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간이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부연설명) |
잔글 (→장서각 한글 특별전 내용)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5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로마자명칭= Gugeubganibang | |로마자명칭= Gugeubganibang | ||
|영문명칭= The most complet first-aid book | |영문명칭= The most complet first-aid book | ||
− | |작자= 윤호 등 | + | |작자= [[윤호]] 등 |
− | |작성시기= 1489년 | + | |작성시기= 1489년 |
|간행시기= 조선초기 | |간행시기= 조선초기 | ||
|간행처= | |간행처= | ||
|기탁처= | |기탁처= | ||
− | |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 | |소장처=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청구기호= | |청구기호= | ||
|유형= 고서 | |유형= 고서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noinclude> | </noinclude> | ||
==정의== | ==정의== | ||
− | [[윤호 | + | [[윤호]] 등이 [[조선 성종|조선 성종]]의 명을 받고 1489년 편찬한 의학서이다. |
==내용== | ==내용== | ||
− | + | ===장서각 한글 특별전 내용=== | |
− | 『[[구급간이방]]』의 | + | 일반 백성들도 이 책을 활용해 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방문마다 한글로 언해를 덧붙였다. |
− | 이 책은 구급방서 중에서 가장 | + | 『[[구급간이방]]』의 서문에는 출간에 참여한 인물을 나열했는데, 『[[의방유취|의방유취(醫方類聚)]]』의 출간에 참여했던 [[임원준|임원준(任元濬)]]과 『의방유취』의 요약판인 『[[의문정요|의문정요(醫門精要)]]』를 저술한 [[허종]](許琮, 1434~1494)이 주축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종실록』 20년 5월조에 “[[내의원]] 제조 영돈녕 [[윤호]] 등이 신찬 『[[구급간이방]]』을 진상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간행하여 중외 여러 고을에 두루 반포하여 여항 소민으로 하여금 모두 얻어 볼 수 있게 하라 하였다.”고 기록된 것으로 볼 때 일반 백성들을 대상으로 이 책을 준비하여 1489년 5월에 완성했음을 알 수 있다. |
+ | 이 책은 구급방서 중에서 가장 광범위하고 구체적인 것으로 질병을 중풍과 두통 등 127종으로 나누어 그 치료 방문을 모아 엮었다. 조선 초기에 간행된 의서로는 드물게 현재까지 전해 내려와 그 가치가 매우 높다. 언해 부분 또한 15세기 국어학 연구에도 많은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반치음의 불규칙한 사용이나 어두의 경음화가 보이며, 약초와 관련된 독특한 어휘가 많다.<REF>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86쪽.</REF> | ||
− | == | + | ===[[구급간이방]] 편찬=== |
− | [[허종]]이 쓴 서문에 쓰인 『[[구급간이방]]』의 편찬의도는 외딴 시골, 벽지에 있는 백성에게 생긴 병이라도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고 | + | ====편찬자들==== |
+ | 『[[구급간이방]]』의 편찬을 총괄한 인물인 [[윤호|윤호(尹壕, 1424~1496)]]는 [[조선 성종|성종]]의 장인이며 [[조선 중종|중종]]의 외할아버지이다. 그는 [[내의원]]에 있으면서 『[[구급간이방]]』의 편찬에 주력했고 고려 명장 [[윤관]]의 후손으로 성품이 검소하여 후에 우의정까지 올랐다. [[임원준]]은 호조판서에 오른 인물로 의학에 조예가 깊어 『[[의방유취]]』, 『[[창진집]]』등을 저술했다. [[조선 세조|세조]]대에 간행된 『[[구급방]]』 또한 [[임원준]]이 주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허종]]은 [[허준]]과 같은 집안의 사람으로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큰 공을 세웠는데 의학에도 조예가 깊어 [[내의원]] 제조(提調)를 맡았다. 『[[향약집성방]]』을 언해하였고, 『[[의방유취]]』를 요약하여 『[[의문정요]]』를 저술하였다. 즉 『[[구급간이방]]』의 편찬을 주도한 인물들이 당시 사회적 명성을 지녔으면서 의학에도 조예가 깊은 이들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구급간이방]]』를 편찬하는 일이 국가적 중대사였음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부분이다<ref>김단희·김남일·안상우, 「《구급간이방》에 대한 소고」, 『한국의사학회지』23, 한국의사학회지, 2010, 50-53쪽.</ref> | ||
+ | ====편찬의도==== | ||
+ | [[허종]]이 쓴 서문에 쓰인 『[[구급간이방]]』의 편찬의도는 외딴 시골, 벽지에 있는 백성에게 생긴 병이라도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고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손쉬운 약재로 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급간이방]]』은 『[[의방유취|의방유취(醫方類聚)]]』와 구급의서(救急醫書)인 『[[구급방|구급방(救急方)]]』을 보완하여 만들어졌다. 백성이 이용하기 쉽게 하기 위해 방언(방문, 약을 짓기 위해 필요한 약의 이름과 분량을 적은 글)의 형태로 기록했고 언해를 하였다. 그리고 다량으로 인쇄·배포하여 집집마다 보관하게 하였다.<ref>김단희·김남일·안상우, 「《구급간이방》에 대한 소고」, 『한국의사학회지』 | ||
+ | 23, 한국의사학회지, 2010, 45-46쪽.</ref> 원간본을 을해자 목판본으로 만들었고 그것을 각 지방에서 복각한 것으로 보인다.<ref>강유리, 「《구급간이방언해(救急簡易方諺解)》와 《동의보감(東醫寶鑑) 탕액편(湯液篇)》의 약재명에 대한 비교」,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쪽.</ref> | ||
− | 『[[구급간이방]]』는 『[[구급방]]』이나 『[[언해구급방]]』과 비교하여 2배~3배 많은 | + | ===[[구급간이방]]의 내용과 특징=== |
+ | 『[[구급간이방]]』는 『[[구급방]]』이나 『[[언해구급방]]』과 비교하여 2배~3배 많은 병증을 다루어 다양한 구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첫 번째 언급한 것이 [[중풍|중풍(中風)]]인데 이는 중풍을 가장 위급한 병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각 경우마다 제일 처음에는 마땅히 쓸 수 있는 처방명이 나오고 그 다음에는 구체적인 증상에 따른 치료법이 나온다. 약 방문은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 위주로 하였으며 모든 내용의 원문(한문) 밑에는 언해를 붙여두고 있다. 또 부녀와 어린아이에 대한 치료법을 따로 기록하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이를 통해 모든 연령층의 상황을 포괄하려 했음을 알 수 있다.<ref>김단희·김남일·안상우, 「《구급간이방》에 대한 소고」, 『한국의사학회지』23, 한국의사학회지, 2010, 48-49쪽.</ref> | ||
− | + | {{연계자원정보 | |
− | + | |연계자원1=[[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
+ | |연계자원2= | ||
+ | |연계자원3= | ||
+ | |연계자원4= | ||
+ | |연계자원5= | ||
+ | }} |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관계망''' |
− | + | <html> | |
− |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204/A204.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html> |
+ | *'''[http://dh.aks.ac.kr/Encyves/Graph/A033/A033.htm 구급간이방 지식관계망]''' | ||
+ | <!--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A033/A03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성종]] || | + | | [[구급간이방]] 편찬 || [[구급간이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조선 성종]] || [[구급간이방]]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내의원]] || [[구급간이방]] 편찬 || A는 B를 주관하였다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구급간이방]] || [[윤호]]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윤호]] || | + | | [[윤호]] || [[구급간이방]]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내의원]] || [[윤호]]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
|- | |- | ||
− | | [[윤관]] || [[윤호]] || A는 B의 선조이다 || | + | | [[윤관]] || [[윤호]] || A는 B의 선조이다 ||A ekc:hasDescendant B |
|- | |- | ||
− | | [[윤호]] || [[정현왕후]] || A는 | + | | [[윤호]] || [[정현왕후]] || A는 딸 B를 두었다 ||A ekc:hasDaughter B |
|- | |- | ||
− | | [[정현왕후]] || [[성종]] || A는 B의 아내이다 || | + | | [[정현왕후]] || [[조선 성종]]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 | |- | ||
− | | [[ | + | | [[구급간이방]] || [[임원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
|- | |- | ||
− | | [[임원준]] || [[ | + | | [[임원준]] || [[구급간이방]]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의방유취]] || [[임원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창진집]] || [[임원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구급방]] || [[임원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내의원]] || [[임원준]]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
|- | |- | ||
− | | [[허종]] || [[ | + | | [[허종]] || [[구급간이방]]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 + | | [[구급간이방]] || [[허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 | | [[ | + | | [[내의원]] || [[허종]]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A foaf:member B |
|- | |- | ||
− | | [[ | + | | [[의문정요]] || [[허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A dcterms:creator B |
|- | |- | ||
− | | [[구급방]] || | + | | [[의방유취]] || [[구급간이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의방유취]] || [[의문정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구급방]] ||[[구급간이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 ||
+ | |- | ||
+ | | [[구급간이방]]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시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style="width:20%px"|시간정보!!style="width:80%px"|내용 | ||
91번째 줄: | 124번째 줄: | ||
| 1466년 || [[임원준]]이 [[구급방]]을 저술하였다 | | 1466년 || [[임원준]]이 [[구급방]]을 저술하였다 | ||
|- | |- | ||
− | | 1489년 || [[성종]]이 | + | | 1489년 || [[조선 성종]]이 [[구급간이방]] 편찬을 명령하였다 |
|- | |- | ||
− | | 1489년 || [[임원준]]이 | + | | 1489년 || [[임원준]]이 [[구급간이방]]을 저술하였다 |
|- | |- | ||
− | | 1466년 || [[윤호]]가 | + | | 1466년 || [[윤호]]가 [[구급간이방]]을 저술하였다 |
|- | |- | ||
− | | 1466년 || [[허종]]이 | + | | 1466년 || [[허종]]이 [[구급간이방]]을 저술하였다 |
|- | |- | ||
| 1504년 || [[허종]]이 [[의문정요]]를 저술하였다 | | 1504년 || [[허종]]이 [[의문정요]]를 저술하였다 | ||
103번째 줄: | 136번째 줄: | ||
|} | |} | ||
− | ==공간정보== | + | ===공간정보===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35.833435 || 128.758046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 | | 35.833435 || 128.758046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은 [[구급간이방]]을 소장하였다. |
|- | |- | ||
|} | |} | ||
115번째 줄: | 148번째 줄: | ||
</googlemap> | </googlemap>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gallery> | ||
+ | 파일:구급간이방언해.jpg | 구급간이방 | ||
+ | </gallery> | ||
+ | ==주석== | ||
+ | <references/>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더 읽을 거리=== | ||
*단행본 | *단행본 | ||
− | * | +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역주)구급간이방언해』,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8. |
*논문 | *논문 | ||
− | * | + | **김남경, 「《구급간이방》의 국어학적 연구」, 『어문학』70, 한국어문학회, 2000. |
− | * | + | **김현진, 「《구급방언해(救急方諺解)》의 표기법과 음운현상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 | * | + | **안병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05667 구급간이방]",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 * | + | *웹자원 |
− | * | + | **"[http://kyujanggak.snu.ac.kr/home/index.do?idx=06&siteCd=KYU&topMenuId=206&targetId=379&gotourl=http://kyujanggak.snu.ac.kr/home/MOK/CONVIEW.jsp?type=MOK^ptype=list^subtype=sm^lclass=AL^ntype=sj^cn=GI40529_00 구급간이방]", <html><online style="color:purple">『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sup>online</sup></online></html>. |
− | |||
− | |||
− | < | ||
− | |||
− | [[분류: | + | [[분류:한글고문서]] |
− | [[분류: | + | [[분류:전시자료]] |
− | [[분류: | + | [[분류:문헌]] |
− |
2017년 12월 8일 (금) 01:41 기준 최신판
구급간이방 | |
한자명칭 | 救急簡易方 |
---|---|
영문명칭 | The most complet first-aid book |
작자 | 윤호 등 |
작성시기 | 1489년 |
간행시기 | 조선초기 |
소장처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유형 | 고서 |
크기(세로×가로) | 26.6×18.6㎝ |
판본 | 목판본, 초간, 16세기 중간본 |
수량 | 1冊(권7) |
표기문자 | 한글, 한자 |
목차
정의
윤호 등이 조선 성종의 명을 받고 1489년 편찬한 의학서이다.
내용
장서각 한글 특별전 내용
일반 백성들도 이 책을 활용해 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방문마다 한글로 언해를 덧붙였다. 『구급간이방』의 서문에는 출간에 참여한 인물을 나열했는데, 『의방유취(醫方類聚)』의 출간에 참여했던 임원준(任元濬)과 『의방유취』의 요약판인 『의문정요(醫門精要)』를 저술한 허종(許琮, 1434~1494)이 주축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성종실록』 20년 5월조에 “내의원 제조 영돈녕 윤호 등이 신찬 『구급간이방』을 진상하니, 임금이 말하기를 간행하여 중외 여러 고을에 두루 반포하여 여항 소민으로 하여금 모두 얻어 볼 수 있게 하라 하였다.”고 기록된 것으로 볼 때 일반 백성들을 대상으로 이 책을 준비하여 1489년 5월에 완성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은 구급방서 중에서 가장 광범위하고 구체적인 것으로 질병을 중풍과 두통 등 127종으로 나누어 그 치료 방문을 모아 엮었다. 조선 초기에 간행된 의서로는 드물게 현재까지 전해 내려와 그 가치가 매우 높다. 언해 부분 또한 15세기 국어학 연구에도 많은 도움을 제공하고 있다. 반치음의 불규칙한 사용이나 어두의 경음화가 보이며, 약초와 관련된 독특한 어휘가 많다.[1]
구급간이방 편찬
편찬자들
『구급간이방』의 편찬을 총괄한 인물인 윤호(尹壕, 1424~1496)는 성종의 장인이며 중종의 외할아버지이다. 그는 내의원에 있으면서 『구급간이방』의 편찬에 주력했고 고려 명장 윤관의 후손으로 성품이 검소하여 후에 우의정까지 올랐다. 임원준은 호조판서에 오른 인물로 의학에 조예가 깊어 『의방유취』, 『창진집』등을 저술했다. 세조대에 간행된 『구급방』 또한 임원준이 주도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허종은 허준과 같은 집안의 사람으로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큰 공을 세웠는데 의학에도 조예가 깊어 내의원 제조(提調)를 맡았다. 『향약집성방』을 언해하였고, 『의방유취』를 요약하여 『의문정요』를 저술하였다. 즉 『구급간이방』의 편찬을 주도한 인물들이 당시 사회적 명성을 지녔으면서 의학에도 조예가 깊은 이들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구급간이방』를 편찬하는 일이 국가적 중대사였음을 알 수 있게 해주는 부분이다[2]
편찬의도
허종이 쓴 서문에 쓰인 『구급간이방』의 편찬의도는 외딴 시골, 벽지에 있는 백성에게 생긴 병이라도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고 주변에서 구할 수 있는 손쉬운 약재로 병을 치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급간이방』은 『의방유취(醫方類聚)』와 구급의서(救急醫書)인 『구급방(救急方)』을 보완하여 만들어졌다. 백성이 이용하기 쉽게 하기 위해 방언(방문, 약을 짓기 위해 필요한 약의 이름과 분량을 적은 글)의 형태로 기록했고 언해를 하였다. 그리고 다량으로 인쇄·배포하여 집집마다 보관하게 하였다.[3] 원간본을 을해자 목판본으로 만들었고 그것을 각 지방에서 복각한 것으로 보인다.[4]
구급간이방의 내용과 특징
『구급간이방』는 『구급방』이나 『언해구급방』과 비교하여 2배~3배 많은 병증을 다루어 다양한 구급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첫 번째 언급한 것이 중풍(中風)인데 이는 중풍을 가장 위급한 병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각 경우마다 제일 처음에는 마땅히 쓸 수 있는 처방명이 나오고 그 다음에는 구체적인 증상에 따른 치료법이 나온다. 약 방문은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 위주로 하였으며 모든 내용의 원문(한문) 밑에는 언해를 붙여두고 있다. 또 부녀와 어린아이에 대한 치료법을 따로 기록하고 있는 것도 특징이다. 이를 통해 모든 연령층의 상황을 포괄하려 했음을 알 수 있다.[5]
연계 자원 보러 가기 |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
지식 관계망
- 의서를 언해하여 백성의 목숨을 구하다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구급간이방 편찬 | 구급간이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 성종 | 구급간이방 편찬 | A는 B를 명령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내의원 | 구급간이방 편찬 | A는 B를 주관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구급간이방 | 윤호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윤호 | 구급간이방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내의원 | 윤호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윤관 | 윤호 | A는 B의 선조이다 | A ekc:hasDescendant B |
윤호 | 정현왕후 | A는 딸 B를 두었다 | A ekc:hasDaughter B |
정현왕후 | 조선 성종 | A는 B의 아내이다 | A ekc:hasHusband B |
구급간이방 | 임원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임원준 | 구급간이방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의방유취 | 임원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창진집 | 임원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구급방 | 임원준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내의원 | 임원준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허종 | 구급간이방 편찬 | A는 B에 참여하였다 | A edm:isRelatedTo B |
구급간이방 | 허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내의원 | 허종 | A는 B를 구성원으로 갖는다 | A foaf:member B |
의문정요 | 허종 |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의방유취 | 구급간이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의방유취 | 의문정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구급방 | 구급간이방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구급간이방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시간정보
시간정보 | 내용 |
---|---|
1445년 | 임원준이 의방유취을 저술하였다 |
세조시기 | 임원준이 창진집을 저술하였다 |
1466년 | 임원준이 구급방을 저술하였다 |
1489년 | 조선 성종이 구급간이방 편찬을 명령하였다 |
1489년 | 임원준이 구급간이방을 저술하였다 |
1466년 | 윤호가 구급간이방을 저술하였다 |
1466년 | 허종이 구급간이방을 저술하였다 |
1504년 | 허종이 의문정요를 저술하였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5.833435 | 128.758046 | 영남대학교 중앙도서관은 구급간이방을 소장하였다. |
시각자료
갤러리
주석
-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한글 - 소통과 배려의 문자』,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6, 86쪽.
- ↑ 김단희·김남일·안상우, 「《구급간이방》에 대한 소고」, 『한국의사학회지』23, 한국의사학회지, 2010, 50-53쪽.
- ↑ 김단희·김남일·안상우, 「《구급간이방》에 대한 소고」, 『한국의사학회지』 23, 한국의사학회지, 2010, 45-46쪽.
- ↑ 강유리, 「《구급간이방언해(救急簡易方諺解)》와 《동의보감(東醫寶鑑) 탕액편(湯液篇)》의 약재명에 대한 비교」,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쪽.
- ↑ 김단희·김남일·안상우, 「《구급간이방》에 대한 소고」, 『한국의사학회지』23, 한국의사학회지, 2010, 48-4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