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수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갤러리)
(참고문헌)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념정보
 
{{개념정보
 
|사진=민족_일러_현수교.png
 
|사진=민족_일러_현수교.png
|사진출처=김현승 일러스트레이터
+
|사진출처=
 
|대표명칭=현수교
 
|대표명칭=현수교
 
|한자표기=懸垂橋
 
|한자표기=懸垂橋
11번째 줄: 11번째 줄:
  
 
=='''정의'''==
 
=='''정의'''==
강제 케이블을 주체로 하여 다리바닥(橋床)을 매다는 구조의 다리.<ref>백남욱,이상진, 『철도관련큰사전』, 도서출판 골든벨,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94116&cid=42321&categoryId=42321 현수교]", 철도관련큰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
강제 케이블을 주체로 하여 다리바닥(橋床)을 매다는 구조의 다리이다.<ref>백남욱,이상진, 『철도관련큰사전』, 도서출판 골든벨,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94116&cid=42321&categoryId=42321 현수교]", 철도관련큰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내용'''==
 
=='''내용'''==
상판의 양쪽끝에 탑을 올리고 탑과 탑사이에 적당하게 케이블을 늘어뜨린 형태이다. 양쪽 탑 사이에 교각을 놓지못할 만큼 강이나 바다가 깊을 때 이용한다.<ref>"현수교",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4157&cid=43667&categoryId=43667 현수교]", 시사상식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대표적 현수교는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골든게이트교(Golden Gate Bridge)이며, 현재 세계에서 가장 긴 현수교는 일본 효고현(兵庫縣) 아카시 해협에 있는 [[아카시해협대교]](明石海峽大橋)이다. 한국에는 [[남해대교]], [[광안대교]] 등이 있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8213 현수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
상판의 양쪽끝에 탑을 올리고 탑과 탑사이에 적당하게 케이블을 늘어뜨린 형태이다. 양쪽 탑 사이에 교각을 놓지못할 만큼 강이나 바다가 깊을 때 적용한다.<ref>"현수교",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4157&cid=43667&categoryId=43667 현수교]", 시사상식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대표적 현수교는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골든게이트교(Golden Gate Bridge)이며, 현재 세계에서 가장 긴 현수교는 일본 효고현(兵庫縣) 아카시 해협에 있는 [[아카시해협대교]](明石海峽大橋)이다. 한국에는 [[남해대교]], [[광안대교]] 등이 현수교이다.<ref>"[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8213 현수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   
 
===주요 구성요소===
 
===주요 구성요소===
 
일반적으로 현수교의 주요한 구성요소는 주요 인장재인 주케이블<ref>강철의 줄로 만들어진 매우 강하고 유연한 부분. 교상의 무게를 지탱한다. 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35282&cid=49068&categoryId=49068 현수교]", 브리태니커 비주얼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주케이블의 장력을 대지로 이끄는 앵커<ref>앵커리지 블록. 교대의 양 옆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땅 속에
 
일반적으로 현수교의 주요한 구성요소는 주요 인장재인 주케이블<ref>강철의 줄로 만들어진 매우 강하고 유연한 부분. 교상의 무게를 지탱한다. 출처: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35282&cid=49068&categoryId=49068 현수교]", 브리태니커 비주얼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주케이블의 장력을 대지로 이끄는 앵커<ref>앵커리지 블록. 교대의 양 옆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땅 속에
  깊이 파묻혀 있으며, 주케이블의 끝이 이곳에 부착된다. 출처: 한국브리태니커회사, 『브리태니커 비주얼 사전』, 200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35282&cid=49068&categoryId=49068 현수교]", 브리태니커 비주얼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부분, 주케이블의 최고점을 지지하는 강제 또는 철근 콘크리트구조 등의 탑,  보강형<ref>일반적인 바닥판 부분에 플레이트거더(plate girder) 또는 트러스를 조합해서 강성을 부여한 것. 출처: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8213 현수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플레이트거더 또는 트러스), 보강형을 주케이블에 매다는 현수재의 5가지이다. 또 보강형의 종류에 따라 현수교를 분류할 수가 있다. 전형적인 현수교에서는 보강형은 그 양끝이 받쳐져 있지만 이 형의 중앙에 힌지(hinge)를 넣은 것도 있다. 또 보강형을 탑 사이에 단지 하나만 가지고 있는 것도 있고 탑의 외측에 각각 보강형을 갖춘 현수교도 가끔 볼 수 있고, 3개의 보강형을 연속시킨 현수교도 많다. 이상과 같은 현수교에서는 주케이블이 대지로 이끌어져서 앵커블록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와는 좀 달리 연속보강형의 양끝에 주케이블을 연결한 현수교도 있는데 이것을 자정식(自定式) 현수교라 한다.  
+
  깊이 파묻혀 있으며, 주케이블의 끝이 이곳에 부착된다. 출처: 한국브리태니커회사, 『브리태니커 비주얼 사전』, 200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35282&cid=49068&categoryId=49068 현수교]", 브리태니커 비주얼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부분, 주케이블의 최고점을 지지하는 강제 또는 철근 콘크리트구조 등의 탑,  보강형<ref>일반적인 바닥판 부분에 플레이트거더(plate girder) 또는 트러스를 조합해서 강성을 부여한 것. 출처: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8213 현수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ref>(플레이트거더 또는 트러스), 보강형을 주케이블에 매다는 현수재 등 5가지이다. 또 보강형의 종류에 따라 현수교를 분류할 수가 있다. 전형적인 현수교에서는 보강형은 그 양끝이 받쳐져 있지만 보강형 중앙에 힌지(hinge)를 넣은 것도 있다. 또 보강형을 탑 사이에 단지 하나만 가지고 있는 것도 있고 탑의 외측에 각각 보강형을 갖춘 현수교도 가끔 볼 수 있으며, 3개의 보강형을 연속시킨 현수교도 많다. 이런 현수교에서는 주케이블이 대지로 이끌어져서 앵커블록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는 약간 다르게 연속보강형의 양끝에 주케이블을 연결한 현수교도 있는데 이것을 자정식(自定式) 현수교라 한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96/C096.htm "남해대교"(박각순) 지식관계망]
 
<html>
 
<html>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51번째 줄: 52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
#웹 자원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8213 현수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8213 현수교]",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백남욱,이상진, 『철도관련큰사전』, 도서출판 골든벨,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94116&cid=42321&categoryId=42321 현수교]", 철도관련큰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백남욱,이상진, 『철도관련큰사전』, 도서출판 골든벨, 2007.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94116&cid=42321&categoryId=42321 현수교]", 철도관련큰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57번째 줄: 58번째 줄:
 
#*한국브리태니커회사, 『브리태니커 비주얼 사전』, 200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35282&cid=49068&categoryId=49068 현수교]", 브리태니커 비주얼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한국브리태니커회사, 『브리태니커 비주얼 사전』, 2008.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835282&cid=49068&categoryId=49068 현수교]", 브리태니커 비주얼사전,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분류:민족/교열요청]]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2017년 12월 27일 (수) 00:38 기준 최신판

현수교
(懸垂橋)
민족 일러 현수교.png
대표명칭 현수교
한자표기 懸垂橋
유형 건축



정의

강제 케이블을 주체로 하여 다리바닥(橋床)을 매다는 구조의 다리이다.[1]

내용

상판의 양쪽끝에 탑을 올리고 탑과 탑사이에 적당하게 케이블을 늘어뜨린 형태이다. 양쪽 탑 사이에 교각을 놓지못할 만큼 강이나 바다가 깊을 때 적용한다.[2]대표적 현수교는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골든게이트교(Golden Gate Bridge)이며, 현재 세계에서 가장 긴 현수교는 일본 효고현(兵庫縣) 아카시 해협에 있는 아카시해협대교(明石海峽大橋)이다. 한국에는 남해대교, 광안대교 등이 현수교이다.[3]

주요 구성요소

일반적으로 현수교의 주요한 구성요소는 주요 인장재인 주케이블[4], 주케이블의 장력을 대지로 이끄는 앵커[5] 부분, 주케이블의 최고점을 지지하는 강제 또는 철근 콘크리트구조 등의 탑, 보강형[6](플레이트거더 또는 트러스), 보강형을 주케이블에 매다는 현수재 등 5가지이다. 또 보강형의 종류에 따라 현수교를 분류할 수가 있다. 전형적인 현수교에서는 보강형은 그 양끝이 받쳐져 있지만 보강형 중앙에 힌지(hinge)를 넣은 것도 있다. 또 보강형을 탑 사이에 단지 하나만 가지고 있는 것도 있고 탑의 외측에 각각 보강형을 갖춘 현수교도 가끔 볼 수 있으며, 3개의 보강형을 연속시킨 현수교도 많다. 이런 현수교에서는 주케이블이 대지로 이끌어져서 앵커블록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는 약간 다르게 연속보강형의 양끝에 주케이블을 연결한 현수교도 있는데 이것을 자정식(自定式) 현수교라 한다.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박각순-남해대교 남해대교 A는 B를 소재로 삼았다 A ekc:depicts B
남해대교 현수교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영상

주석

  1. 백남욱,이상진, 『철도관련큰사전』, 도서출판 골든벨, 2007. 온라인 참조: "현수교", 철도관련큰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2. "현수교",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온라인 참조: "현수교", 시사상식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현수교", 『doopedia』online, 두산백과.
  4. 강철의 줄로 만들어진 매우 강하고 유연한 부분. 교상의 무게를 지탱한다. 출처: "현수교", 브리태니커 비주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5. 앵커리지 블록. 교대의 양 옆에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 땅 속에 깊이 파묻혀 있으며, 주케이블의 끝이 이곳에 부착된다. 출처: 한국브리태니커회사, 『브리태니커 비주얼 사전』, 2008. 온라인 참조: "현수교", 브리태니커 비주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6. 일반적인 바닥판 부분에 플레이트거더(plate girder) 또는 트러스를 조합해서 강성을 부여한 것. 출처: "현수교", 『doopedia』online, 두산백과.
  7. "경남 남해군과 하동군을 잇는 한국 최초의 현수교 남해대교 전경",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8. "'남해대교' 가설 공사", 정부기록사진집, 『e영상역사관』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현수교",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백남욱,이상진, 『철도관련큰사전』, 도서출판 골든벨, 2007. 온라인 참조: "현수교", 철도관련큰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현수교",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온라인 참조: "현수교", 시사상식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 한국브리태니커회사, 『브리태니커 비주얼 사전』, 2008. 온라인 참조: "현수교", 브리태니커 비주얼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