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1 인문정보 콘텐츠 편찬 연구: 기말 보고서 (강혜원)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연구의 배경 및 목적

한국의 불교는 단순한 종교의 개념을 넘어 한국의 역사·문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특히 불교가 한반도에 전래된 이후 한국 고유의 문화와 결합하며 건축, 조각, 회화 등 다양한 형태의 문화유산을 남겼고, 그 결과 현재 한국 문화유산의 상당수가 불교미술에서 비롯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불교 문화유산은 종교적, 역사적, 문화적으로 복합적인 맥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가치와 의미를 온전히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또한 현장에서 각각의 문화유산을 설명하는 안내판의 해설문은 개별 문화유산에 대한 단편적인 소개에 치중하고, 전문적인 학문 분과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포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불교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기본적인 배경지식이 없다면 그 내용이 더욱 어렵게 느껴지고 나아가 대상에 대한 흥미마저 반감될 수 밖에 없다.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콘텐츠의 출발점으로 탑비(塔碑)에 주목할 만하다. 탑비는 고승(高僧)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지는 것으로, 주로 승탑(僧塔)과 함께 조성되며, 탑비에 새겨지는 비문은 승려의 출생에서 입적에 이르는 일생의 행적을 기록하고 있다. 비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탑비의 주인공인 승려가 맺고 있는 주변 인물과의 관계, 수행하면서 머무른 사찰, 탑비가 건립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또 다른 인물과의 관계, 탑비가 건립된 사찰과 관련 문화유산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발견할 수 있다. 비문을 통해 접할 수 있는 이러한 “지식요소(주변 인물, 문화유산, 불교개념 등)”들은 서로 긴밀한 의미적 연관관계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불교 역사·문화의 복잡한 실마리를 풀어나갈 단서를 찾을 수 있는 것이다.

주요 승려의 탑비에 새겨진 비문을 토대로 여러 지식요소간의 관계를 발견함으로써, 다양한 맥락 속에 존재하는 다채로운 이야기를 발굴해낼 수 있다. 이야기 속에서 각각의 지식요소는 따분하고 어려운 대상이 아니라 흥미로운 관심의 대상으로 변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야기를 통해 불교의 역사와 문화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면, 어렵고 멀게만 보였던 불교 문화유산의 의미와 가치 역시 쉽게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의 주요 사찰 경내에 금석문 형태로 남아있는 역사 기록을 중심으로 한국 불교 문화사의 특징과 다채로운 면모를 살필 수 있는 시각적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승탑비문의 주인공인 고승들의 행적뿐 아니라, 비문의 찬자와 그 주변 인물들, 사찰의 역사와 건축 등 흥미로운 이야기를 엮어낼 수 있는 다양한 자원들을 발굴하여 그 사이의 긴밀한 문맥을 보이고, 나아가 디지털 환경에서 문화유산 해설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표이다.

연구 대상 및 방법

연구 대상 및 범위

본 연구는 전국 사찰 및 박물관에 소재한 탑비 중 국보 및 보물로 지정된 총 48기의 탑비와 각 탑비의 주인공인 승려 47명, 그리고 탑비가 발견되었거나 현재 위치하고 있는 사찰과 사지(寺址) 44개소를 주요 대상으로 하였다.

탑비의 개수와 승려의 수가 일치하지 않는 이유는 탑비의 주인공을 알 수 없거나, 동일 승려의 탑비가 여러 개 존재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求禮 鷰谷寺 東 僧塔碑, 보물 제153호)는 비신(碑身)이 남아있지 않아 탑비의 주인공을 알 수 없으며, 고려시대의 승려인 선각왕사 나옹(禪覺王師 懶翁, 1320-1377)의 탑비는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楊州 檜巖寺址 禪覺王師碑, 보물 제387호)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驪州 神勒寺 普濟尊者石鐘碑, 보물 제229호) 등 2기가 남아있다. 또한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수미선사비(靈巖 道岬寺 道詵國師 守眉禪師碑, 보물 제1395호)의 경우, 하나의 탑비에 신라시대의 승려 선각국사 도선(先覺國師 道詵, 827-898)과 조선시대의 승려 묘각화상 수미(妙覺和尙 守眉)의 행적을 기록하고 있다.

탑비의 개수와 사찰 및 사지의 개수가 일치하지 않는 이유 역시 동일한 사찰에 여러 탑비가 소재하고 있거나, 하나의 사지에서 여러 탑비가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례에 해당하는 탑비와 사찰 및 사지는 다음과 같다.

사찰 및 사지 탑비
구례 연곡사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남원 실상사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문경 봉암사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연구 방법 및 목표

Researchprocess.jpg

본 연구는 승려의 행적이 기록된 탑비의 비문을 출발점으로 삼아,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문화를 종합적으로 조망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를 편찬하고자 하였다.

먼저 탑비의 비문과 관련 문헌자료를 토대로 해당 승려가 어떠한 삶을 살았는지 조사하고, 승려의 행적 및 탑비의 건립 과정, 그리고 탑비가 건립된 사찰의 역사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역사 인물, 문헌, 문화유산, 불교 개념용어 등 500여 개의 지식요소를 추출하였다.

발견된 지식요소들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위키(Wiki) 방식의 웹 문서를 집필하였으며, 지식요소 상호간의 의미적 연관관계를 네트워크 그래프 형태의 시각자료로 표현하였다.

또한 현장답사를 통해 확보한 시각자료 자원을 활용하여 문화유산 현장을 360도 파노라마 영상 기반의 3D 가상현실(VR)로 제작해 제공함으로써, 텍스트만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현장감을 입체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다.

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DB 산출물 제작 계획
유형 데이터 형식 신규 제작 자료 수집 합계
웹 문서 위키 문서 500 - 500
네트워크 그래프 HTML5 + Google Visualization API 100 - 100
사진 JPG 400 30 430
일러스트레이션 JPG, PNG 40 - 40
전자지도 KML 40 - 40
동영상 MP4 20 20 40
3D 실사가상현실 JPG + HTML5 40 - 40
합계 1,190

연구 추진 내용 및 경과

대상 자료 연구 및 현장답사를 통한 지식요소 추출

사찰 및 사지 목록

탑비의 비문과 관련 문헌자료에 기록된 승려의 행적 및 탑비의 건립 과정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지식요소를 1차 추출하였다. 또한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문화를 소개하는 디지털 콘텐츠의 편찬이라는 측면에서, 문헌자료의 연구뿐만 아니라 현장답사를 통해 지식요소를 좀 더 풍부하게 발굴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비문 및 문헌 연구 과정에서 탑비가 건립되었던 사찰을 포함하여 승려의 생애 또는 불교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남·북한의 사찰 및 사지 총 103개소를 목록화하였다.

현장답사 추진 경과

이 중 북한 소재의 사찰과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사지 등 현장답사가 불가능한 사찰·사지를 제외하고 총 48개소의 답사를 기획하였으며, 확정된 답사지를 대상으로 2016년 11월부터 2017년 5월까지 총 36개소의 현장답사를 완료하였다. 나머지 12개소에 대해서는 추계 현장답사를 추진할 예정이다.

승탑비문 전체노드

이러한 과정의 대상 자료 연구 및 현장답사를 통하여 탑비가 기록한 승려의 행적과 탑비의 건립, 그리고 한국 주요 사찰의 역사와 문화 전반에 관한 정보를 담아낼 수 있는 지식요소를 500여 개 이상 추출하였다. 현재까지 추출된 지식요소는 각각 인물 139건(역사인물 100, 기타 승려 39), 기관단체 3건, 문헌 13건, 문화유산 129건, 개념용어 70건 등 이며, 상호간의 관련성 및 다른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계 등을 고려하여 7월 첫째 주까지 집필 대상을 확정할 계획이다. 중심기사 외에 문맥기사로 작성할 지식요소의 목록은 왼쪽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웹 문서 집필

"불교 사찰의 승탑비문" 영역에서 집필 중인 웹 문서는 탑비, 승려, 사찰 및 사지를 포함하는 중심기사와 인물, 기관단체, 문헌, 문화유산, 불교 개념용어 등을 포함한 문맥기사, 그리고 기획기사로 구성된다. 각 기사 유형별 집필 전략과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중심기사

중심기사로 선정된 탑비 48건, 승려 47건, 사찰 및 사지 44건 중 현재까지 집필이 완료된 웹 문서는 탑비 48건(100%), 승려 10건(21.2%), 사찰 및 사지 24건(54.5%)이다. (상세 내역 보기)

탑비 기사 예시

“탑비” 기사는 각 탑비의 기본정보를 제공하고 비문의 해제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개요’에서는 탑비의 규모와 귀부(龜趺)이수(螭首) 등의 구성 요소를 기술하고, 대상 승려와 찬자, 서자, 각자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또한 건립 이후 파손이나 수리/복원, 이전 등과 관련된 역사를 제공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게 된 경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비문’에서는 탑비의 전면과 후면에 새겨진 비문의 내용을 요약하고, 비문의 내용이 지니는 의의를 기술하였다. 이 외에도 특정 탑비의 고유한 특성이나 기록유산으로서의 특별한 가치가 발견되는 경우, 별도의 하위 표제를 적용하여 해당 내용을 기술하였다.

승려 기사 예시

“승려” 기사는 비문의 내용을 인용하여 승려의 생애를 ‘가계와 탄생’, ‘출가수행’, ‘입적’, ‘탑비의 건립’ 등의 시간 순서로 기술하였다. 기존의 백과사전이나 인명사전이 승려의 생애를 요약하여 제공하는 데 비해, 본 연구에서 집필되는 승려 기사는 구체적인 비문의 기록을 통해 승려의 행적에 대한 근거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 특징을 지닌다. 또한, 승려의 삶에서 주목할 만한 주요 행적은 Northwestern University의 Knight Lab에서 제공하는 TimelineJS API를 통해 시각화를 시도하였다.

사찰 기사 예시

“사찰” 기사는 사찰의 역사와 특징, 경내 문화유산 등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탑비의 비문을 비롯한 옛 문헌자료와 신문기사 등을 인용하여, 기사에 포함된 정보에 대한 근거자료를 제시하였다. 특히 현장답사를 통해 확보한 다양한 사진 자료를 제공하고, 드론을 이용하여 촬영한 고공 파노라마 영상을 활용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사찰이 위치한 주변 경관을 즐길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였다.

  • 문맥기사

문맥기사의 집필 대상은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지식요소인 인물, 기관단체, 문헌, 문화유산, 불교 개념용어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지식요소는 중심기사로 작성된 탑비, 승려, 사찰에 대한 지식정보를 의미적인 연관관계 속에서 충실히 전달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중심기사 및 문맥기사 예시
중심기사
사찰/사지
중심기사
탑비
중심기사
승려
문맥기사
순천 선암사, 칠곡 선봉사, 개성 흥왕사, 개성 영통사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의천, 난원 순천 선암사 승선교, 순천 선암사 동서 삼층석탑, 순천 선암사 대웅전, 순천 선암사 원통전, 순천 선암사 대각암 승탑,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순천 선암사 중수비, 순천 선암사 불조전, 조정래, 교장도감
청도 운문사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학일, 연초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청도 운문사 작압전
양양 진전사지, 군위 인각사지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일연, 도의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군위 인각사 미륵당 석불좌상,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양양 진전사지 도의선사탑, 왕희지, 삼국유사

특히 한국 불교의 종파, 제도, 불보살의 명칭, 사찰의 전각, 불교 미술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개념용어들을 포함하여, 불교 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이용자들이 일종의 용어사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개념용어의 기사는 ‘visual dictionary’의 개념을 도입하여, 연구 수행과정에서 제작된 일러스트 및 사진 자료를 지속적으로 추가할 계획이다.

개념용어 기사 예시1: 탑비 개념용어 기사 예시2: 비로자나불 개념용어 기사 예시3: 사천왕

  • 기획기사
기획기사 목록

기획기사는 승려와 역사 인물간의 특별한 관계를 심도 있게 조명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승려와 특정 역사 인물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는 각각의 개별 기사에서 제공할 수 있지만, 기획기사에서는 두 인물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교류하였고 서로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기술하고자 한다. 특히 해당 승려의 비문에 기록된 내용과 두 인물이 주고 받은 편지, 그리고 관련 문화유산 등을 통해 근거자료를 다양하게 제시할 계획이다. 기획기사는 외부 전문가(법보신문 이재형 기자)를 통해 8월 말까지 집필할 예정이며, 대상 주제는 왼쪽의 링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사진 자료 및 3D 실사가상현실 제작

현장답사에서 확보한 사진 자료 및 동영상을 통해, 텍스트만으로는 완전하게 전달하기 어려운 구체적인 형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현장감을 보완함으로써 디지털 콘텐츠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이고자 하였다. 드론과 GoPro Omni™와 같은 촬영기기를 이용하여 3D 실사가상현실을 제작할 수 있는 자원을 확보하였으며, 사진 자료의 경우, Adobe Photoshop™과 Adobe Lightroom CC™와 같은 편집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품질을 제고하였다.

파빌리온 제작 예시 특히 파빌리온의 제작 과정에서는 특정 장소의 경관을 보여주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스토리텔링을 위한 시각 자료의 제작이라는 측면에 주안점을 두었다. 예를 들어, “대각국사 의천의 삶과 문화유산”이라는 파빌리온 콘텐츠는 대각국사 의천이 천태종을 전파하는 과정에서 머물며 승탑진영, 가사 등을 남긴 순천 선암사와 그의 탑비가 남아있는 칠곡 선봉사를 연계하여 그의 생애의 한 시기를 엿볼 수 있고 관련 사찰의 경관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디지털 편찬의 인용 방법 제시

본 연구의 결과물이 온전한 디지털 편찬의 형식을 갖추기 위해서는 디지털 환경에 적합한 인용 방식에 대한 논의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디지털 편찬의 인용 방식에 대해서는 범용적으로 참고할 수 있는 스타일가이드를 찾기 어렵고, Chicago Style, MLA, APA와 같은 국제적인 인용 양식에서도 오프라인 저작에서 웹 자원을 인용하는 방식에 대한 지침만을 제공하고 있다.

디지털 인용 방식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자원의 인용 방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사료, 단행본, 논문, 웹사이트, 웹사이트 내 특정 페이지, 신문·잡지, 블로그·포럼, YouTube 동영상 등 다양한 자원에 대한 인용 방식을 제안하였으며, 콘텐츠 편찬 과정에서 추가로 발생하는 인용 대상 자원과 사례에 대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있다.

활용 방안 및 기대효과

본 연구는 사찰에 건립된 탑비의 기록을 중심으로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문화 전반을 이해할 수 있는 지식정보 콘텐츠를 디지털 환경에서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디지털 콘텐츠는 한국학에 대한 학구적인 관심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 콘텐츠 개발의 원천 소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해 편찬된 콘텐츠는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문화유산 안내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다. 개별 문화유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치지 않고, 승려를 비롯한 관련 역사 인물, 사건, 문헌, 또 다른 문화유산 등에 관한 포괄적인 지식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가 자신의 관심사에 따라 관련 지식을 확장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한 것이다. 또한 탑비의 비문과 옛 문헌자료 등 근거자료와 참고문헌을 충실히 제시하여 보다 심도 있는 인문학 연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나아가 이러한 콘텐츠는 현장의 문화유산 안내판과의 연계를 통해, 기존의 안내 시스템과 디지털 기반의 안내 콘텐츠가 효과적으로 상보적인 관계를 이루도록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환경에서 편찬된 콘텐츠라는 점에서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물은 해외 한국학 교육의 효과적인 교재로 활용될 수 있다. 유형의 실물이 있는 문화유산을 보여주고 그것을 실마리로 삼아 한국학 지식의 스토리를 전달하는 것은 매우 효과적인 지식 전파의 방법이 될 수 있다. 특히 불교 미술, 종파, 불보살, 사찰 전각의 의미 등과 관련한 여러 가지 개념용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한국 불교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디지털 공구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개선과제

연구 결과물의 인용 방식 제시

"이 문서 인용하기" 예시

본 연구에서는 웹 문서 집필 과정에서 참조, 인용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자원의 디지털 인용 방식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더해 본 연구의 결과물로 편찬된 웹 문서를 이용자가 인용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자원의 인용 방식을 각 문서에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용자가 용이하게 인용 방식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1) 오프라인 저작에서 인용할 경우, 2) 온라인 저작에서 인용할 경우, 3) 위키 문서에서 인용할 경우 등 인용 상황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는 표기방식을 최종 결과물과 함께 제시할 예정이다. 또한 틀:인용정보와 같은 장치를 활용하여 웹 문서의 작성자가 손쉽게 해당 정보를 기술할 수 있는 기술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파빌리온 가이드맵 제공

현재의 파빌리온 시스템 상에서는 파빌리온 콘텐츠의 구성과 scene 및 site 사이의 연결관계를 용이하게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이용자가 파빌리온 내에서 길을 잃거나, 의도와는 달리 동일한 장소를 맴돌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전자지도나 네트워크 그래프 등의 기능을 활용하여, 이용자가 파빌리온 콘텐츠의 내용을 직관적으로 알아볼 수 있고 보다 자유롭게 콘텐츠의 내용을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종의 "가이드맵"을 함께 제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