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응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서응윤(徐應潤) 조선 후기 성주 출신의 문인이자 학자. [개설] 처음 이름은 할아버지가 태어나는 날 저녁에 꿈속에서 주공이 강림하...)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개설] | [개설] | ||
− | 처음 이름은 할아버지가 태어나는 날 저녁에 꿈속에서 주공이 강림하는 꿈을 꾸었으므로 서몽원(徐夢元)이라 하였다. 향인(鄕人)들이 [[서유자(조선)|서유자]](徐孺子)라는 일종의 사시(私諡)로 일컬었다. | + | 처음 이름은 할아버지가 태어나는 날 저녁에 꿈속에서 주공이 강림하는 꿈을 꾸었으므로 [[서몽원(조선)|서몽원]](徐夢元)이라 하였다. 향인(鄕人)들이 [[서유자(조선)|서유자]](徐孺子)라는 일종의 사시(私諡)로 일컬었다. |
[가계] | [가계] | ||
− | 본관은 [[달성서씨]](達城). 자는 주성(周聖), 호는 우금(友琴). 9세조 [[서효동(조선)|서효동]](徐孝東)이 임진왜란을 피하여 성주로 옮겨 살았다. 고조할아버지는 [[서국병(조선)|서국병]](徐國柄)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서창일(조선)|서창일]](徐昌日)이며, 할아버지는 서경흥(徐慶興)이다. 아버지는 [[서택호(조선)|서택호] | + | 본관은 [[달성서씨]](達城). 자는 주성(周聖), 호는 우금(友琴). 9세조 [[서효동(조선)|서효동]](徐孝東)이 임진왜란을 피하여 성주로 옮겨 살았다. 고조할아버지는 [[서국병(조선)|서국병]](徐國柄)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서창일(조선)|서창일]](徐昌日)이며, 할아버지는 [[서경흥(조선)|서경흥]](徐慶興)이다. 아버지는 [[서택호(조선)|서택호]](徐宅鎬)이고, 어머니는 김해 김씨(金海金氏)로 김치우(金致祐)의 딸이다. |
+ | |||
+ | == 가족 == | ||
+ | * : [[서국병(조선)|서국병]](徐國柄) | ||
+ | ** : [[서창일(조선)|서창일]](徐昌日) | ||
+ | *** : [[서경흥(조선)|서경흥]](徐慶興) | ||
+ | **** : [[서택호(조선)|서택호]](徐宅鎬) | ||
+ | ***** : [[서응윤]](徐應潤) | ||
[활동 사항] | [활동 사항] | ||
21번째 줄: | 28번째 줄: | ||
[상훈과 추모] | [상훈과 추모] | ||
1869년(고종 6) 동몽교관 조봉대부(童蒙敎官朝奉大夫)로 특별히 증직(贈職)되었다. 도내 유생들이 세 번이나 상소(上疏)하여 예조(禮曹)에서 마을에 정려(旌閭)를 내렸다. | 1869년(고종 6) 동몽교관 조봉대부(童蒙敎官朝奉大夫)로 특별히 증직(贈職)되었다. 도내 유생들이 세 번이나 상소(上疏)하여 예조(禮曹)에서 마을에 정려(旌閭)를 내렸다. | ||
+ | |||
+ | |||
+ | == [[달성서씨 유허비 비문]](達城徐氏遺墟碑碑文) == | ||
+ | 대구 달성공원 (達城公園)의 역사 얽힌 땅은 돌 한덩이 나무 한 그루도 무심히 볼 것이 아니어서 나그네는 멈추고 제 고장 사람들도 이대로 다시 들려보는 것이니 그것은 돌과 나무가 귀해서가 아니라 거기에 아로새겨 놓은 역사가 귀하기 때문이며 그것도 아름다운 역사일 경우에는 더욱 더 그러한 법이다. 여기에 달성(達城)공원은 바로 그 역사 얽힌 곳이니 바라보라 저 玄風(현풍) 琵瑟山 (비슬산)이 동북으로 뻗어 最頂上(최정상)이 되고 다시 서북으로 달려 大德山(대덕 산)을 이루고 그것이 또 북으로 뻗어내려 작은 언덕이 되었다가 그대로 서쪽으로 구불거려 圓山(원산)이 되고 거기서 다시 북으로 뻗어졌다 동으로 굽이 틀어 평지로 내려오다 고개 들고 일어나 동향하여 앉는 것이 바로 여긴데 앞에는 嶺南(영남) 의 웅도 大邱(대구)시가요 뒤에는 臥龍山(와룡산)이 병풍과 같이 둘러쳤으며 멀리 동북에는 八公山(팔공산)이 솟아 둘리고 굽이도는 琴湖江(금호강)이 서로 洛東江 (낙동강)이 흘러들어 강산풍경이 이와 같거늘 어찌 인물의 역사가 없을 가 보냐 | ||
+ | |||
+ | == [[효양산 전설문화축제]](孝養山 傳說文化祝祭) == | ||
+ | 장위공 [[서희]](徐熙) 선생을 되새겨 볼 수 있고, [[서신일]](徐神逸)선생의 은혜 갚은 사슴과 황금송아지 전설이 있는 [[효양산]]의 주요 6개소(물명당, 효양정, 금송아지상, 은선사, [[서씨]](徐氏)시조 [[서신일]](徐神逸)묘, 금광굴)를 탐방하며, [[효양산]]의 청취를 만끽할 수 있다. | ||
+ | [[서희문화제]](徐熙文化祭)로 명칭 변경 | ||
+ | |||
+ | == [[이섭대천]](利涉大川) == | ||
+ | 창전동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세워져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면서 후백제와 마지막 일전을 치르기 위해 출정길에 올랐다가 장마로 물이 불어난 복하천(福河川)을 건너지 못해 곤경에 빠졌을 때 '[[서목]](徐穆)'이라는 이천 사람의 도움으로 무사히 복하천을 건너 후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다. 그 후 왕건이 [[서목]](徐穆)의 도움에 대한 보답으로 '[[이섭대천]]'이라는 고사에서 따다가 이 지역에 ‘이천(利川)’이라는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 | ||
+ | |||
+ | 이천의 유래에 관한 이 일화를 기념하기 위해 1989년 11월 이천 지역 토박이 원로들의 모임인 이원회(利元會)가 중심이 되어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2단으로 된 방형의 대좌 위에 길고 커다란 자연석 형태의 흑요암을 올려놓았으며 흑요암 중앙에 '利涉大川([[이섭대천]])'이라는 글씨를 커다랗게 새겨 넣었다. | ||
+ | |||
+ | ==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 | ||
+ | |||
+ |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 ||
+ |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 ||
+ | |||
+ | == 같이 보기 == | ||
+ | * [[이천 서씨]] | ||
+ | * [[대구 서씨]] | ||
+ | * [[달성 서씨]] | ||
+ | * [[부여 서씨]] | ||
+ | * [[연산 서씨]] | ||
+ | * [[남양 서씨]] | ||
+ | * [[당성 서씨]] | ||
+ | * [[봉성 서씨]] | ||
+ | * [[절강 서씨]] | ||
+ | * [[중국 서씨]] | ||
+ | * [[일본 서씨]] |
2024년 2월 12일 (월) 11:09 기준 최신판
서응윤(徐應潤)
조선 후기 성주 출신의 문인이자 학자.
[개설]
처음 이름은 할아버지가 태어나는 날 저녁에 꿈속에서 주공이 강림하는 꿈을 꾸었으므로 서몽원(徐夢元)이라 하였다. 향인(鄕人)들이 서유자(徐孺子)라는 일종의 사시(私諡)로 일컬었다.
[가계] 본관은 달성서씨(達城). 자는 주성(周聖), 호는 우금(友琴). 9세조 서효동(徐孝東)이 임진왜란을 피하여 성주로 옮겨 살았다. 고조할아버지는 서국병(徐國柄)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서창일(徐昌日)이며, 할아버지는 서경흥(徐慶興)이다. 아버지는 서택호(徐宅鎬)이고, 어머니는 김해 김씨(金海金氏)로 김치우(金致祐)의 딸이다.
목차
가족
[활동 사항] 서응윤(徐應潤)[1836~1862]은 어려서부터 매우 영민하고 자질이 뛰어나 놀랄 만한 언행을 많이 보였다. 10세 전에 사리를 알고 우주의 이치에 대해 말하였으며 인사(人事)를 논하였을 뿐 아니라, 각종 서체에 능하고 운서(韻書)[한자(漢字)의 운(韻)을 분류하여 일정한 순서로 배열한 서적을 통틀어 이름]에도 밝았다. 12세 때 시를 짓고 음률(音律)에 정통하여 우금(友琴)이라 자호하며 거문고를 잘 타고 피리도 직접 제작하였다. 그 후 충청도 회덕(懷德)으로 석남(石南) 송달수(宋達洙)를 찾아가 가르침을 받고 돌아와서 성리학에 뜻을 두어 『주역(周易)』, 『심경(心經)』 등에 침잠하고 주자(朱子)의 영정을 걸어 두고 아침저녁으로 절하였다. 1853년(철종 4) 아버지가 병을 앓자 정성을 다해 구완하였다. 현몽(現夢)으로 복분자가 병에 좋음을 알고 깊은 산중에서 복분자를 구해 아버지의 병을 낫게 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1857년(철종 8)에도 아버지가 병이 들자 지극한 치성(致誠)으로 꿩이 집으로 날아 들어온 기이한 일이 일어났다. 27세로 요절하였다.
[학문과 저술] 저서로 『서유자문집(徐孺子文集)』 2권 1책, 『성리술집(性理述集)』 8권 5책이 있다.
[묘소] 묘는 경상북도 성주군 가천면 독용산성(禿用山城) 안국사(安國寺) 아래 교목등(喬木嶝)에 있다.
[상훈과 추모] 1869년(고종 6) 동몽교관 조봉대부(童蒙敎官朝奉大夫)로 특별히 증직(贈職)되었다. 도내 유생들이 세 번이나 상소(上疏)하여 예조(禮曹)에서 마을에 정려(旌閭)를 내렸다.
달성서씨 유허비 비문(達城徐氏遺墟碑碑文)
대구 달성공원 (達城公園)의 역사 얽힌 땅은 돌 한덩이 나무 한 그루도 무심히 볼 것이 아니어서 나그네는 멈추고 제 고장 사람들도 이대로 다시 들려보는 것이니 그것은 돌과 나무가 귀해서가 아니라 거기에 아로새겨 놓은 역사가 귀하기 때문이며 그것도 아름다운 역사일 경우에는 더욱 더 그러한 법이다. 여기에 달성(達城)공원은 바로 그 역사 얽힌 곳이니 바라보라 저 玄風(현풍) 琵瑟山 (비슬산)이 동북으로 뻗어 最頂上(최정상)이 되고 다시 서북으로 달려 大德山(대덕 산)을 이루고 그것이 또 북으로 뻗어내려 작은 언덕이 되었다가 그대로 서쪽으로 구불거려 圓山(원산)이 되고 거기서 다시 북으로 뻗어졌다 동으로 굽이 틀어 평지로 내려오다 고개 들고 일어나 동향하여 앉는 것이 바로 여긴데 앞에는 嶺南(영남) 의 웅도 大邱(대구)시가요 뒤에는 臥龍山(와룡산)이 병풍과 같이 둘러쳤으며 멀리 동북에는 八公山(팔공산)이 솟아 둘리고 굽이도는 琴湖江(금호강)이 서로 洛東江 (낙동강)이 흘러들어 강산풍경이 이와 같거늘 어찌 인물의 역사가 없을 가 보냐
효양산 전설문화축제(孝養山 傳說文化祝祭)
장위공 서희(徐熙) 선생을 되새겨 볼 수 있고, 서신일(徐神逸)선생의 은혜 갚은 사슴과 황금송아지 전설이 있는 효양산의 주요 6개소(물명당, 효양정, 금송아지상, 은선사, 서씨(徐氏)시조 서신일(徐神逸)묘, 금광굴)를 탐방하며, 효양산의 청취를 만끽할 수 있다. 서희문화제(徐熙文化祭)로 명칭 변경
이섭대천(利涉大川)
창전동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세워져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면서 후백제와 마지막 일전을 치르기 위해 출정길에 올랐다가 장마로 물이 불어난 복하천(福河川)을 건너지 못해 곤경에 빠졌을 때 '서목(徐穆)'이라는 이천 사람의 도움으로 무사히 복하천을 건너 후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다. 그 후 왕건이 서목(徐穆)의 도움에 대한 보답으로 '이섭대천'이라는 고사에서 따다가 이 지역에 ‘이천(利川)’이라는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
이천의 유래에 관한 이 일화를 기념하기 위해 1989년 11월 이천 지역 토박이 원로들의 모임인 이원회(利元會)가 중심이 되어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2단으로 된 방형의 대좌 위에 길고 커다란 자연석 형태의 흑요암을 올려놓았으며 흑요암 중앙에 '利涉大川(이섭대천)'이라는 글씨를 커다랗게 새겨 넣었다.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