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월회맹연 (해독)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Pici.png

본 기사는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서 2016년에 개최한 특별전 '한글, 소통과 배려의 문자(2016.6.29~12.31)'의 도록 및 2016~2017년에 진행한 금요강독회 중 완월회맹연 (해독) 관련 '발표내용'을 참고 활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원문 중 옛 한글의 경우 웹브라우저 및 시스템의 문자세트(character set) 표현상 한계로 인해 표시가 불완전할 수 있으며, 각 내용상의 사소한 교정은 별도의 언급 없이 적용하였습니다.

한글팀 완월회맹연.png

원문과 해석문

원문 해석문
대명(大明) 영종(英宗) 년간의 황태부(皇太傅) 슈각노(首閣老) 딘국공 졍한의 (字) 계원이오, 명나라 영종황제 시절에 황태부수각로진국공 정한은 자가 계원이고,
호(號) 문쳥이니, 숑현(宋賢) 명도션(明道先生)[1] 후예라. 호는 문청이며 송나라의 어진 신하였던 정호(程顥)의 후예다.
셩문(聖門) 여풍(餘風)이 원(元代) 후손의 니히 츌어범뉴(出於凡類)여 성인(선조)이 남긴 뜻이 원나라 시대 후손들에게 이르러 보통의 사람보다 뛰어났다.
호학(好學) 독셔(讀書)며 인현효우(仁賢孝友)여, 도덕셩(道德性行)이 탁셰(濁世)의 학문을 좋아하고 독서하며 어질고 현명하며 효도와 우애가 깊어 도덕 및 성품과 행실이 어지럽고 더러운 세상에
므드지 아니 문달(聞達)[2]을 구치 아냐 방의 비린  글이 스러디고, 때가 묻지 않았다. 이름이 세상에 널리 알려지는 것을 구하지 않아 사방에 비린내 나는 뜻의 글이 사라지고,
태조황뎨 일통(一統)샤 팔황(八荒)[3]이 광활(廣闊)나 심산(深山) 벽쳐(僻處)를 나지 아니며 명태조가 천하를 통일하여 온 세상이 막힌 데 없이 트였으나 깊은 산 외진 곳을 떠나지 않았다.
부귀를 초(草芥)치 넉이더니, 셩조(聖朝)[4] 문황뎨(文皇帝) 즉위샤 냥신(良臣)을 구시미 부귀를 하찮게 여기더니, 명나라 문황제가 즉위하여 어진 신하를 구하는 것이
문왕(文王)이 녀상(呂尙)을 마심 고 소렬(昭烈)의 삼고초려(三顧草廬)를 효측(效則)샤 주나라 문왕이 태공망을 맞이하듯 하고, 유비의 삼고초려를 본받아서
문쳥공[5]을 닐위시고, 녜경(禮敬)시미 고(古今)금의 두(擡頭)리 업고 공의 정한을 이르게 하여 예로 공경함이 고금에 대적할 사람이 없었다. 공의
군지튱(事君之忠)과 (百行) 덕(才德)이 셰(世代)의 독보(獨步)더니 충성스러움과 온갖 행실 그리고 재주와 덕행 등은 이 시대에 독보적이었다.
영종의 니러 황고(皇考)[6]의 툥우(寵遇)[7]시던 을 니으시니 영종황제에 이르러 선친이 사랑하고 특별히 대우하는 뜻이 이어지시니
원 셩조 황데 님븡(臨崩)의 문쳥의게 유됴(遺詔)샤 태 원래 우리 황제께서 돌아가시기 직전에 정한에게 조서를 내려 태자
본래의 항목 기사로 돌아가기

주석

  1. 이동 북송 낙양 사람. 관리이며 철학자이자 교육자. 세간에서 그를 명도선생이라 부름.
  2. 이동 이름이 세상에 널리 알려짐.
  3. 이동 발굉(八紘). 온 세상을 이르는 말.
  4. 이동 백성들이 당대의 왕조를 이르는 말.
  5. 이동 정한.
  6. 이동 선고(先考). 선친(先親).
  7. 이동 귀여워하고 사랑하여 특별히 대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