비(廣通普濟禪寺碑)]], [[안심사지공나옹비|안심사지공나옹비(安心寺指空懶翁碑)]], [[ | + | 이색(李穡)이 지은 비문으로는,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碑, 보물 제611호)]],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水原 彰聖寺址 眞覺國師塔碑, 보물 제14호)]],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楊州 檜巖寺址 禪覺王師碑, 보물 제387호)]],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楊洲 檜巖寺 指空禪師浮屠碑,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35호)]],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鐘碑, 보물 제229호)]], [[광통보제선사비|광통보제선사비(廣通普濟禪寺碑)]], [[안심사지공나옹비|안심사지공나옹비(安心寺指空懶翁碑)]], [[염제신 신도비|염제신신도비(廉濟臣神道碑)]], [[이제현 묘지명]] 등이 있다. |
− | =='''지식관계망'''== | + | =='''지식 관계망'''== |
− | === | + | *'''이색과 정몽주와 이숭인 지식관계망'''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E013/E01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E014/E014.htm 이제현과 이색 지식관계망]''' | ||
+ | ===관계정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 +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 |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 | [[이제현 묘지명]]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 | [[광통보제선사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 | [[안심사지공나옹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 | [[염제신 신도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
+ | |- | ||
+ | | [[이색]] || [[권근]]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이색]] || [[변계량]]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이색]] || [[김종직]]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이색]] || [[정몽주]]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
+ | |- | ||
+ | | [[이색]] || [[윤필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 [[익재집]] || [[이색]]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 | |- | ||
− | | [[ | + | | [[이제현]] || [[이색]]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 + | | [[이곡]] || [[이색]]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 | |- | ||
− | | [[ | + | | [[이곡]] || [[이색]]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 | |- | ||
− | | [[ | + | | [[이색]] || [[이지함]]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 | |- | ||
− | | [[ | + | | [[이색]] || [[이숭인]]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 | |- | ||
− | | [[ | + | | [[삼은]] || [[이색]]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도은집발]] || [[이색]]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목은집]] || [[이색]]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이색]] || [[ | + | | [[이색]]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이색]] || [[ | + | | [[이색 초상]] || [[이색]]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 | |}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갤러리=== | ===갤러리===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30px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30px> |
+ | 파일:역사인물초상화_초상_이색 초상.jpg|이색 초상<ref>"[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2150100,11&flag=Y 이색초상-목은영당본]",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ref> | ||
</gallery> | </gallery> | ||
+ | |||
+ | ===영상=== | ||
+ | * NATV 국회방송, "[https://www.youtube.com/embed/tsRNOTATxxk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66회 이색]", YouTube, 게시일: 2016년 2월 25일. | ||
+ | <html> | ||
+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tsRNOTATxxk" frameborder="0" gesture="media"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주석'''== | =='''주석'''== | ||
81번째 줄: | 120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3991&cid=43671&categoryId=43671 이색]",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인용 및 참조=== |
− | *민병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640 이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3월 27일. | + | #웹 자원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4849&cid=40942&categoryId=33382 이색]",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83991&cid=43671&categoryId=43671 이색]", 인명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김범,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2261&cid=59015&categoryId=59015 이색]", 네이버캐스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1년 7월 11일. | + | #*민병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640 이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3월 27일. |
− |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킨 성리학자 이색", 한국의 위대한 인물,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53005&cid=58224&categoryId=58224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킨 성리학자 이색]", 한국의 위대한 인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34849&cid=40942&categoryId=33382 이색]", 두산백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강중기, 『조선 전기 경세론과 불교비판』,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90877&cid=41884&categoryId=41888 이색]", 조선 전기 경세론과 불교비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김범,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72261&cid=59015&categoryId=59015 이색]", 네이버캐스트,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작성일: 2011년 7월 11일. |
− | + |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킨 성리학자 이색", 한국의 위대한 인물,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353005&cid=58224&categoryId=58224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킨 성리학자 이색]", 한국의 위대한 인물,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강중기, 『조선 전기 경세론과 불교비판』,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90877&cid=41884&categoryId=41888 이색]", 조선 전기 경세론과 불교비판,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12,12150100,11&flag=Y 이색초상-목은영당본]", 문화재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재청』<sup>online</sup></online></html>. | ||
− | [[분류:인물]] | + | {{틀:역사인물초상화 Top icon}} |
− | [[분류: | + | [[분류:역사인물초상화]][[분류:역사인물]][[분류:인물]] |
+ | [[분류: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
2017년 11월 28일 (화) 16:42 기준 최신판
이색(李穡) | |
대표명칭 | 이색 |
---|---|
한자표기 | 李穡 |
생몰년 | 1328년-1396년 |
본관 | 한산(韓山) |
시호 | 문정(文靖) |
호 | 목은(牧隱) |
자 | 영숙(穎叔) |
시대 | 고려 |
대표저서 | 목은문고(牧隱文藁), 목은시고(牧隱詩藁) |
부 | 이곡(李穀) |
정의
고려 말의 문신.
내용
14세에 성균시(成均試)에 합격, 중서사전부(中瑞司典簿)로 원나라에서 일을 보던 아버지로 인해 원나라의 국자감(國子監) 생원(生員)이 되었고, 3년간을 유학하고, 아버지의 상(喪)을 입자 귀국하였다.[1] 1353년(공민왕 2) 향시(鄕試)와 정동행성(征東行省)의 향시에 장원 급제하였고, 1354년(공민왕 3) 서장관(書狀官)으로 원나라에 갔다. 1367년 대사성(大司成)이 되자 성균관(成均館)의 학칙을 새로 제정하고 김구용(金九容)·정몽주(鄭夢周)·이숭인(李崇仁) 등과 강론하고 성리학 발전에 공헌했다.[2] 정몽주가 피살되자 관련되어 다시 금천(金川)·여흥(驪興)·장흥(長興) 등지로 유배된 뒤에 석방되었다. 조선 개국 후 태조는 그의 인재를 아끼어 1395년(태조 4) 한산백(韓山佰)으로 봉하여 예를 다하여 출사(出仕)를 종용하였으나 끝내 고사하고 망국의 사대부(士大夫)는 오로지 해골을 고산(故山)에 파묻을 뿐이라 하였다. 다음해 피서차 여강(驪江)으로 가던 중 갑자기 사망했으므로 그 사인(死因)에 대하여는 의혹을 남기고 있다.[3]
이색은 문하에 권근(權近)·김종직(金宗直)·변계량(卞季良) 등을 배출하여 조선 성리학의 주류를 이루게 하였으며 한편 불교에 대한 조예도 깊었으며 고려 말에 학문과 정치에 거족을 남긴 존재였다.[4]
비문의 찬자
이색(李穡)이 지은 비문으로는,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高陽 太古寺 圓證國師塔碑, 보물 제611호),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水原 彰聖寺址 眞覺國師塔碑, 보물 제14호),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楊州 檜巖寺址 禪覺王師碑, 보물 제387호),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楊洲 檜巖寺 指空禪師浮屠碑,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35호),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鐘碑, 보물 제229호), 광통보제선사비(廣通普濟禪寺碑), 안심사지공나옹비(安心寺指空懶翁碑), 염제신신도비(廉濟臣神道碑), 이제현 묘지명 등이 있다.
지식 관계망
- 이색과 정몽주와 이숭인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양주 회암사 지공선사부도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이제현 묘지명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광통보제선사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안심사지공나옹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염제신 신도비 | 이색 | A는 B가 비문을 지었다 | A ekc:writer B |
이색 | 권근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이색 | 변계량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이색 | 김종직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이색 | 정몽주 | A는 B와 교유하였다 | A foaf:knows B |
이색 | 윤필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익재집 | 이색 | A는 B를 언급하였다 | A ekc:mentions B |
이제현 | 이색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이곡 | 이색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이곡 | 이색 | A는 B의 아버지이다 | A ekc:hasSon B |
이색 | 이지함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이색 | 이숭인 | A는 B의 스승이다 | A ekc:hasDisciple B |
삼은 | 이색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도은집발 | 이색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목은집 | 이색 | A는 B가 저술하였다 | A dcterms:creator B |
이색 | 대관재몽유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이색 초상 | 이색 | A는 B를 묘사하였다 | A ekc:depicts B |
시각자료
갤러리
이색 초상[5]
영상
- NATV 국회방송, "NATV 국회방송 한국의 정신- 66회 이색", YouTube, 게시일: 2016년 2월 25일.
주석
-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이색",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색",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이색",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이색",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이색초상-목은영당본",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이색", 인명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민병하, "이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작성일: 2014년 3월 27일. - "이색",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김범, "이색", 네이버캐스트,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작성일: 2011년 7월 11일. -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킨 성리학자 이색", 한국의 위대한 인물, 국립중앙도서관. 온라인 참조: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킨 성리학자 이색", 한국의 위대한 인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강중기, 『조선 전기 경세론과 불교비판』,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4. 온라인 참조: "이색", 조선 전기 경세론과 불교비판,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이색초상-목은영당본", 문화재검색,
『문화재청』online .
- 인명사전편찬위원회, 『인명사전』, 민중서관, 2002. 온라인 참조: "이색", 인명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