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관의 편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복식 → 복장===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항목A!!항목B!!관계 |- | 갓 || '''{{PAGENAME}}''' || A는 B의 일습이다 |- | [...)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복식 |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복장정보 |
− | !항목A!!항목B!!관계 | + | |사진= 궁중기록화 복장 백관의 편복 김아람.png |
+ | |사진출처= | ||
+ | |대표명칭= 백관의 편복 | ||
+ | |한자표기= 百官의 便服 | ||
+ | |이칭별칭= | ||
+ | |분류= 편복 | ||
+ | |착용신분= [[백관]] | ||
+ | |착용성별= 남성 | ||
+ | }} | ||
+ | |||
+ | =='''정의'''== | ||
+ | 조선의 [[백관]]이 평상시 일상복으로 착용하는 복식 일습이다. | ||
+ | |||
+ | =='''내용'''== | ||
+ | [[백관의 편복|편복]]에 대한 사전적 의미는 ‘평상시에 입는 옷[常服]’이다. 조선시대 남자들의 기본 복식은 [[바지]]와 [[저고리(남성)|저고리]]이며, 그 위에 포(袍)를 입는다. 조선시대는 의(義)와 예(禮)가 존중되던 시대였기 때문에 사대부에서 평민에 이르기까지 집에서도 포를 착용하는 것을 예의로 여겼다.<ref>차서연, 「徐有榘의 服飾觀 - 「贍用志」 '服飾之具‘의 분석을 중심으로 -」,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41쪽.</ref> | ||
+ | |||
+ | ===복식구성=== | ||
+ | * [[갓 | 갓[笠]]], [[도포 | 도포(道袍)]], [[세조대 | 세조대(細絛帶)]], [[혜]] | ||
+ | * [[갓 | 갓[笠]]], [[창의 | 창의(氅衣)]], [[세조대 | 세조대(細絛帶)]], [[혜]] | ||
+ | * [[복건 | 복건(幅巾)]], [[학창의 | 학창의(鶴氅衣)]], [[세조대 | 세조대(細絛帶)]], [[혜]] | ||
+ | * [[복건 | 복건(幅巾)]], [[심의 | 심의(深衣)]], [[대대(백관) | 대대(大帶)]], [[혜]] | ||
+ | |||
+ | =='''지식 관계망'''==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B053/B053.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B070/B070.htm 백관의 편복2 일습 지식관계망]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B071/B071.htm 백관의 편복3 일습 지식관계망] | ||
+ | *[http://dh.aks.ac.kr/Encyves/Graph/B072/B072.htm 백관의 편복4 일습 지식관계망] | ||
+ | |||
+ | ===관계정보===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 [[백관]] || 백관의 편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
|- | |- | ||
− | | [[ | + | | 백관의 편복 || [[갓]]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 | 백관의 편복 || [[도포]]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 ||
− | | [[혜]] || | + | | 백관의 편복 || [[세조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 ||
+ | | 백관의 편복 || [[혜(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백관의 편복 || [[창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백관의 편복 || [[복건]]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백관의 편복 || [[학창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백관의 편복 || [[심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백관의 편복 || [[대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시간정보=== | ||
+ | ===공간정보=== | ||
+ | |||
+ | =='''시각자료'''== | ||
+ | ===갤러리=== | ||
+ | ===영상=== | ||
+ | |||
+ | =='''주석'''==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인용 및 참조=== | ||
+ | * 송미경, 「김확[金矱:1572~1633]묘 유물을 통해 본 17세기 남자 포에 관한 연구」, 『服飾』 57권 7호, 한국복식학회, 2007. | ||
+ | * 장인우, 「조선중기 일상복의 구조와 구성-16·17C출토 복식 중심-」, 『服飾』 35권, 한국복식학회, 1997. | ||
+ | * 정희정, 「朝鮮後期 便服袍에 관한 硏究 : 形態, 種類의 多樣性이 주는 意味」,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
+ | * 진미희, 「朝鮮時代 男子 便服冠帽에 관한 考察」,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 ||
+ | * 최정욱, 「조선시대 편복(便服) 포(袍)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학술대회』 6권,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7. | ||
+ | * 홍나영, 「출토복식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남자 편복포의 시대구분」, 『服飾』 58권 5호, 한국복식학회, 2008. | ||
+ | |||
+ | ===일러스트 참고문헌=== | ||
+ | * 황의숙, 김소현, 이윤주, 진선희, 김혜수, 박상희, 『한국의상 교육용 매뉴얼 개발』, 배화여자대학교, 2012. | ||
[[분류:궁중기록화]] | [[분류:궁중기록화]] | ||
[[분류:복장]] | [[분류:복장]] |
2017년 11월 14일 (화) 20:57 기준 최신판
백관의 편복 (百官의 便服) |
|
대표명칭 | 백관의 편복 |
---|---|
한자표기 | 百官의 便服 |
분류 | 편복 |
착용신분 | 백관 |
착용성별 | 남성 |
목차
정의
조선의 백관이 평상시 일상복으로 착용하는 복식 일습이다.
내용
편복에 대한 사전적 의미는 ‘평상시에 입는 옷[常服]’이다. 조선시대 남자들의 기본 복식은 바지와 저고리이며, 그 위에 포(袍)를 입는다. 조선시대는 의(義)와 예(禮)가 존중되던 시대였기 때문에 사대부에서 평민에 이르기까지 집에서도 포를 착용하는 것을 예의로 여겼다.[1]
복식구성
- 갓[笠], 도포(道袍), 세조대(細絛帶), 혜
- 갓[笠], 창의(氅衣), 세조대(細絛帶), 혜
- 복건(幅巾), 학창의(鶴氅衣), 세조대(細絛帶), 혜
- 복건(幅巾), 심의(深衣), 대대(大帶), 혜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백관 | 백관의 편복 | A는 B를 착용하였다 | A ekc:wears B |
백관의 편복 | 갓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편복 | 도포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편복 | 세조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편복 | 혜(남성)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편복 | 창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편복 | 복건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편복 | 학창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편복 | 심의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백관의 편복 | 대대 |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 A dcterms:hasPart B |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 ↑ 차서연, 「徐有榘의 服飾觀 - 「贍用志」 '服飾之具‘의 분석을 중심으로 -」,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41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송미경, 「김확[金矱:1572~1633]묘 유물을 통해 본 17세기 남자 포에 관한 연구」, 『服飾』 57권 7호, 한국복식학회, 2007.
- 장인우, 「조선중기 일상복의 구조와 구성-16·17C출토 복식 중심-」, 『服飾』 35권, 한국복식학회, 1997.
- 정희정, 「朝鮮後期 便服袍에 관한 硏究 : 形態, 種類의 多樣性이 주는 意味」,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진미희, 「朝鮮時代 男子 便服冠帽에 관한 考察」,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 최정욱, 「조선시대 편복(便服) 포(袍)에 관한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학술대회』 6권,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7.
- 홍나영, 「출토복식을 통해서 본 조선시대 남자 편복포의 시대구분」, 『服飾』 58권 5호, 한국복식학회, 2008.
일러스트 참고문헌
- 황의숙, 김소현, 이윤주, 진선희, 김혜수, 박상희, 『한국의상 교육용 매뉴얼 개발』, 배화여자대학교,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