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부여 삼충사) |
잔글 (판 1개를 가져왔습니다)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2번째 줄: | 32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백제 의자왕]] 대의 충신이다. | [[백제 의자왕]] 대의 충신이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내용'''== | =='''내용'''== | ||
− | [[성충]]과 함께 사치와 유흥에 빠져가는 [[백제 의자왕|의자왕]]을 간하다가 유배되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4138 흥수]",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삼국유사]]』 권1 기이1 태종춘추공 조와 『[[삼국사기]]』 권28 백제본기6 의자왕 20년 조(660)의 기록을 살피면 그에 관한 대목이 나온다.<br/>660년(백제 의자왕 20) [[나당연합군]]의 침입을 받고 [[백제 의자왕|왕]]이 유배지에 있는 그에게 사자를 보내어 그 방어책을 문의하자, 흥수는 "대체로 좌평 [[성충]]의 말과 같사옵니다."라고 답하였다.<ref>일연,신태영,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3585&categoryId=49616&cid=49616 태종 춘추공]",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또한 당나라 군사는 [[백강]](白江)을 건너지 못하게 하고, 신라군은 [[탄현]](炭峴)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라고 충언했으나, 대신들은 그 말을 믿지 않고 "흥수가 옥중에 있으므로 임금을 원망하고 나라를 위하지 않을 것이니 그 말을 채용할 수 없습니다."라고 하였다.<ref> "흥수", 『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한국콘텐츠진흥원.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08215&cid=49243&categoryId=49243 흥수]", 문화원형백과-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결국 [[백제 의자왕|의자왕]]은 흥수의 말을 듣지 않았다.<br/>이 때 당군이 이미 [[백강]]을 지나서 진격해오고 신라군은 [[탄현]]을 넘어 공격해온다는 말을 듣자, [[백제 의자왕|왕]]은 어찌할 바를 몰랐다. 이리하여 [[계백]](階伯)이 거느린 5,000명의 결사대는 [[황산벌싸움]]에서 패하고 [[백강]]에서는 수군이 패하여 백제는 멸망하고 말았다.<ref>성주탁, "[ | + | [[성충]]과 함께 사치와 유흥에 빠져가는 [[백제 의자왕|의자왕]]을 간하다가 유배되었다.<ref>"[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4138 흥수]",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삼국유사]]』 권1 기이1 태종춘추공 조와 『[[삼국사기]]』 권28 백제본기6 의자왕 20년 조(660)의 기록을 살피면 그에 관한 대목이 나온다.<br/>660년(백제 의자왕 20) [[나당연합군]]의 침입을 받고 [[백제 의자왕|왕]]이 유배지에 있는 그에게 사자를 보내어 그 방어책을 문의하자, 흥수는 "대체로 좌평 [[성충]]의 말과 같사옵니다."라고 답하였다.<ref>일연,신태영,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3585&categoryId=49616&cid=49616 태종 춘추공]",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또한 당나라 군사는 [[백강]](白江)을 건너지 못하게 하고, 신라군은 [[탄현]](炭峴)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라고 충언했으나, 대신들은 그 말을 믿지 않고 "흥수가 옥중에 있으므로 임금을 원망하고 나라를 위하지 않을 것이니 그 말을 채용할 수 없습니다."라고 하였다.<ref> "흥수", 『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한국콘텐츠진흥원.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08215&cid=49243&categoryId=49243 흥수]", 문화원형백과-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결국 [[백제 의자왕|의자왕]]은 흥수의 말을 듣지 않았다.<br/>이 때 당군이 이미 [[백강]]을 지나서 진격해오고 신라군은 [[탄현]]을 넘어 공격해온다는 말을 듣자, [[백제 의자왕|왕]]은 어찌할 바를 몰랐다. 이리하여 [[계백]](階伯)이 거느린 5,000명의 결사대는 [[황산벌싸움]]에서 패하고 [[백강]]에서는 수군이 패하여 백제는 멸망하고 말았다.<ref>성주탁,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6022 흥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 | ===부여 삼충사=== | + | ===[[부여 삼충사]]=== |
지금도 충청남도 부여군에서는 백제 말의 충신인 [[성충]](成忠), [[계백]](階伯), [[흥수]](興首)의 위국충절을 추모하여 [[부여 부소산성|부소산성]] 내의 [[부여 삼충사|삼충사]](三忠祠)에서 매년 10월 [[삼충제]]를 지내고 있다.<ref>"흥수", 『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한국콘텐츠진흥원.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08215&cid=49243&categoryId=49243 흥수]", 문화원형백과-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지금도 충청남도 부여군에서는 백제 말의 충신인 [[성충]](成忠), [[계백]](階伯), [[흥수]](興首)의 위국충절을 추모하여 [[부여 부소산성|부소산성]] 내의 [[부여 삼충사|삼충사]](三忠祠)에서 매년 10월 [[삼충제]]를 지내고 있다.<ref>"흥수", 『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한국콘텐츠진흥원.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08215&cid=49243&categoryId=49243 흥수]", 문화원형백과-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
+ | == [[부여 의열사]] == | ||
+ |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1575년(선조 8)에 부여 현감 홍가신(洪可臣:1541∼1615)이 건립하였다. 백제 때 충신 [[성충]](成忠)· [[흥수]](興首)·[[계백]](階伯), 고려 말기의 충신 이존오(李存吾:1341∼1371)의 충의가 후세에 전하여지지 않는 것을 안타까워하여 지었다고 한다. | ||
== [[한성백제문화제]](漢城百濟文化祭) == | == [[한성백제문화제]](漢城百濟文化祭) == | ||
113번째 줄: | 49번째 줄: | ||
한성백제문화제에서는 백제의 문화를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대표적으로 한성백제혼불 채화식, 전통놀이 및 문화체험, 도전! 한성백제박사, 한성백제 어울마당, 한성백제 성곽돌기, 역사문화거리행렬 등이 진행된다. | 한성백제문화제에서는 백제의 문화를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대표적으로 한성백제혼불 채화식, 전통놀이 및 문화체험, 도전! 한성백제박사, 한성백제 어울마당, 한성백제 성곽돌기, 역사문화거리행렬 등이 진행된다. | ||
− | == [[백제고분제]](동명제)(百濟古墳齊) == | + | == [[백제고분제]]([[동명제]])(百濟古墳齊) == |
[[백제고분제]]는 백제초기 건국 [[온조왕]]부터 [[개로왕]]까지 493년에 이르는 고도 위례성의 찬란한 문화와 예술을 꽃피운 백제전기왕들의 신령께 제를 드리는 행사로 석촌동 백제초기 적석총(사적 제243호)에서 개최한다. | [[백제고분제]]는 백제초기 건국 [[온조왕]]부터 [[개로왕]]까지 493년에 이르는 고도 위례성의 찬란한 문화와 예술을 꽃피운 백제전기왕들의 신령께 제를 드리는 행사로 석촌동 백제초기 적석총(사적 제243호)에서 개최한다. | ||
126번째 줄: | 62번째 줄: | ||
== [[백제문화제]](百濟文化祭) == | == [[백제문화제]](百濟文化祭) == | ||
백제의 왕도(王都),충청남도 공주시와 부여군에서 개최되는 역사문화축제> 68년을 이어온 백제문화제는 고대 동아시아의 문화강국이었던 백제의 전통성에 근거하여 백제의 수도였던 충청남도 공주시와 부여군에서 1955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역사재현형 축제이다. 또한 2015년7월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계기로 백제의 후예들과 관광객들이 만들어가는 세계적인 역사문화축제로 나아가고 있다. | 백제의 왕도(王都),충청남도 공주시와 부여군에서 개최되는 역사문화축제> 68년을 이어온 백제문화제는 고대 동아시아의 문화강국이었던 백제의 전통성에 근거하여 백제의 수도였던 충청남도 공주시와 부여군에서 1955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역사재현형 축제이다. 또한 2015년7월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계기로 백제의 후예들과 관광객들이 만들어가는 세계적인 역사문화축제로 나아가고 있다. | ||
+ | |||
+ | == [[충화 팔충제]](忠化八忠濟) == | ||
+ |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지석리 팔충사(八忠祠) 일원에서 백제 말의 8충신과 황산벌싸움에서 전사한 5천 결사대의 넋을 추모하기 위해 올리는 제사로 매년 10월 초 백제문화제와 함께 열린다. | ||
== [[삼충제]](三忠祭) == | == [[삼충제]](三忠祭) == | ||
136번째 줄: | 75번째 줄: | ||
==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 | ==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 | ||
− |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 + |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 ||
149번째 줄: | 88번째 줄: | ||
미래의 주역이 될 학생을 대상으로 장위공 서희 선생의 얼과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전국미술대회’, 그리고 10월에는 [[서희]](徐熙) 선생 서거 주기 추모제를 개최한다. | 미래의 주역이 될 학생을 대상으로 장위공 서희 선생의 얼과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전국미술대회’, 그리고 10월에는 [[서희]](徐熙) 선생 서거 주기 추모제를 개최한다. | ||
+ | |||
+ | == 같이 보기 == | ||
+ | * [[이천 서씨]] | ||
+ | * [[대구 서씨]] | ||
+ | * [[달성 서씨]] | ||
+ | * [[부여 서씨]] | ||
+ | * [[연산 서씨]] | ||
+ | * [[남양 서씨]] | ||
+ | * [[당성 서씨]] | ||
+ | * [[봉성 서씨]] | ||
+ | * [[절강 서씨]] | ||
+ | * [[중국 서씨]] | ||
+ | * [[일본 서씨]]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 | * [ | + | * [https://dh.aks.ac.kr/Encyves/Graph/E041/E041.htm 계백 지식관계망] |
<html> | <html>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s://dh.aks.ac.kr/Encyves/Graph/E041/E04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html> | ||
191번째 줄: | 143번째 줄: | ||
#웹 자원 | #웹 자원 |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4138 흥수]",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4138 흥수]",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
− | #* 성주탁, "[ | + | #* 성주탁,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66022 흥수]",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 일연,신태영,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3585&categoryId=49616&cid=49616 태종 춘추공]",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일연,신태영,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2.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3585&categoryId=49616&cid=49616 태종 춘추공]",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 "흥수", 『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한국콘텐츠진흥원.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08215&cid=49243&categoryId=49243 흥수]", 문화원형백과-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 "흥수", 『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한국콘텐츠진흥원.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08215&cid=49243&categoryId=49243 흥수]", 문화원형백과-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
2025년 1월 12일 (일) 19:10 기준 최신판
흥수(興首) | |
대표명칭 | 흥수 |
---|---|
한자표기 | 興首 |
시대 | 삼국 |
국적 | 백제 |
대표직함 | 좌평(佐平) |
유형 | 충신 |
목차
정의
백제 의자왕 대의 충신이다.
내용
성충과 함께 사치와 유흥에 빠져가는 의자왕을 간하다가 유배되었다.[1] 『삼국유사』 권1 기이1 태종춘추공 조와 『삼국사기』 권28 백제본기6 의자왕 20년 조(660)의 기록을 살피면 그에 관한 대목이 나온다.
660년(백제 의자왕 20) 나당연합군의 침입을 받고 왕이 유배지에 있는 그에게 사자를 보내어 그 방어책을 문의하자, 흥수는 "대체로 좌평 성충의 말과 같사옵니다."라고 답하였다.[2] 또한 당나라 군사는 백강(白江)을 건너지 못하게 하고, 신라군은 탄현(炭峴)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라고 충언했으나, 대신들은 그 말을 믿지 않고 "흥수가 옥중에 있으므로 임금을 원망하고 나라를 위하지 않을 것이니 그 말을 채용할 수 없습니다."라고 하였다.[3]결국 의자왕은 흥수의 말을 듣지 않았다.
이 때 당군이 이미 백강을 지나서 진격해오고 신라군은 탄현을 넘어 공격해온다는 말을 듣자, 왕은 어찌할 바를 몰랐다. 이리하여 계백(階伯)이 거느린 5,000명의 결사대는 황산벌싸움에서 패하고 백강에서는 수군이 패하여 백제는 멸망하고 말았다.[4]
부여 삼충사
지금도 충청남도 부여군에서는 백제 말의 충신인 성충(成忠), 계백(階伯), 흥수(興首)의 위국충절을 추모하여 부소산성 내의 삼충사(三忠祠)에서 매년 10월 삼충제를 지내고 있다.[5]
부여 의열사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1575년(선조 8)에 부여 현감 홍가신(洪可臣:1541∼1615)이 건립하였다. 백제 때 충신 성충(成忠)· 흥수(興首)·계백(階伯), 고려 말기의 충신 이존오(李存吾:1341∼1371)의 충의가 후세에 전하여지지 않는 것을 안타까워하여 지었다고 한다.
한성백제문화제(漢城百濟文化祭)
서울특별시 송파구에서 한성백제 문화를 주제로 매년 9월~10월 초에 개최하는 축제
매년 9월 말~10월 초 한성백제 시대의 도읍지였던 서울 송파구에서 개최되는 문화 축제로 1994년 제1회가 열렸다. 현재 송파구 지역은 기원전 18년부터 475년까지 약 500년간 한성백제 수도의 역할을 해 왔다. 때문에 송파에서는 백제의 다양한 유물과 유적들을 만나볼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풍납토성(사적 제11호), 몽촌토성(사적 제297호), 석촌동 고분군(사적 제243호) 등이 있다.
한성백제문화제에서는 백제의 문화를 배우고,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된다. 대표적으로 한성백제혼불 채화식, 전통놀이 및 문화체험, 도전! 한성백제박사, 한성백제 어울마당, 한성백제 성곽돌기, 역사문화거리행렬 등이 진행된다.
백제고분제(동명제)(百濟古墳齊)
백제고분제는 백제초기 건국 온조왕부터 개로왕까지 493년에 이르는 고도 위례성의 찬란한 문화와 예술을 꽃피운 백제전기왕들의 신령께 제를 드리는 행사로 석촌동 백제초기 적석총(사적 제243호)에서 개최한다.
숭렬전(崇烈殿)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에 있는 온조왕의 위패를 모시기 위하여 창건한 사당. 1972년 5월 4일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온조왕묘(溫祚王廟)
경기도 광주시와 충청남도 직산군에 있는 백제의 시조인 온조왕을 제향하기 위해 세운 사당.
백제를 세워 국민을 계몽하고 교화한 온조왕의 공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현재 두 곳에 있다. 한 곳은 충청남도 직산에 중건된 것이고, 한 곳은 경기도 광주의 남한산성 안에 있는 것으로 창건 연대는 미상이나 고려 때 세운 것으로 전한다
백제문화제(百濟文化祭)
백제의 왕도(王都),충청남도 공주시와 부여군에서 개최되는 역사문화축제> 68년을 이어온 백제문화제는 고대 동아시아의 문화강국이었던 백제의 전통성에 근거하여 백제의 수도였던 충청남도 공주시와 부여군에서 1955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역사재현형 축제이다. 또한 2015년7월 백제역사유적지구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계기로 백제의 후예들과 관광객들이 만들어가는 세계적인 역사문화축제로 나아가고 있다.
충화 팔충제(忠化八忠濟)
충청남도 부여군 충화면 지석리 팔충사(八忠祠) 일원에서 백제 말의 8충신과 황산벌싸움에서 전사한 5천 결사대의 넋을 추모하기 위해 올리는 제사로 매년 10월 초 백제문화제와 함께 열린다.
삼충제(三忠祭)
매년 10월에 열리는 백제문화제 때 이곳에서 삼충제(三忠祭)
백제 말의 세 충신인 성충(成忠), 흥수(興首), 계백(階伯)에게 올리는 제사. 매년 충남 부여와 공주에서 개최되는 백제 문화제 중의 하나이다.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15호. 소재지 : 충남(忠南) 부여군(扶餘郡) 부여읍(扶餘邑) 쌍북리(雙北里) 40-1번지. 백제(百濟)의 충신이었던 성충(成忠)ㆍ흥수(興首)ㆍ계백(階伯)을 기리기 위해 지은 사당이다.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장위공 서희문화제(徐熙文化祭)
이천시는 외교 협상가로서 장위공의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서희(徐熙) 선생의 숭고한 정신을 알리고자 서희 선생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역사 문화 축제를 연다.
글로벌 축제를 지향하며, 우리나라 주변에서 발생하는 여러 갈등 상황에 주목해 평화적 소통과 교류에 대한 방법을 찾아보고, ‘외교, 평화, 역사’를 테마로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관내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서희(徐熙) 선생의 일대기와 외교적 리더십에 관한 역할극, 토론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꿈을 키우며 갈등을 해결하는 능력을 길러 미래 사회를 이끄는 리더로서의 성장하도록 한다.
9월에 개최되는 ‘장위공 서희(徐熙) 문화제’는 위드 코로나 시대에 안전하게 즐길 만한 지속 가능한 모델을 제시하며 온·오프라인을 병행해 사전 예약제 등 다양한 형태로 진행한다.
미래의 주역이 될 학생을 대상으로 장위공 서희 선생의 얼과 정신을 계승하기 위한 ‘전국미술대회’, 그리고 10월에는 서희(徐熙) 선생 서거 주기 추모제를 개최한다.
같이 보기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흥수 | 부여 삼충사 | A는 B에 제향되었다 | A ekc:isEnshrinedIn B |
흥수공상 | 부여 삼충사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흥수공상 | 흥수 |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 A ekc:depicts B |
흥수 | 백제 의자왕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성충 | 흥수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흥수 | 삼국유사 | A는 B에 언급되었다 | A ekc:isMentionedIn B |
흥수 | 삼국사기 | A는 B에 언급되었다 | A ekc:isMentionedIn B |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 ↑ "흥수",
『doopedia』online , 두산백과. - ↑ 일연,신태영,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한국인문고전연구소, 2012. 온라인 참조: "태종 춘추공", 원문과 함께 읽는 삼국유사,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흥수", 『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한국콘텐츠진흥원. 온라인 참조: "흥수", 문화원형백과-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 ↑ 성주탁, "흥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 한국학중앙연구원. - ↑ "흥수", 『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한국콘텐츠진흥원. 온라인 참조: "흥수", 문화원형백과-삼국유사 사전/박물지 시범개발,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웹 자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