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명전진찬의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통명전진찬의
(通明殿進饌儀)
국립중앙박물관(http://www.museum.go.kr/)
대표명칭 통명전진찬의
한자표기 通明殿進饌儀
유형 의례
관련개념 가례, 연향례



정의

1848년(헌종 14) 3월 17일 대왕대비전인 창경궁 통명전에서 거행된 내진찬(內進饌)으로, 품계별로 구별된 공간 속에서 연회가 베풀어졌다.[1]

내용

이날 연회에서 , 왕비, 경빈 김씨가 술 세 잔을 올렸고[獻爵], 내명부, 외명부, 종친, 의빈(儀賓), 척신(戚臣), 반수(班首)가 이어 헌작하였다. 대왕대비, 왕비대례복적의를 입고, 상복익선관곤룡포를 착용했다. 경빈 김씨명복, 내명부외명부예복, 종친의빈흑단령, 동몽(童蒙)은 청금복을 착용했다. 정재는 몽금척지무(夢金尺之舞)[2], 하황은(荷皇恩)[3], 향령무(響鈴舞)[4], 헌선도(獻仙桃)[5] 관동무(關東舞), 장춘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6], 보상무(寶相舞)[7], 무고(舞鼓)[8], 포구락(抛毬樂)[9], 아박무(牙拍舞)[10], 선유락(船遊樂)[11]의 13개가 행해졌다.[1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대왕대비 통명전진찬의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통명전진찬의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왕비 통명전진찬의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경빈 김씨 통명전진찬의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외명부 통명전진찬의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동몽 통명전진찬의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종친 통명전진찬의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의빈 통명전진찬의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헌종무신진찬례 통명전진찬의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왕의 상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비 왕비의 대례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대왕대비 왕비의 대례복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1848년 3월 19일 창경궁 통명전에서 통명전익일회작의가 거행되었다다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580779 126.994551 창경궁 통명전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와룡동 2-1에 위치한다

주석

  1.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6쪽.
  2. "몽금척지무(夢金尺之舞)",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3. 송방송, "하황은(荷皇恩)", 한겨레음악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4. "향령무(響鈴舞)",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5. "헌선도(獻仙桃)",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6. "장춘보연지무(長生寶宴之舞)",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7. "보상무(寶相舞)",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8. 송방송, "무고(舞鼓)", 한겨레음악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9. 송방송, "포구락(抛毬樂)", 한겨레음악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10. 송방송, "아박무(牙拍舞)", 한겨레음악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11. 송방송, "선유락(船遊樂)", 한겨레음악대사전, 『네이버 지식백과』online, 네이버.
  12.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중기 궁중연향문화』, 민속원, 2005, 345~346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김문식, 신병주 저, 『조선 왕실기록문화의 꽃 의궤』, 돌베개, 2005.
  • 김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분류별의궤해설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서울대학교 규장각, 『규장각소장 의궤 해제집(3)』, 서울대학교 규장각, 2005.
  • 신명호, 『조선 왕실의 의례와 생활 궁중문화』, 돌베개, 2002.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중기 궁중연향문화』, 민속원, 2005.

더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