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판본)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궁중기록화관 Top icon}} | ||
{{의궤정보 | {{의궤정보 | ||
− | |이미지= | + | |이미지= 궁중기록화_의궤_흉례_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상_외규장각.jpg |
− | |대표명칭=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 + |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
− | |주제= | + | |대표명칭=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
− | |작성주체= [[국장도감 | + | |한자표기= 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 |
+ | |주제= 흉례 | ||
+ | |작성주체= [[국장도감]] | ||
|의례담당자= [[이집|이집(李㙫)]] | |의례담당자= [[이집|이집(李㙫)]] | ||
|작성지역= 한성부 | |작성지역= 한성부 | ||
|작성시기= 1731년(영조 7년) | |작성시기= 1731년(영조 7년) | ||
− | |소장처(원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 | + | |소장처(원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강화부) |
|판본= 필사본 | |판본= 필사본 | ||
|표기문자= 한자, 이두 | |표기문자= 한자, 이두 | ||
− | |수량= 2책 749장(1책 324장, 2책 425장): | + | |수량= 어람용: 총 2책 749장(1책 324장, 2책 425장)<br/>강화부: 총 2책 676장(제1책 302장, 제2책 374장) |
− | |도설= 반차도 46면: | + | |도설= 어람용: 반차도 46면<br/>강화부: 47면(제1책 6면, 제2책 41면)(채색), 반차도 48면(제1책)(채색) |
|필드수= 12 | |필드수= 12 | ||
}} | }} | ||
=='''정의'''== | =='''정의'''== | ||
− | 1730년 | + | 1730년 [[선의왕후|선의왕후(宣懿王后)]]의 장례를 치르는 국장(國葬)<ref>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장례는 국장(國葬)이라하며, 세자와 세자빈 이하는 예장(禮葬)이라 한다.</ref> 과정을 기록한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0216300 의궤]이다. |
=='''내용'''== | =='''내용'''== | ||
− | + | 선의왕후는 1730년 6월 29일 [[경덕궁]] [[어조당]]에서 [[승하]]하였다. 7월 3일 [[경덕궁]] [[광명전]]에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18667100 빈전(殯殿)]을 차렸으며, 10월 19일 [[발인]]하였다. 동일 의릉(懿陵)]에 안치되었으며 다음날인 20일 [[창경궁]] [[문정전]]에 마련된 [[혼전]]에 신주를 봉안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해제=== | ===해제=== | ||
− |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136&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 + |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136&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해제(상책)]<br/> |
− |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137&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 + |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137&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해제(하책)] <br/> |
− | [http:// | + | [http://kyujanggak.snu.ac.kr/center/inspection/ins_view.jsp?setid=68157&pos=12&total_df=208&uci=GK13576_00&c1=01&c2=07&c3=&sType=&sWord= 규장각한국학중앙연구원 해제] |
===판본=== | ===판본=== | ||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566), (2569)<br/> |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566), (2569)<br/> | ||
−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화부본(奎 13576), 의정부본(奎 14863 | +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화부본(奎 13576), 의정부본(奎 14863, 1책만 남아 있음) |
− | == | + | =='''지식 관계망'''== |
− | === | + | ===관계정보===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 | |||
|- | |- | ||
− | | [[ | + |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 | |- | ||
+ |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 [[상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 ||
|} | |} | ||
− | === | + | ===시간정보===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 + |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 | + | |- |
− | | [[ | + | | 1730년 6월 29일 || [[선의왕후]]가 [[경덕궁]] [[어조당]]에서 승하하였다 |
+ | |- | ||
+ | | 1730년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 ||
|} | |} | ||
− | === | + | ===공간정보===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
− | ! | + |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 | + | |- |
− | | [[ | + | | 37.603506 || 127.0559638 || 사적 제204호인 의릉(懿陵)은 [[경종]]과 [[선의왕후]]의 무덤이다 |
|} | |} | ||
− | === | + | =='''시각자료'''== |
− | + | ===가상현실=== | |
− | + | 반차도VR 추가 예정 | |
− | + | ||
− | + | =='''주석'''== | |
− | + | <references/> | |
+ | |||
+ | =='''참고문헌'''== | ||
+ | ===더 읽을거리=== | ||
+ |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
+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 |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
+ |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
+ |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
+ | * 이현진, 『조선 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
− |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의궤]] | + | [[분류:궁중기록화]] |
+ | [[분류:의궤]] |
2017년 5월 30일 (화) 22:26 판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 |
|
[[file:|360px|thumb|center|국립중앙박물관]] | |
대표명칭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
---|---|
한자표기 | 宣懿王后國葬都監儀軌 |
주제 | 흉례 |
작성주체 | 국장도감 |
의례담당자 | 이집(李㙫) |
작성지역 | 한성부 |
작성시기 | 1731년(영조 7년) |
소장처(원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규장각한국학연구원(강화부) |
판본 | 필사본 |
표기문자 | 한자, 이두 |
수량 | 어람용: 총 2책 749장(1책 324장, 2책 425장) 강화부: 총 2책 676장(제1책 302장, 제2책 374장) |
도설 | 어람용: 반차도 46면 강화부: 47면(제1책 6면, 제2책 41면)(채색), 반차도 48면(제1책)(채색) |
목차
정의
1730년 선의왕후(宣懿王后)의 장례를 치르는 국장(國葬)[1]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선의왕후는 1730년 6월 29일 경덕궁 어조당에서 승하하였다. 7월 3일 경덕궁 광명전에 빈전(殯殿)을 차렸으며, 10월 19일 발인하였다. 동일 의릉(懿陵)]에 안치되었으며 다음날인 20일 창경궁 문정전에 마련된 혼전에 신주를 봉안하였다.
해제
국립중앙박물관 해제(상책)
국립중앙박물관 해제(하책)
규장각한국학중앙연구원 해제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566), (2569)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강화부본(奎 13576), 의정부본(奎 14863, 1책만 남아 있음)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 | 상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시간정보
시간 | 내용 |
---|---|
1730년 6월 29일 | 선의왕후가 경덕궁 어조당에서 승하하였다 |
1730년 | 『선의왕후국장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
공간정보
위도 | 경도 | 내용 |
---|---|---|
37.603506 | 127.0559638 | 사적 제204호인 의릉(懿陵)은 경종과 선의왕후의 무덤이다 |
시각자료
가상현실
반차도VR 추가 예정
주석
- ↑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장례는 국장(國葬)이라하며, 세자와 세자빈 이하는 예장(禮葬)이라 한다.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조선 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