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이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새 문서: {{궁중기록화관 Top icon}} {{물품정보 |사진= 궁중기록화_물품_유이지_대사례의궤_규장각.jpg |사진출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s...) |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관련단체= | |관련단체= | ||
|관련장소= [[성균관|성균관(成均館)]] | |관련장소= [[성균관|성균관(成均館)]] | ||
− | |관련물품= | + | |관련물품= [[벌준소성사기(罰尊所盛沙器)]], [[치|치(觶)]] |
|관련유물유적= | |관련유물유적= | ||
}} | }} | ||
=='''정의'''== | =='''정의'''== | ||
− | + | [[대사례]]에서 벌주를 술잔에 따르는데 사용하는 국자이다. | |
=='''내용'''== | =='''내용'''== | ||
− | + | 활쏘기가 끝난 후 [[벌준소성사기|벌준소성사기(罰尊所盛沙器)]] 안에 담긴 벌주를 유이지로 퍼서 [[치|치(觶)]]에 담으면 명중시키지 못한 자들이 나와 마셨다.<br/> | |
+ | [[공조|공조(工曹)]]에서 제작하였다. | ||
=='''지식 관계망'''== | =='''지식 관계망'''== | ||
28번째 줄: | 29번째 줄: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유이지(鍮耳只) || [[ | + | | 유이지(鍮耳只) || [[벌준탁|벌준탁(罰尊卓)]] || A는 B에 올려졌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유이지(鍮耳只) || [[벌준소성사기|벌준소성사기(罰尊所盛沙器)]]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유이지(鍮耳只) || [[치|치(觶)]]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유이지(鍮耳只) || [[대사례의|대사례의(大射禮儀)]]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
+ | |- | ||
+ | | [[대사례|대사례(大射禮)]] || [[대사례의|대사례의(大射禮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유이지(鍮耳只) || [[대사례의궤|『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유이지(鍮耳只) || [[대사례의궤|『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
|- | |- | ||
− | | 유이지(鍮耳只) || [[ | + | | 유이지(鍮耳只) || [[공조|공조(工曹)]]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 ||
48번째 줄: | 57번째 줄: | ||
*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 *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 ||
* 국립민속박물관, 『조선시대 대사례와 향사례』, 국립민속박물관, 2009. | * 국립민속박물관, 『조선시대 대사례와 향사례』, 국립민속박물관, 2009. | ||
− | * | + | * 허태구, "[http://kyujanggak.snu.ac.kr/dohae/sub/schDetail.jsp?no=D0961&category=A&sWord=유이지 유이지(鍮耳只)]",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더 읽을거리=== | ===더 읽을거리=== |
2017년 9월 30일 (토) 15:36 판
유이지(鍮耳只) | |
대표명칭 | 유이지 |
---|---|
한자표기 | 鍮耳只 |
유형 | 의례 물품 |
시대 | 조선 |
용도 | 군례(軍禮)-대사례(大射禮)에 사용 |
관련장소 | 성균관(成均館) |
관련물품 | 벌준소성사기(罰尊所盛沙器), 치(觶) |
정의
대사례에서 벌주를 술잔에 따르는데 사용하는 국자이다.
내용
활쏘기가 끝난 후 벌준소성사기(罰尊所盛沙器) 안에 담긴 벌주를 유이지로 퍼서 치(觶)에 담으면 명중시키지 못한 자들이 나와 마셨다.
공조(工曹)에서 제작하였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유이지(鍮耳只) | 벌준탁(罰尊卓) | A는 B에 올려졌다 | A ekc:goesWith B |
유이지(鍮耳只) | 벌준소성사기(罰尊所盛沙器)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유이지(鍮耳只) | 치(觶) | A는 B와 같이 사용되었다 | A ekc:goesWith B |
유이지(鍮耳只) | 대사례의(大射禮儀) | A는 B에 사용되었다 | A ekc:isUsedIn B |
대사례(大射禮) | 대사례의(大射禮儀)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유이지(鍮耳只) |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 B는 A에 그려져 있다 | B ekc:isDepictedIn A |
유이지(鍮耳只) | 공조(工曹)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시각자료
갤러리
유이지[1]
주석
- ↑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대사례의궤(大射禮儀軌)』
- 국립민속박물관, 『조선시대 대사례와 향사례』, 국립민속박물관, 2009.
- 허태구, "유이지(鍮耳只)",
『조선시대 왕실문화 도해사전』online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더 읽을거리
- 김경미, 「조선시대 군례 의식의 복식 분석과 장면의 재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박종배, 「조선시대 성균관 대사례의 시행과 그 의의」, 『교육사학연구』제13호, 교육사학회, 2003, 33~58쪽.
- 신병주, 「영조대 대사례의 실시와 『대사례의궤』」, 『한국학보』제28호, 일지사, 2002, 61~90쪽.
- 이찬우, 「조선시대 활쏘기 의식 : 18세기 영ㆍ정조 시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이왕무, 「조선전기 군례의 정비와 사례의 의례화」, 『동양고전연구』제54호, 동양고전학회, 2014, 319~348쪽.
- 최규순, 「반지(扳指)와 깍지(角指)」, 『문헌과 해석』제42호, 태학사, 2008, 83~9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