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봉대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봉대
(鳳帶)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대표명칭 봉대
한자표기 鳳帶
구분
착용신분 왕비, 왕세자빈, 왕세손빈, 내명부, 외명부
착용성별 여성



정의

조선의 왕비, 내명부, 외명부와 대한제국의 황후, 황태자비가 국가 행사에 참여할 때 홍장삼이나 원삼 위에 두르는 긴 띠이다.[1]

내용

겹으로 된 직사각형의 직물로 만든 긴 끈이다. 안쪽 중앙에는 허리 너비 만큼 간격을 두고 좌우로 작은 끈이 달려 있어 허리에 고정 시켰다. 대의 남은 부분은 등 뒤쪽으로 고리를 내어 묶어 늘여뜨려 장식하였다.[2] 붉은 비단에 황후는 용(龍), 황태자비왕비는 봉황(鳳凰), 공주는 꽃[花] 무늬를 금박으로 넣는다. 군부인 등 신분에 따라 남색에 꽃[花] 무늬를 금박으로 찍어 장식한 대를 쓰기도 한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후 봉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태자비 봉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비 봉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비 봉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내명부 봉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외명부 봉대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후의 소례복 봉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빈의 소례복 봉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비의 소례복 봉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빈의 소례복 봉대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봉대 홍장삼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봉대 원삼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19쪽.
  2. 황문환·김주필·박부자·안승준·이욱·황선엽 주해, 『정미가례시일기 주해』,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0, 52쪽.
  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123쪽.
  4.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5.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강순제·김미자·김정호·백영자·이은주·조우현·조효숙·홍나영,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2011.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김소현, 「가례시 절차에 따르는 조선후기의 왕실여성 복식연구」, 『服飾』59권 3호, 한국복식학회, 2009.
  • 朴東媛, 「圓衫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6.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李眞英ㆍ金仁淑, 「韓國 圓衫의 由來 糾明을 위한 形態的 考察」, 『服飾』 18권, 한국복식학회, 1992.
  • 이태옥ㆍ김혜영ㆍ조우현 「안동김씨묘 출토 조선후기 원삼의 특징」,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권 2호, 한국의상디자인학회, 2005.
  • 任賢珠, 「朝鮮時代 圓衫의 由來와 變遷過程 硏究」,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전정희ㆍ박현정, 「靑色 圓衫에 관한 연구」, 『한복문화』 제2권, 한복문화학회, 1999.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