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시각자료) |
|||
68번째 줄: | 68번째 줄: | ||
=='''시각자료'''== | =='''시각자료'''== | ||
===가상현실=== | ===가상현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석'''== | =='''주석'''== |
2017년 8월 18일 (금) 23:32 판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
|
대표명칭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
---|---|
한자표기 | 孝懿王后國葬都監儀軌 |
주제 | 흉례(凶禮) |
작성주체 | 국장도감(國葬都監) |
의례담당자 | 임한호(林漢浩) |
작성지역 | 한성부 |
작성시기 | 1821년(순조 21) |
소장처(원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정족산성) |
판본 | 필사본 |
표기문자 | 한자, 이두 |
수량 | 어람용: 총 3책 525장(제1책 196장, 제2책 195장, 제3책 134장) 정족산성: 총 4책 691장(제1책 196장, 제2책 190장, 제3책 135장, 제4책 170장) |
크기 | 어람용: 46.1×33.2 정족산성: 45.8×33.1 |
도설 | 79면(채색) |
반차도 | 40면(제2책)(채색) 총 길이: 약 1,320㎝ |
목차
정의
1821년 효의왕후(孝懿王后)의 장례를 치르는 국장(國葬)[1]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효의왕후는 1821년 3월 9일 창경궁 자경전에서 승하하였다. 3월 13일 창경궁 환경전에 빈전(殯殿)을 차렸으며, 9월 10일 발인하였다. 9월 13일 건릉(健陵)[2]에 안치되었다.
해제
국립중앙박물관 해제(제1책)
국립중앙박물관 해제(제2책)
국립중앙박물관 해제(제3책)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해제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454), (2455), (2453)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오대산본(奎 13647), 춘추관본(奎 13648), 강화부본(奎 13649)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예조본(K2-3043), (K2-3044), (K2-3045), (K2-3046)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 | 상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821년 3월 9일 | 효의왕후가 창경궁 자경전에서 승하하였다 |
1821년 | 『효의왕후국장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213759 | 126.9869674 | 사적 제206호인 건릉(健陵)은 정조와 효의왕후의 무덤이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주석
- ↑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장례는 국장(國葬)이라하며, 세자와 세자빈 이하는 예장(禮葬)이라 한다.
- ↑ 원래 효의왕후의 능호는 정릉(靜陵)으로 정해졌지만 정조의 건릉(健陵)에 함께 안장되면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조선 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