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1986년에 상영된 TV 시리즈 애니메이션 <조롱박형제>는 중국 전통 종이공예인 전지(剪纸)의 기법을 차용한 전지 애니메이션으로, 예술성이 매우 뛰어나다. <조롱박형제>에서는 신기한 칠색 조롱박에서 각각 다른 신통력을 가지고 태어난 일곱 명의 조롱박형제가 가족과 마을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요괴들과 용감히 맞서 싸우는 이야기다.
줄거리
어느 마을의 한 착한 노인이 조롱박 일곱 개를 얻어 거기서 태어난 아이들을 키우게 된다. 하지만 조롱박 형제들을 노린 요괴 부부-흡사 서유기의 나찰녀와 우마왕을 연상케 하는-에게 납치되어 먼저 태어난 여섯 형제는 할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요괴들과 싸우지만 늦게 태어난 막내 조롱박은 요괴들을 친부모라고 착각하여 다른 형제와 할아버지를 적대하고 결국 할아버지는 조롱박 형제들을 구하려다가 요괴들 손에 살해당하고 만다. 자신이 잘못했음을 깨달은 막내는 다시 형제들과 힘을 합치게 되고, 조롱박 형제들은 요괴들을 봉인한 뒤 자신들은 산이 되어 요괴를 가둔다.
등장 인물
맏형 홍와는 태어날 때부터 장사로 태어났으며, 몸이 마음대로 축소되었다가 커지기도 한다. 그러나 용감하고 힘이 센 데 비해 책략이나 꾀가 부족하다.
천리안은 천리 밖까지 내다볼 수 있는 눈을 말하고, 순풍귀는 바람에 실려오는 사면팔방의 가깝고 먼 소리를 모두 들을 수 있는 신통한 귀를 말한다. 둘째 등와는 바로 이러한 천리안과 순풍귀를 가지고 태어났다. 그래서 요괴들이 어디서 무엇을 하는지 모두 알아챌 수 있다.
금강불괴 지신을 가지고 있는 황와는 그 어떤 총, 칼, 화포에도 끄떡없지만, 오만하고 고집이 세 종종 요괴의 꾀에 넘어간다.
녹와는 천계의 화신(火神)이 속세로 내려와 환생한 아이로, 맹렬한 화염을 입에서 뿜어낼 수 있다. 불과 벼락을 다룬다.
청와는 강물의 신이 환생한 아이로, 큰 강의 물도 단번에 모두 들이켜 비축했다가 원하는 대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입이 가벼운 것이 약점이다. 물과 번개를 다룬다.
남와는 일곱 명의 형제 중 가장 영리하고 민첩하다. 또한 그는 은형(隐形) 술법으로 몸을 감쪽같이 숨길 수 있다.
막내 자와는 특별한 신통력은 없지만, 태상노군(太上老君)이 신단을 만들 때 쓰던 신비한 조롱박 자금신호를 가지고 태어났다. 이 자금신호는 요괴를 무찌르는 데 굉장한 힘을 발휘한다.
조롱박 일곱 형제는 이 선량하고 부지런한 할아버지의 손끝에서 조롱박 씨로부터 조롱박으로 자라났고, 조롱박이 다 익은 뒤 그 안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일곱 형제가 위험에 처하자 조롱박 신이 가르쳐준 대로 일곱 형제에게 도움을 주고 요괴의 손에 희생된다.
악역인 뱀 요괴와 전갈 요괴는 조롱박 산에 봉인되어 있던 요괴들이다. 그들은 법술과 꾀가 뛰어나며, ‘여의’와 ‘마법거울’, ‘음양검’ 등 세 개의 영험한 보물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이 보물의 힘으로 여러 동물과 인간들을 해친다.
노드관계표
각주
기여
[펼치기]
Class
클래스 |
노드
|
도깨비 |
갓파, 구미호, 한국의 도깨비, 오니, 땅거미, 덴구, 여우, 여와, 저승사자, 삼신할매, 염라대왕(2), 걸귀, 놋페라보, 구로보즈, 로쿠로쿠비, 야차
|
공간 |
중국의 귀, 일본의 요괴, 도노, 일본(2017), 도쿄,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교토 니조카와라, 오사카 코토나미 정, 도깨비 다리, 김공 선정지비, 김성수 생가, 교토, 안동하회마을, 삼매리, 곡성, 한국, 조선
|
작품 |
꼬비꼬비, 신과 함께(2017), 요괴, 별신마을각시,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천년여우여우비, 갓파쿠와여름방학, 곡성, 괴물, 이누야샤, 도깨비, 요괴인간벰, 전설의고향, 차우, 조롱박형제, 금방망이 은방망이
|
문헌 |
《서유기》,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 김서방 도깨비, 도노 모노가타리, 무지나, 신설백물어, 증여리물어, 유빈호치 신문, 쿠마노의 민화, 금석 이야기, 비형랑 설화, 하세오조시, 구미호 이야기, 삼국유사, 금강설화, 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
문콘 |
게임, 드라마, 영화, 웹툰, 애니영화, 애니시리즈
|
캐릭터 |
가오나시, 쿠, 여우비, 손오공, 퇴마사
|
시대 |
현대, 에도시대
|
Relation
관계어 |
노드
|
은 -의 등장인물이다 |
가오나시 →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쿠 → 갓파쿠와여름방학, 여우비 → 천년여우여우비
|
은 -의 캐릭터다 |
가오나시 → 오니, 가오나시 → 땅거미, 가오나시 -> 놋페라보, 쿠 → 갓파, 여우비 → 구미호, 손오공 → 《서유기》
|
은 -지역의 요괴이다 |
갓파 → 도노, 덴구→ 일본(2017), 여우 →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구로보즈 → 도쿄, 우마왕 → 중국, 나찰녀 → 중국,
|
는 -를 만들었다. |
여와 → 인간
|
는 - 관련 설화이다. |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 한국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 → 한국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 → 한국의 도깨비, 구미호 → 한국의 도깨비,도노 모노가타리→덴구 , 도노 모노가타리→여우, 도노 모노가타리→갓파 , 금석 이야기→오니 , 비형랑설화 → 도깨비, 신과 함께(2017) → 한국의 도깨비,금방망이 은방망이 →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금석 이야기 → 헤이안 시대,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 꼬비꼬비
|
는 -와 관련된 공간이다. |
도깨비 다리 → 한국의 도깨비, 김공 선정지비 → 한국의 도깨비, 김성수 생가 → 한국의 도깨비,
교토 → 금석 이야기 , 교토→하세오조시, 안동하회마을 → 별신마을각시,곡성 → 곡성, 한강둔치 → 괴물, 삼매리 → 차우, 한국 → 도깨비,한국 → 곡성, 한국 → 괴물, 한국 → 차우,금석 이야기 → 교토, 금강설화 → 일본, 덴구 → 일본
|
는 -에 등장한다. |
오니 → 하세오조시. 일본의 요괴 → 하세오조시, 저승사자 → 신과 함께(2017),저승사자 → 요괴. 구미호→ 전설의고향, 삼신할매→전설의고향 ,염라대왕(2) → 전설의고향 , 걸귀 → 전설의고향,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 → 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땅거미 → 에도시대, 오니 → 에도시대, 여우 → 에도시대, 오니 → 금강설화, 갓파→ 현대, 입이찢어진여자 → 현대, 도깨비 → 꼬비꼬비
|
는 -에 속한다. |
구미호 → 여우, 여우 → 일본의 요괴, 덴구 → 일본의 요괴, 구미호 이야기→삼국유사, 구미호 → 일본의 요괴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 방이설화, 도깨비 → 드라마, 요괴인간벰 → 드라마, 전설의고향 → 드라마, 신의 이미지가 부여된 뱀 → 뱀, 인간에게 해를 주는 뱀 → 뱀, 인간의 배우자로서의 뱀 → 뱀, 덴구 다오시 → 덴구, 덴구 와라이 → 덴구,덴구 쓰부테 → 덴구, 덴구 유스리 → 덴구, 덴구 다이코 → 덴구, 덴구 가쿠시 → 덴구, 덴구 마쓰 → 덴구, 덴구 노히 → 덴구, 입이찢어진여자 → 야마우바, 입이찢어진여자 → 일본의 요괴, 유키 온나 → 일본의 요괴
|
은 -를 소재로 했다 |
곡성 → 오니, 곡성 → 덴구, 괴물 → 오니, 괴물 → 갓파, 차우 → 오니, 차우 → 덴구, 천년여우여우비 → 여우,천년여우여우비 → 구미호,꼬비꼬비 → 한국의 도깨비,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 오니,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 땅거미,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 놋페라보,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 구로보즈,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 야마우바,금석 이야기 → 일본의 요괴, 요괴인간벰→ 오니, 도노 모노가타리 → 일본의 요괴, 이누야샤 → 일본의 요괴, 이누야샤 → 야차, 조롱박형제 → 요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