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제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유제
(告由祭)
대표명칭 고유제
한자표기 告由祭
이칭 고사직종묘(告社稷宗廟)
유형 의례
관련개념 가례, 상례



정의

조선시대에 나라에 대사(大事)가 있을 때, 종묘(宗廟)사직(社稷) 등에 사유(事由)를 아뢰기 위해서 지내는 비정기적인 제사이다.[1]

내용

국혼(國婚)으로 왕비를 맞이하거나, 왕비왕세자책례(冊禮) 등을 거행하기 전에 종묘사직ㆍ능을 참배하는 배릉(拜陵)을 행한다. 왕세자관례(冠禮), 왕세자빈의 책봉(冊封) 등을 앞두고는 종묘에 미리 사유를 아뢰는 제사를 지낸다. 국상(國喪)의 경우, 소렴(小斂) 전에 종묘영녕전(永寧殿)사직에 국상 사실을 아뢰며, 계빈(啓殯)의식 전에도 종묘에 사유를 고한다. 그 밖에도 여러 능원(陵園)과 묘(廟) 등에 해당 사안이 생기면 고유제 의식을 거행하였다.[2]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고유제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왕세자 고유제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왕비 고유제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왕세자빈 고유제 A는 B를 거행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종친 고유제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백관 고유제 A는 B를 참여하였다 A ekc:participates B
책례 고유제 A는 B를 포함한다 A dcterms:hasPart B

주석

  1. 『春官通考』 卷13, 「吉禮」, ‘告由景慕宮儀’
  2. 『春官通考』 卷13, 「吉禮」, ‘社稷, 告由’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國朝五禮儀』
  • 『주자가례(朱子家禮)』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 강옥수, 「조선시대 의례서에 나타난 관, 계례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권오영 외 5명, 『조선 왕실의 嘉禮 01』, 한국학중앙연구원, 2008.
  • 김문식ㆍ김정호, 『조선의 왕세자 교육』, 김영사, 2003.
  • 김용숙,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일지사, 2000.
  • 김지영ㆍ김문식 외 4명, 『즉위식, 국왕의 탄생』, 돌베개, 2013.
  • 戴龐海, 『先秦冠禮硏究』, 中州古籍出版社, 2006
  • 박나연, 「正祖代 후반 王世子 冊封禮와 그 意義」,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심재우·임민혁·이순구외 2명, 『조선의 세자로 살아가기』, 돌베개, 2013.
  • 안애영, 「임오년 가례 왕세자, 왕세자빈 복식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유송옥, 이민주, 「특집 전통생활문화의 현대적 조명-효명세자 책례, 관례, 의식 및 복식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 1』,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8
  • 육수화, 『조선시대 왕실교육』 , 민속원, 2008.
  • 이명은, 「궁중발긔에 나타난 행사 및 복식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최연우 외, 『장서각 소장 ‘의례등록(儀禮謄錄)’ 자료의 탈초, 역주 및 현대화』,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