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명전야진찬의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통명전야진찬의
(通明殿夜進饌儀)
국립중앙박물관(http://www.museum.go.kr/)
대표명칭 통명전야진찬의
한자표기 通明殿夜進饌儀
유형 의례
관련개념 가례, 연향례



정의

1848년(헌종 14) 3월 17일 창경궁 통명전에서 거행된 만찬 연회를 그린 장면으로, 밤을 상징하는 등과 촛불이 그려져 있다.[1]

내용

익선관에 꽃을 달고 참여했고, 대왕대비대례복적의를 입었다. 여령(女伶) 가자(歌者)가 참여하였다. 포구락(抛毬樂)[2], 선유락(船遊樂)[3], 검기무(劍器舞)[4], 처용무(處容舞)[5] 등 4개의 정재가 행해졌다.[6]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대왕대비 통명전야진찬의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통명전야진찬의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헌종무신진찬례 통명전야진찬의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통명전야진찬의 통명전진찬의 A는 순서상 B의 뒤이다 A edm:isNextInSequence B
왕의 상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대왕대비 왕비의 대례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848년 3월 19일 창경궁 통명전에서 통명전익일회작의가 거행되었다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80779 126.994551 창경궁 통명전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2-1에 위치한다

주석

  1.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
  2. "포구락(抛毬樂)", 한겨레음악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3. "선유락(船遊樂)", 한겨레음악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4. "검기무(劍器舞)", 문화원형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5. "처용무(處容舞)",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6.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중기 궁중연향문화』, 민속원, 2005, 345~346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안태욱, 『궁중연향도의 탄생-조선후기 연향 기록화와 양식에 대한 미술사적 연구』, 민속원, 2014.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중기 궁중연향문화』, 민속원, 2005.

더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