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지식 관계망)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0번째 줄: 10번째 줄:
 
}}
 
}}
  
==정의==
+
=='''정의'''==
조선시대의 다연장 발사무기.
+
조선시대의 다연장 발사무기이다.
  
==내용==
+
=='''내용'''==
===최해산화차===
+
===[[최해산화차]]===
화차는 수레 위에 총을 수십개 장치하여 이동이 손쉽고, 한번에 여러 개의 총을 쏠 수 있게 한 무기로 우리 나라에는 조선시대에만 5종의 화차가 있었다.<br/>
+
화차는 수레 위에 총을 수십 자루 장치하여 이동이 손쉽고, 한 번에 여러 개의 총을 쏠 수 있게 한 무기로 우리나라에는 조선시대에만 5종의 화차가 있었다.<br/>
첫번째 화차는 1409년(태종 9) [[최해산]](崔海山)이 아버지 최무선(崔茂宣)의 뒤를 이어 각종 화약무기를 연구하던 끝에 완성한 것이다. 작은 수레(小車)에 철로 만든 날개를 단 [[철령전]](鐵翎箭)을 장진한 수십개의 동통(銅㷁:청동으로 만든 총)을 실은 것으로서, 화약을 사용하여 발사하도록 되어 있다.<ref>채연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882 화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
첫번째 화차는 1409년([[조선 태종]] 9) [[최해산|최해산(崔海山)]]이 아버지 [[최무선|최무선(崔茂宣)]]의 뒤를 이어 각종 화약무기를 연구하던 끝에 완성한 것이다. 철령전(鐵翎箭)에 쇠날개를 달아 동통(銅㷁:청동총)에 장전한 후 작은 수레에 수십 개를 싣고 달리면서 화약을 사용하여 발사하도록 되어 있다.<ref>채연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882 화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문종화차===
+
===[[문종화차]]===
두번째 화차는 문종화차(文宗火車)이다. 1451년(문종 1) [[조선 문종 | 문종]]이 손수 창안한 것이다. [[조선 문종 | 문종]]은 세자시절부터 화약무기 연구에 많은 관심을 가졌고, 즉위할 즈음 완성하였다. 이 화차의 수레는 지름 87㎝짜리, 바퀴 2개 위에 길이 2.3m, 너비 74㎝의 차체가 올려졌다. 나무로 제작되었으며, 2명이 끌도록 설계되었다. 차체 위에는 총통기(銃筒機)나 신기전기(神機箭機)를 장치하여 사용한 독창적이고, 위력있는 무기였다.<ref>
+
두번째 화차는 1451년(문종 1)에 제작된 [[문종화차 | 문종화차(文宗火車)]]이다. 문종은 세자시절부터 화약무기 연구에 많은 관심을 가졌는데 문종화차 역시 세자일 때 손수 창안하여 즉위할 즈음 완성하였다. 이 화차의 수레는 지름 87㎝짜리 바퀴 2개 위에 길이 2.3m, 너비 74㎝의 차체를 올렸다. 나무로 제작되었으며, 2명이 끌도록 설계되었다. 차체 위에는 총통기(銃筒機)나 신기전기(神機箭機)를 장치하여 사용하였다. 사전총통은 50개, 중신기전은 100개까지 부착할 수 있는 독창적이고, 위력있는 무기였다.<ref>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57636&cid=47306&categoryId=47306 화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sup>online</sup></online></html>,네이버 지식백과.</ref>
+
김인덕·서성호·오상학·오영선, 『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 솔출판사, 200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1157&cid=42955&categoryId=42955 화차]", 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주자총통화차===
+
===[[주자총통화차]]===
 
세번째 화차는 문종화차의 총통기에 4전총통 대신 [[주자총통]](宙字銃筒) 50개를 설치하여 사용한 것인데, [[주자총통]]은 1490년(성종 21)경 세종 때 제작된 삼총통(三銃筒)에 붙인 새 이름이다. [[주자총통]]은 [[피령전]](皮翎箭:가죽날개를 붙인 화살)이나 화전(火箭), 그리고 2개의 총알을 발사할 수 있는 다목적용 총으로서, 현존하는 [[조선 세종 | 세종]] 때의 총으로서는 가장 많은 40-50개가 남아 있다.<ref>채연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882 화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세번째 화차는 문종화차의 총통기에 4전총통 대신 [[주자총통]](宙字銃筒) 50개를 설치하여 사용한 것인데, [[주자총통]]은 1490년(성종 21)경 세종 때 제작된 삼총통(三銃筒)에 붙인 새 이름이다. [[주자총통]]은 [[피령전]](皮翎箭:가죽날개를 붙인 화살)이나 화전(火箭), 그리고 2개의 총알을 발사할 수 있는 다목적용 총으로서, 현존하는 [[조선 세종 | 세종]] 때의 총으로서는 가장 많은 40-50개가 남아 있다.<ref>채연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882 화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ref>
  
===변이중화차===
+
===[[변이중화차]]===
네 번째 화차는 임진왜란 때에 [[변이중]]이 문종화차를 개량하여 만든 것으로, 수레 위에 40개의 [[승자총통]]을 총통기에 설치하고 총통의 심지를 이어서 차례로 쏘게 한 것이다. 이 화차는 [[행주대첩]]에서 [[권율]]이 사용하여 큰 전과를 세웠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264&content_id=cp020812640001&search_left_menu=3 화차]",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
네 번째 화차는 임진왜란 때에 [[변이중]]이 문종화차를 개량하여 만든 것으로, 수레 위의 총통기에 40개의 [[승자총통]]을 설치하고 총통의 심지를 이어서 차례로 쏘게 한 것이다. 이 화차는 [[행주대첩]]에서 [[권율]]이 사용하여 큰 전과를 세웠다.<ref>"[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264&content_id=cp020812640001&search_left_menu=3 화차]",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ref>
  
===조총부착화차===
+
===[[조총부착화차]]===
다섯번째 화차는 조총부착화차이다. [[변이중]]의 화차에서 사용된 승자총 대신에 조총 50개를 설치한 것으로, 10개의 조총을 한 층으로 하여 다섯 층을 쌓아 만들었다. 한 층의 10개 조총이 한곳에 붙어 있어, 한번에 한 층의 조총을 장전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화차의 좌우에 방패를 부착시켰다. 19세기 초에 사용되었다.<ref>
+
다섯번째 화차는 조총부착화차이다. [[변이중]]의 화차에서 사용된 승자총 대신에 조총 50개를 설치한 것으로, 10개의 조총을 한 층으로 하여 다섯 층을 쌓아 만들었다. 한 층의 10개 조총이 한곳에 붙어 있어, 한 층의 조총을 한 번에 장전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화차의 좌우에 방패를 부착시켰다. 19세기 초에 사용되었다.<ref>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57636&cid=47306&categoryId=47306 화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sup>online</sup></online></html>,네이버 지식백과.</ref>
+
김인덕·서성호·오상학·오영선, 『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 솔출판사, 200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1157&cid=42955&categoryId=42955 화차]", 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ref>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25/C025.htm '''"화포와 화약을 제조하는 최무선"(최대섭) 지식관계망''']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dh.aks.ac.kr/Encyves/Graph/C025/C025.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http://dh.aks.ac.kr/Encyves/Graph/C031/C031.htm "행주대첩"(오승우) 지식관계망]'''
 +
*[http://dh.aks.ac.kr/Encyves/Graph/A042/A042.htm 화포식언해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화차]] || [[최무선화차]]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최해산화차]] || [[화차]]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화차]] || [[문종화차]]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화차]] || [[주자총통화차]]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화차]] || [[변이중화차]]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화차]] || [[조총부착화차]] || A는 B를 포함한다 || A dcterms:hasPart B
 
 
|-
 
|-
 
| [[최해산화차]]  || [[최해산]]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최해산화차]]  || [[최해산]]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53번째 줄: 53번째 줄:
 
| [[최해산화차]] || [[철령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최해산화차]] || [[철령전]]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문종화차]] || [[문종]]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문종화차]] || [[화차]]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
| [[문종화차]] || [[조선 문종]]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주자총통화차]] || [[화차]]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 [[주자총통화차]] || [[주자총통]]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주자총통화차]] || [[주자총통]]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변이중화차]] || [[화차]]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 [[변이중화차]] || [[변이중]]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변이중화차]] || [[변이중]] ||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 A dcterms:creator B
 +
|-
 +
| [[변이중화차]] || [[행주대첩]] ||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
|-
 +
| [[조총부착화차]] ||  [[화차]] || A의 유형은 B이다 ||  A dcterms:type B
 
|-
 
|-
 
| [[조총부착화차]] || [[조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총부착화차]] || [[조총]]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시각자료'''==
 
=='''시각자료'''==
 
===영상===
 
===영상===
*'''역사채널e - The history channel e_하늘을 달리는 불(게시일: 2014년 07월 25일)
+
*EBSCulture (EBS 교양), [https://www.youtube.com/embed/01lLrLpvvME 역사채널e - The history channel e_하늘을 달리는 불], ''YouTube'', 작성일: 2014년 07월 25일.
 
<html>
 
<html>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01lLrLpvvM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01lLrLpvvME"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74번째 줄: 85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인용 및 참조===
#웹자원
+
#웹 자원
 
#* 채연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882 화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채연석,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64882 화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0005 화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0005 화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doopedia』<sup>online</sup></online></html>, 두산백과.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264&content_id=cp020812640001&search_left_menu=3 화차]",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_id=CP_THE009&cp_code=cp0208&index_id=cp02081264&content_id=cp020812640001&search_left_menu=3 화차]",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html><online style="color:purple">『문화콘텐츠닷컴』<sup>online</sup></online></html>, 한국콘텐츠진흥원.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57636&cid=47306&categoryId=47306 화차]",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sup>online</sup></online></html>,네이버 지식백과.
+
#* 김인덕·서성호·오상학·오영선, 『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 솔출판사, 2004. 온라인 참조: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31157&cid=42955&categoryId=42955 화차]", 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 <html><online style="color:purple">『네이버 지식백과』<sup>online</sup></online></html>.
  
[[분류:민족기록화]] [[분류:개념]]
+
[[분류:민족기록화]][[분류:개념]]

2017년 11월 27일 (월) 03:55 기준 최신판

화차
(火車)
김용희, "변이중 화차, 지축을 흔들다",『장성군민신문』, 2011년 11월 29일.
대표명칭 화차
한자표기 火車
유형 군사



정의

조선시대의 다연장 발사무기이다.

내용

최해산화차

화차는 수레 위에 총을 수십 자루 장치하여 이동이 손쉽고, 한 번에 여러 개의 총을 쏠 수 있게 한 무기로 우리나라에는 조선시대에만 5종의 화차가 있었다.
첫번째 화차는 1409년(조선 태종 9) 최해산(崔海山)이 아버지 최무선(崔茂宣)의 뒤를 이어 각종 화약무기를 연구하던 끝에 완성한 것이다. 철령전(鐵翎箭)에 쇠날개를 달아 동통(銅㷁:청동총)에 장전한 후 작은 수레에 수십 개를 싣고 달리면서 화약을 사용하여 발사하도록 되어 있다.[1]

문종화차

두번째 화차는 1451년(문종 1)에 제작된 문종화차(文宗火車)이다. 문종은 세자시절부터 화약무기 연구에 많은 관심을 가졌는데 문종화차 역시 세자일 때 손수 창안하여 즉위할 즈음 완성하였다. 이 화차의 수레는 지름 87㎝짜리 바퀴 2개 위에 길이 2.3m, 너비 74㎝의 차체를 올렸다. 나무로 제작되었으며, 2명이 끌도록 설계되었다. 차체 위에는 총통기(銃筒機)나 신기전기(神機箭機)를 장치하여 사용하였다. 사전총통은 50개, 중신기전은 100개까지 부착할 수 있는 독창적이고, 위력있는 무기였다.[2]

주자총통화차

세번째 화차는 문종화차의 총통기에 4전총통 대신 주자총통(宙字銃筒) 50개를 설치하여 사용한 것인데, 주자총통은 1490년(성종 21)경 세종 때 제작된 삼총통(三銃筒)에 붙인 새 이름이다. 주자총통피령전(皮翎箭:가죽날개를 붙인 화살)이나 화전(火箭), 그리고 2개의 총알을 발사할 수 있는 다목적용 총으로서, 현존하는 세종 때의 총으로서는 가장 많은 40-50개가 남아 있다.[3]

변이중화차

네 번째 화차는 임진왜란 때에 변이중이 문종화차를 개량하여 만든 것으로, 수레 위의 총통기에 40개의 승자총통을 설치하고 총통의 심지를 이어서 차례로 쏘게 한 것이다. 이 화차는 행주대첩에서 권율이 사용하여 큰 전과를 세웠다.[4]

조총부착화차

다섯번째 화차는 조총부착화차이다. 변이중의 화차에서 사용된 승자총 대신에 조총 50개를 설치한 것으로, 10개의 조총을 한 층으로 하여 다섯 층을 쌓아 만들었다. 한 층의 10개 조총이 한곳에 붙어 있어, 한 층의 조총을 한 번에 장전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화차의 좌우에 방패를 부착시켰다. 19세기 초에 사용되었다.[5]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최해산화차 화차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최해산화차 최해산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최해산 최무선 A는 아버지 B가 있다 A ekc:hasFather B
최해산화차 철령전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문종화차 화차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문종화차 조선 문종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주자총통화차 화차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주자총통화차 주자총통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변이중화차 화차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변이중화차 변이중 A는 B에 의해 제작되었다 A dcterms:creator B
변이중화차 행주대첩 A는 B에 사용되었다 A ekc:isUsedIn B
조총부착화차 화차 A의 유형은 B이다 A dcterms:type B
조총부착화차 조총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각자료

영상

주석

  1. 채연석, "화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2. 김인덕·서성호·오상학·오영선, 『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 솔출판사, 2004. 온라인 참조: "화차", 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3. 채연석, "화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4. "화차",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5. 김인덕·서성호·오상학·오영선, 『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 솔출판사, 2004. 온라인 참조: "화차", 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1. 웹 자원
    • 채연석, "화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 "화차", 『doopedia』online, 두산백과.
    • "화차", 문화원형 라이브러리, 『문화콘텐츠닷컴』online, 한국콘텐츠진흥원.
    • 김인덕·서성호·오상학·오영선, 『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 솔출판사, 2004. 온라인 참조: "화차", 한국 미의 재발견 - 과학문화, 『네이버 지식백과』on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