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벌 귀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이 보기)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문벌 귀족(門閥貴族)
 
문벌 귀족(門閥貴族)
  
고려를 이끌어간 주도 세력은 문벌 귀족이었습니다. 문벌 귀족은 5품 이상의 높은 관직에 올랐던 사람입니다. 이들은 지방 호족 출신으로 중앙 관료가 되어 고위직까지 오른 사람이거나 혹은 신라 6두품 계통의 유학자였습니다. 서희나 최승로 같은 인물을 예로 들 수 있지요. 서희는 이천 호족의 아들로 출세하였고, 최승로는 6두품 출신이었는데 고려에 와서 정치 주도 세력으로 성장했습니다. 이들은 자손들까지 대를 이어 고위 관리가 됨으로써 문벌을 이루었습니다. 성종 이후가 되면 점차 기반을 다져 하나의 사회 계층으로 자리 잡이게 됩니다. 문벌 귀족은 지배층으로 여러 특권을 누렸습니다. 문벌의 자손들은 과거와 음서 제도를 통해 관리가 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음서는 5품 이상의 고위 관리만 누리던 특혜였는데, 과거 시험을 보지 않고도 그 아들이나 사위, 조카, 손자를 관리로 만들 수 있었습니다. 좋은 가문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무시험 특별 전형으로 관리가 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
고려를 이끌어간 주도 세력은 문벌 귀족이었습니다. 문벌 귀족은 5품 이상의 높은 관직에 올랐던 사람입니다. 이들은 지방 호족 출신으로 중앙 관료가 되어 고위직까지 오른 사람이거나 혹은 신라 6두품 계통의 유학자였습니다. [[서희]]나 최승로 같은 인물을 예로 들 수 있지요. [[서희]]는 [[이천서씨]] 호족의 아들로 출세하였고, 최승로는 6두품 출신이었는데 고려에 와서 정치 주도 세력으로 성장했습니다. 이들은 자손들까지 대를 이어 고위 관리가 됨으로써 문벌을 이루었습니다. 성종 이후가 되면 점차 기반을 다져 하나의 사회 계층으로 자리 잡이게 됩니다. 문벌 귀족은 지배층으로 여러 특권을 누렸습니다. 문벌의 자손들은 과거와 음서 제도를 통해 관리가 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음서는 5품 이상의 고위 관리만 누리던 특혜였는데, 과거 시험을 보지 않고도 그 아들이나 사위, 조카, 손자를 관리로 만들 수 있었습니다. 좋은 가문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무시험 특별 전형으로 관리가 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문벌 귀족은 관직에 따라 과전을 받았습니다. 또한 공음전이나 사전을 지급받았습니다. 관료는 나라를 위해 일한 대가로 전지와 시지를 받았는데, 그 밖에도 5품 이상의 귀족은 공음전을 받았습니다. 국가를 위해 중요한 업무를 수행한 공이 크기 때문에 더 많은 토지를 주었습니다. 이처럼 문벌 귀족은 여러 특권을 누리고 있었습니다. 문벌 귀족은 또한 최고의 귀족인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고자 했습니다. 왕실의 외척이 되면 가문의 명예일 뿐만 아니라 권력의 핵심부를 장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경원 이씨(이자겸)는 수많은 왕비를 배출한 외척 가문이었습니다. 문종 때부터 인종 때까지 왕실의 외척으로 80여 년 동안 정권을 독점했습니다. 그 밖에도 해주 최씨(최충), 경주 김씨(김부식), 파평 윤씨(윤관)도 대표적인 문벌 귀족 가문이었죠. 또한 문벌 귀족끼리 서로 중첩된 혼인 관계를 맺었습니다. 같은 문벌 귀족 사이에서만 혼인을 하여 자신들의 특권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지 않으려고 했습니다. 고려 전기를 한마디로 말하자면 문벌 귀족의 시대라 할 수 있습니다. 문벌 귀족이 갖가지 혜택을 누리면서 정치와 사회를 주도했기 때문입니다. 그 전성기가 문종(1046∼1083) 시기입니다.
 
문벌 귀족은 관직에 따라 과전을 받았습니다. 또한 공음전이나 사전을 지급받았습니다. 관료는 나라를 위해 일한 대가로 전지와 시지를 받았는데, 그 밖에도 5품 이상의 귀족은 공음전을 받았습니다. 국가를 위해 중요한 업무를 수행한 공이 크기 때문에 더 많은 토지를 주었습니다. 이처럼 문벌 귀족은 여러 특권을 누리고 있었습니다. 문벌 귀족은 또한 최고의 귀족인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고자 했습니다. 왕실의 외척이 되면 가문의 명예일 뿐만 아니라 권력의 핵심부를 장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경원 이씨(이자겸)는 수많은 왕비를 배출한 외척 가문이었습니다. 문종 때부터 인종 때까지 왕실의 외척으로 80여 년 동안 정권을 독점했습니다. 그 밖에도 해주 최씨(최충), 경주 김씨(김부식), 파평 윤씨(윤관)도 대표적인 문벌 귀족 가문이었죠. 또한 문벌 귀족끼리 서로 중첩된 혼인 관계를 맺었습니다. 같은 문벌 귀족 사이에서만 혼인을 하여 자신들의 특권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지 않으려고 했습니다. 고려 전기를 한마디로 말하자면 문벌 귀족의 시대라 할 수 있습니다. 문벌 귀족이 갖가지 혜택을 누리면서 정치와 사회를 주도했기 때문입니다. 그 전성기가 문종(1046∼1083) 시기입니다.
9번째 줄: 9번째 줄:
  
  
조선의 문집 [[증보문헌비고]]엔 류(柳), 이(李), 김(金), 최(崔)씨를 고려의 귀종(貴種)이라 했다.
+
조선의 문집 [[증보문헌비고]]엔 서(徐), 류(柳), 이(李), 김(金), 최(崔)씨를 고려의 귀종(貴種)이라 했다.
  
 
이하는 문벌귀족 가문이다.
 
이하는 문벌귀족 가문이다.
  * 주요 가문은 '''볼드체''' 표시.
+
   
  * '''[[파평 윤씨]]'''[* 고려시대 당시 파평 윤씨 가문은 타 가문들과 달리 자주적 정신을 지향했다.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지식산업사, 2005, pp. 391-392]: [[윤관]], [[윤언이]], [[윤인첨]]
+
  * [[이천 서씨]]: [[서필]], [[서봉]], [[서희]], [[서유걸]], [[서눌]], [[서정(고려)|서정]], [[서존]], [[서석]], [[서균(고려)|서균]], [[서공(고려)|서공]], [[서순(고려)|서순]], [[원목왕후]],[[서린(고려1)|서린]],[[서능]],[[서신계]],[[서원경]],[[서온(고려)|서온]],[[서인(고려)|서인]],[[서윤]],[[서념]],[[서원(고려1)|서원]],[[서호(고려)|서호]],[[서신(고려)|서신]] 등 [[이천서씨]]는 고려 최고 문벌귀족 가문.
 
  * 안산 김씨: [[김은부]][* [[인천 이씨]] 시조 [[이허겸]]의 사위. 훗날 그의 아내의 조카인 경원 이씨의 [[이자연(고려)|이자연]]이 김은부의 정략결혼을 그대로 벤치마킹한다.], [[원성태후]], [[원혜태후]], [[원평왕후]]
 
  * 안산 김씨: [[김은부]][* [[인천 이씨]] 시조 [[이허겸]]의 사위. 훗날 그의 아내의 조카인 경원 이씨의 [[이자연(고려)|이자연]]이 김은부의 정략결혼을 그대로 벤치마킹한다.], [[원성태후]], [[원혜태후]], [[원평왕후]]
 
  * '''[[인천 이씨|경원 이씨]]'''[* 현재 [[인천 이씨]]. 고려 시대 때 경원이 인주로 지명이 바뀌어서 인주 이씨로도 불렀다.][* 교과서에서도 실릴정도로 [[고려시대]] 때 [[이자겸의 난]]으로도 유명한 가장 대표적인 문벌귀족 가문이다. 자세한건 '''[[이자겸]]''' 참고]: [[이자연(고려)|이자연]], [[이자겸]], [[이자의]], [[인예태후]], [[사숙태후]], [[문경태후]], [[연덕궁주]], [[복창원주]]
 
  * '''[[인천 이씨|경원 이씨]]'''[* 현재 [[인천 이씨]]. 고려 시대 때 경원이 인주로 지명이 바뀌어서 인주 이씨로도 불렀다.][* 교과서에서도 실릴정도로 [[고려시대]] 때 [[이자겸의 난]]으로도 유명한 가장 대표적인 문벌귀족 가문이다. 자세한건 '''[[이자겸]]''' 참고]: [[이자연(고려)|이자연]], [[이자겸]], [[이자의]], [[인예태후]], [[사숙태후]], [[문경태후]], [[연덕궁주]], [[복창원주]]
 
  * 정주 류씨: [[유소(고려)|유소]], [[유홍]], [[명의태후]], [[유인저]]
 
  * 정주 류씨: [[유소(고려)|유소]], [[유홍]], [[명의태후]], [[유인저]]
 
  * '''[[해주 최씨]]'''[* 위 가문인 [[인천 이씨]]의 외가이며,[[최온]]의 후손인 [[최사추]]의 딸이 인천 이씨로 가서,[[문경태후]]를 낳기도 하였다. 위 가문인 인천 이씨와 더불어, 교과서에 항상 실리는 가문이다.][* [[문경태후]]는 후에 [[인종(고려)|인종]]을 낳게 된다.]: [[최충]], [[최유선]], [[최사추]], [[최윤의]], 조선국대부인
 
  * '''[[해주 최씨]]'''[* 위 가문인 [[인천 이씨]]의 외가이며,[[최온]]의 후손인 [[최사추]]의 딸이 인천 이씨로 가서,[[문경태후]]를 낳기도 하였다. 위 가문인 인천 이씨와 더불어, 교과서에 항상 실리는 가문이다.][* [[문경태후]]는 후에 [[인종(고려)|인종]]을 낳게 된다.]: [[최충]], [[최유선]], [[최사추]], [[최윤의]], 조선국대부인
* [[이천 서씨]]: [[서필]], 서봉, [[서희]], 서유걸, [[서눌]], 서정, 서존, 서석, [[서균(고려)|서균]], 서공, 서순, [[원목왕후]],서린,서능,서신계,서원경,서온,서인,서윤,서념,서원,서호,서신
 
 
  * [[강릉 김씨]]: [[김상기]], [[김인존]]
 
  * [[강릉 김씨]]: [[김상기]], [[김인존]]
 
  * '''[[경주 김씨]]''': [[김부식]], [[김돈중]], [[김원충]], [[순경태후]]
 
  * '''[[경주 김씨]]''': [[김부식]], [[김돈중]], [[김원충]], [[순경태후]]
31번째 줄: 30번째 줄:
 
  * 정안 임씨[* 현재 장흥 임씨 또는 관산 임씨.][* [[임종석]] 前 의원 & 청와대비서실장의 본관도 여기다. 고향도 전남 장흥.]: 임이, 임득이, [[공예태후]], [[성평왕후]]
 
  * 정안 임씨[* 현재 장흥 임씨 또는 관산 임씨.][* [[임종석]] 前 의원 & 청와대비서실장의 본관도 여기다. 고향도 전남 장흥.]: 임이, 임득이, [[공예태후]], [[성평왕후]]
 
  * 철원 최씨[* 현재 동주 최씨.]: 최준옹, [[최영]]
 
  * 철원 최씨[* 현재 동주 최씨.]: 최준옹, [[최영]]
  * [[청주 이씨]]: 이공승, [[왕가도]], [[원목왕후]]
+
  * [[청주 이씨]]: 이공승, [[왕가도]]
 
  * 평산 박씨: [[박인량]], [[박경인]]
 
  * 평산 박씨: [[박인량]], [[박경인]]
 +
* '''[[파평 윤씨]]''': [[윤관]], [[윤언이]], [[윤인첨]]
 +
 +
== [[효양산 전설문화축제]](孝養山 傳說文化祝祭) ==
 +
장위공 [[서희]](徐熙) 선생을 되새겨 볼 수 있고, [[서신일]](徐神逸)선생의 은혜 갚은 사슴과 황금송아지 전설이 있는 [[효양산]]의 주요 6개소(물명당, 효양정, 금송아지상, 은선사, [[서씨]](徐氏)시조 [[서신일]](徐神逸)묘, 금광굴)를 탐방하며, [[효양산]]의 청취를 만끽할 수 있다.
 +
[[서희문화제]](徐熙文化祭)로 명칭 변경
 +
 +
== [[이섭대천]](利涉大川) ==
 +
창전동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세워져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면서 후백제와 마지막 일전을 치르기 위해 출정길에 올랐다가 장마로 물이 불어난 복하천(福河川)을 건너지 못해 곤경에 빠졌을 때 '[[서목]](徐穆)'이라는 이천 사람의 도움으로 무사히 복하천을 건너 후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다. 그 후 왕건이 [[서목]](徐穆)의 도움에 대한 보답으로 '[[이섭대천]]'이라는 고사에서 따다가 이 지역에 ‘이천(利川)’이라는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
 +
 +
이천의 유래에 관한 이 일화를 기념하기 위해 1989년 11월 이천 지역 토박이 원로들의 모임인 이원회(利元會)가 중심이 되어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2단으로 된 방형의 대좌 위에 길고 커다란 자연석 형태의 흑요암을 올려놓았으며 흑요암 중앙에 '利涉大川([[이섭대천]])'이라는 글씨를 커다랗게 새겨 넣었다.
 +
 +
==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
 +
 +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
 +
== 같이 보기 ==
 +
* [[이천 서씨]]
 +
* [[대구 서씨]]
 +
* [[달성 서씨]]
 +
* [[부여 서씨]]
 +
* [[연산 서씨]]
 +
* [[남양 서씨]]
 +
* [[당성 서씨]]
 +
* [[봉성 서씨]]
 +
* [[절강 서씨]]
 +
* [[중국 서씨]]
 +
* [[일본 서씨]]
 +
* [[몽고서씨]]
 +
* [[러시아서씨]]
 +
* [[튀르키예서씨]]
 +
* [[멕시코서씨]]
 +
* [[불가리아서씨]]
 +
* [[중앙아시아서씨]]
 +
* [[카자흐스탄서씨]]
 +
* [[우즈베키스탄서씨]]
 +
 +
 +
 
[[분류:고려의 귀족]][[분류:고려(초기)]][[분류:고려(중기)]]
 
[[분류:고려의 귀족]][[분류:고려(초기)]][[분류:고려(중기)]]

2023년 11월 3일 (금) 15:15 기준 최신판

문벌 귀족(門閥貴族)

고려를 이끌어간 주도 세력은 문벌 귀족이었습니다. 문벌 귀족은 5품 이상의 높은 관직에 올랐던 사람입니다. 이들은 지방 호족 출신으로 중앙 관료가 되어 고위직까지 오른 사람이거나 혹은 신라 6두품 계통의 유학자였습니다. 서희나 최승로 같은 인물을 예로 들 수 있지요. 서희이천서씨 호족의 아들로 출세하였고, 최승로는 6두품 출신이었는데 고려에 와서 정치 주도 세력으로 성장했습니다. 이들은 자손들까지 대를 이어 고위 관리가 됨으로써 문벌을 이루었습니다. 성종 이후가 되면 점차 기반을 다져 하나의 사회 계층으로 자리 잡이게 됩니다. 문벌 귀족은 지배층으로 여러 특권을 누렸습니다. 문벌의 자손들은 과거와 음서 제도를 통해 관리가 될 수 있었습니다. 특히 음서는 5품 이상의 고위 관리만 누리던 특혜였는데, 과거 시험을 보지 않고도 그 아들이나 사위, 조카, 손자를 관리로 만들 수 있었습니다. 좋은 가문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무시험 특별 전형으로 관리가 될 수 있었던 것입니다.

문벌 귀족은 관직에 따라 과전을 받았습니다. 또한 공음전이나 사전을 지급받았습니다. 관료는 나라를 위해 일한 대가로 전지와 시지를 받았는데, 그 밖에도 5품 이상의 귀족은 공음전을 받았습니다. 국가를 위해 중요한 업무를 수행한 공이 크기 때문에 더 많은 토지를 주었습니다. 이처럼 문벌 귀족은 여러 특권을 누리고 있었습니다. 문벌 귀족은 또한 최고의 귀족인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고자 했습니다. 왕실의 외척이 되면 가문의 명예일 뿐만 아니라 권력의 핵심부를 장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경원 이씨(이자겸)는 수많은 왕비를 배출한 외척 가문이었습니다. 문종 때부터 인종 때까지 왕실의 외척으로 80여 년 동안 정권을 독점했습니다. 그 밖에도 해주 최씨(최충), 경주 김씨(김부식), 파평 윤씨(윤관)도 대표적인 문벌 귀족 가문이었죠. 또한 문벌 귀족끼리 서로 중첩된 혼인 관계를 맺었습니다. 같은 문벌 귀족 사이에서만 혼인을 하여 자신들의 특권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지 않으려고 했습니다. 고려 전기를 한마디로 말하자면 문벌 귀족의 시대라 할 수 있습니다. 문벌 귀족이 갖가지 혜택을 누리면서 정치와 사회를 주도했기 때문입니다. 그 전성기가 문종(1046∼1083) 시기입니다.

정치적으로 음서 제도, 경제적으로 공음전의 특권이 주어졌다. 왕실과의 혼인을 통해 권력을 유지하였으며 무신 정변으로 몰락하였다.


조선의 문집 증보문헌비고엔 서(徐), 류(柳), 이(李), 김(金), 최(崔)씨를 고려의 귀종(貴種)이라 했다.

이하는 문벌귀족 가문이다.

* 이천 서씨: 서필, 서봉, 서희, 서유걸, 서눌, 서정, 서존, 서석, 서균, 서공, 서순, 원목왕후,서린,서능,서신계,서원경,서온,서인,서윤,서념,서원,서호,서신이천서씨는 고려 최고 문벌귀족 가문.
* 안산 김씨: 김은부[* 인천 이씨 시조 이허겸의 사위. 훗날 그의 아내의 조카인 경원 이씨의 이자연이 김은부의 정략결혼을 그대로 벤치마킹한다.], 원성태후, 원혜태후, 원평왕후
* 경원 이씨[* 현재 인천 이씨. 고려 시대 때 경원이 인주로 지명이 바뀌어서 인주 이씨로도 불렀다.][* 교과서에서도 실릴정도로 고려시대이자겸의 난으로도 유명한 가장 대표적인 문벌귀족 가문이다. 자세한건 이자겸 참고]: 이자연, 이자겸, 이자의, 인예태후, 사숙태후, 문경태후, 연덕궁주, 복창원주
* 정주 류씨: 유소, 유홍, 명의태후, 유인저
* 해주 최씨[* 위 가문인 인천 이씨의 외가이며,최온의 후손인 최사추의 딸이 인천 이씨로 가서,문경태후를 낳기도 하였다. 위 가문인 인천 이씨와 더불어, 교과서에 항상 실리는 가문이다.][* 문경태후는 후에 인종을 낳게 된다.]: 최충, 최유선, 최사추, 최윤의, 조선국대부인
* 강릉 김씨: 김상기, 김인존
* 경주 김씨: 김부식, 김돈중, 김원충, 순경태후
* 밀양 박씨: 박욱, 박언부
* 충주 박씨: 박영, 박신 
* 경주 최씨: 최언위, 최승로, 최숙, 최제안, 최항(배향공신), 최량
* 성주 도씨[* 도종환 문체부 장관의 본관이다. ]: 도진[* 개국공신, 정승 역임, 성산부원군 ]  , 도순[* 전리상서 역임. ], 도유덕[* 명경진사 역임, 성산군 ]
* 공암 허씨[* 현재 양천 허씨.]: 허원, 허재
* 광양 김씨: 김황원, 김정준, 김양감
* 남평 문씨: 문다성, 문공원, 문극겸
* 수주 최씨[* 현재 수원 최씨.]: 최누백, 최사위
* 정안 임씨[* 현재 장흥 임씨 또는 관산 임씨.][* 임종석 前 의원 & 청와대비서실장의 본관도 여기다. 고향도 전남 장흥.]: 임이, 임득이, 공예태후, 성평왕후
* 철원 최씨[* 현재 동주 최씨.]: 최준옹, 최영
* 청주 이씨: 이공승, 왕가도
* 평산 박씨: 박인량, 박경인
* 파평 윤씨: 윤관, 윤언이, 윤인첨

효양산 전설문화축제(孝養山 傳說文化祝祭)

장위공 서희(徐熙) 선생을 되새겨 볼 수 있고, 서신일(徐神逸)선생의 은혜 갚은 사슴과 황금송아지 전설이 있는 효양산의 주요 6개소(물명당, 효양정, 금송아지상, 은선사, 서씨(徐氏)시조 서신일(徐神逸)묘, 금광굴)를 탐방하며, 효양산의 청취를 만끽할 수 있다. 서희문화제(徐熙文化祭)로 명칭 변경

이섭대천(利涉大川)

창전동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세워져 있다. 고려 태조 왕건이 고려를 건국하면서 후백제와 마지막 일전을 치르기 위해 출정길에 올랐다가 장마로 물이 불어난 복하천(福河川)을 건너지 못해 곤경에 빠졌을 때 '서목(徐穆)'이라는 이천 사람의 도움으로 무사히 복하천을 건너 후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다. 그 후 왕건이 서목(徐穆)의 도움에 대한 보답으로 '이섭대천'이라는 고사에서 따다가 이 지역에 ‘이천(利川)’이라는 이름을 내렸다고 한다.

이천의 유래에 관한 이 일화를 기념하기 위해 1989년 11월 이천 지역 토박이 원로들의 모임인 이원회(利元會)가 중심이 되어 이천시민회관 구내에 기념비를 건립하였다. 2단으로 된 방형의 대좌 위에 길고 커다란 자연석 형태의 흑요암을 올려놓았으며 흑요암 중앙에 '利涉大川(이섭대천)'이라는 글씨를 커다랗게 새겨 넣었다.

서씨 시조 서신일 추향대제(徐氏 始祖 徐神逸 秋享大祭)

모든 서씨 시조 서신일(徐神逸)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전 11시에 효양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산19(경기 이천시 부발읍 산촌리 329)에서 거행된다. 서필 (徐弼)선생,서희 (徐熙)선생 시제는 (음력) 매년 10월 첫째 토요일 오후 2시에 경기 여주시 산북면 후리 166-1에서 거행된다.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