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판본)
잔글 (내용)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궁중기록화관 Top icon}}
 
{{궁중기록화관 Top icon}}
 
{{의궤정보
 
{{의궤정보
|이미지= 궁중기록화_의궤_흉례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상_외규장각.jpg
+
|사진= 궁중기록화_의궤_흉례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상_외규장각.jpg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
|사진출처=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http://uigwe.museum.go.kr)
 
|대표명칭=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대표명칭=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한자표기= 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   
 
|한자표기= 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   
16번째 줄: 16번째 줄:
 
|크기= 48.6×36.0
 
|크기= 48.6×36.0
 
|도설= 43면(상책 6면, 하책 37면)(채색)
 
|도설= 43면(상책 6면, 하책 37면)(채색)
|반차도= 28면(상책)(채색)
+
|반차도= 28면(상책)(채색)<br/>총 길이: 약 1,008㎝
|필드수= 13
 
 
}}
 
}}
  
 
=='''정의'''==
 
=='''정의'''==
1752년 [[의소세손(의소세자)|의소세손(懿昭世孫)]]의 장례를 치르는 예장(禮葬)<ref>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장례는 국장(國葬)이라하며, 세자와 세자빈 이하는 예장(禮葬)이라 한다.</ref> 과정을 기록한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0216300 의궤]이다.
+
1752년(조선 영조 28) [[의소세손|의소세손]]의 장례를 치르는 예장(禮葬)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내용'''==
의소세손은 1752년 3월 4일 [[창경궁]] [[통명전]]에서 승하하였다. 3월 6일 [[숭문당]]으로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2433900 재궁(梓宮)]을 옮겼고, 5월 11일 [[발인]]하였다. 5월 12일 의소묘(懿昭墓)<ref>이후 1871년(고종 8) 의령원(懿寧園)으로 승격되었다.</ref>에 안치되었으며 [[창경궁]] [[강서원]]에 신주를 봉안하였다.  
+
[[영조]]의 [[왕세자]]인 [[사도세자]]와 [[혜경궁 홍씨]]는 1750년(영조 26) 8월 27일에 [[창경궁 경춘전]]에서 원손을 낳았다. 훗날 [[의소세손(懿昭世孫)]]으로 불렸으며, [[정조]]의 친형이다. 태어날 때부터 몸집이 크고 의젓해 [[영조]]의 사랑을 받았다. 다음해 5월 13일에 [[창경궁 숭문당]]에서 [[왕세손]]으로 책봉하는 의식이 거행되었다. [[왕세손]]은 [[5장문]]이 그려진 [[왕세손의 대례복|면복]]을 입고 유모의 품에 안겨 의식을 치렀다. 두 살 때 [[왕세손]]으로 책봉된 원손은 다음해인 1752년 3월 4일 [[창경궁 통명전]]에서 훙서(薨逝)하였다. 3월 6일 [[창경궁 숭문당]]에 마련된 빈전에 [[성빈]]하고, 3월 7일 [[성복]], 5월 11일 [[발인]]하여 5월 12일 의소묘(懿昭墓)<ref>이후 1871년(고종 8) 의령원(懿寧園)으로 승격되었다.</ref>에 안치되었으며 신주(神主)를 [[창경궁 강서원]]에 봉안하였다.  
 +
 
 +
===목록===
 +
상책: 좌목(座目), 계사(啓辭), 별단(別單), 이문(移文), 내관(來關), 품목(稟目), 감결(甘結), 예관(禮關), 의주(儀註), 부(附) 의궤(儀軌), 논상(論賞), 일방(一房)<br/>
 +
하책: 이방(二房), 삼방(三房), 분전설사(分典設司), 분장흥고(分長興庫), 지석소(誌石所), 우주소(虞主所), 별공작(別工作)
  
 
===해제===
 
===해제===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181&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curren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해제(상책)] <br/>
+
이현진,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181&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currentIndex=1&pageIndex=1&pageUnit=10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상책]",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182&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currentIndex=1&pageIndex=1&pageUnit=10 국립중앙박물관 해제(하책)]  
+
<br/>
 +
이현진, "[http://uigwe.museum.go.kr/content/contentView1?serviceType=b&id=uig_182&searchKeyword=&searchKeyword2=&sortField=&sortOrder=asc&dataType=&lmenuType=&listAll=&totalCount=0&currentIndex=1&pageIndex=1&pageUnit=10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하책]", 의궤 검색, <html><online style="color:purple">『외규장각의궤』<sup>online</sup></online></html>, 국립중앙박물관.
  
 
===판본===
 
===판본===
34번째 줄: 38번째 줄: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B030/B030.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 [[의소세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 [[사도세자]]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 [[정조]]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 [[왕세손의 대례복]]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 [[상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 [[상례]]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 [[성빈]]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 [[발인]] || A는 B를 기록하였다 || A ekc:documents B
 +
|-
 +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 [[국립중앙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47번째 줄: 69번째 줄: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style="width:20%px"|시간!!style="width:80%px"|내용
 
|-
 
|-
| 1752년 3월 4일 || [[의소세손(의소세자)]]이 [[창경궁]] [[통명전]]에서 승하하였다
+
| 1752년 3월 4일 || [[의소세손]]이 [[창경궁 통명전]]에서 승하하였다
 +
|-
 +
| 1752년 3월 6일 || [[의소세손]]의 시신을 [[성빈]]했다
 +
|-
 +
| 1752년 5월 11일 || [[의소세손]]의 시신을 [[발인]]했다
 
|-
 
|-
 
| 1752년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 1752년 ||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56번째 줄: 82번째 줄: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style="width:5%px"|위도!!style="width:5%px"|경도!!style="width:90%px"|내용
 
|-
 
|-
| 37.663988 || 126.8663089 || 사적 제200호인 서삼릉 의령원(西三陵 懿寧園)은 [[의소세손(의소세자)]]의 무덤이다
+
| 37.663988 || 126.8663089 || 사적 제200호인 서삼릉 의령원(西三陵 懿寧園)은 [[의소세손]]의 무덤이다
 
|}
 
|}
  
 
=='''시각자료'''==
 
=='''시각자료'''==
 
===가상현실===
 
===가상현실===
반차도VR 추가 예정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rc="http://dh.aks.ac.kr/Encyves/Pavilions/B030/S001/S001.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caption="『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 복완(服玩) 복식 도설">
 +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면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 | [[면관|면관(冕冠)]]
 +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의면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 | [[면복 상의|상의(上衣) 앞면]]
 +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의배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 | [[면복 상의|상의(上衣) 뒷면]]
 +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상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 | [[면복 하상|하상(下裳)]]
 +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중단면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 | [[중단(왕실남성)|중단(中單) 앞면]]
 +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중단배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 | [[중단(왕실남성)|중단(中單) 뒷면]]
 +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폐슬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 | [[폐슬(왕실남성)|폐슬(蔽膝)]]
 +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수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 | [[후수(왕실남성)|후수(後綬)]]
 +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패옥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 | [[패옥(왕실남성)|패옥(佩玉)]]
 +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대대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 | [[대대(왕실남성)|대대(大帶)]]
 +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홍말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 | [[적말|적말(赤襪)]]
 +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적석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 | [[적석|적석(赤舃)]]
 +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규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 | [[규(왕실남성)|규(圭)]]
 +
파일:궁중기록화_복식_방심곡령_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하_중박.jpg | [[방심곡령(왕실남성)|방심곡령(方心曲領)]]
 +
</gallery>
  
 
=='''주석'''==
 
=='''주석'''==
67번째 줄: 114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더 읽을거리===
+
===인용 및 참조===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74번째 줄: 121번째 줄: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조선 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이현진, 『조선 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
  
 
[[분류:궁중기록화]]
 
[[분류:궁중기록화]]
 
[[분류:의궤]]
 
[[분류:의궤]]

2017년 12월 16일 (토) 01:20 기준 최신판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
국립중앙박물관 외규장각 의궤(http://uigwe.museum.go.kr)
대표명칭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한자표기 懿昭世孫禮葬都監儀軌
주제 흉례(凶禮)
작성주체 예장도감(禮葬都監)
의례담당자 김약로(金若魯)
작성지역 한성부
작성시기 1752년(영조 28년)
소장처(원소장처) 국립중앙박물관(어람용)
판본 필사본
표기문자 한자, 이두
수량 총 2책 477장(상책 207장, 하책 270장)
크기 48.6×36.0
도설 43면(상책 6면, 하책 37면)(채색)
반차도 28면(상책)(채색)
총 길이: 약 1,008㎝



정의

1752년(조선 영조 28) 의소세손의 장례를 치르는 예장(禮葬)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내용

영조왕세자사도세자혜경궁 홍씨는 1750년(영조 26) 8월 27일에 창경궁 경춘전에서 원손을 낳았다. 훗날 의소세손(懿昭世孫)으로 불렸으며, 정조의 친형이다. 태어날 때부터 몸집이 크고 의젓해 영조의 사랑을 받았다. 다음해 5월 13일에 창경궁 숭문당에서 왕세손으로 책봉하는 의식이 거행되었다. 왕세손5장문이 그려진 면복을 입고 유모의 품에 안겨 의식을 치렀다. 두 살 때 왕세손으로 책봉된 원손은 다음해인 1752년 3월 4일 창경궁 통명전에서 훙서(薨逝)하였다. 3월 6일 창경궁 숭문당에 마련된 빈전에 성빈하고, 3월 7일 성복, 5월 11일 발인하여 5월 12일 의소묘(懿昭墓)[1]에 안치되었으며 신주(神主)를 창경궁 강서원에 봉안하였다.

목록

상책: 좌목(座目), 계사(啓辭), 별단(別單), 이문(移文), 내관(來關), 품목(稟目), 감결(甘結), 예관(禮關), 의주(儀註), 부(附) 의궤(儀軌), 논상(論賞), 일방(一房)
하책: 이방(二房), 삼방(三房), 분전설사(分典設司), 분장흥고(分長興庫), 지석소(誌石所), 우주소(虞主所), 별공작(別工作)

해제

이현진,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상책", 의궤 검색, 『외규장각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이현진,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하책", 의궤 검색, 『외규장각의궤』online, 국립중앙박물관.

판본

국립중앙박물관: 어람용(2511), (251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의소세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사도세자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정조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왕세손의 대례복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상례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documents B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성빈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documents B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발인 A는 B를 기록하였다 A ekc:documents B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 국립중앙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어 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752년 3월 4일 의소세손창경궁 통명전에서 승하하였다
1752년 3월 6일 의소세손의 시신을 성빈했다
1752년 5월 11일 의소세손의 시신을 발인했다
1752년 『의소세손예장도감의궤』가 편찬되었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663988 126.8663089 사적 제200호인 서삼릉 의령원(西三陵 懿寧園)은 의소세손의 무덤이다

시각자료

가상현실

갤러리

주석

  1. 이후 1871년(고종 8) 의령원(懿寧園)으로 승격되었다.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이현진, 『왕의 죽음, 정조의 국장』, 글항아리, 2015.
  • 이현진, 『조선 왕실의 상장례』, 신구문화사, 2017.
  • 한영우, 『조선왕조 의궤-국가의례와 그 기록』, 일지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