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신할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7번째 줄: | 7번째 줄: | ||
==관련 설화<ref>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원형백과> </ref>== | ==관련 설화<ref>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원형백과> </ref>== | ||
*먼 옛날 어느 부잣집, 마침 부모는 없고 시녀와 딸만 있을 때에 웬 중(석가여래)이 들어와 시주를 요청한다. 그런데 터진 바랑이어서 쌀이 게속 흘러나오자, 중은 쌀을 주워 달라고 한다. 딸은 쌀을 줍는데, 줍는 도중(혹은 다ㅏ 줍고 자다가)갑자기 중이 그녀를 범한다. 그녀는 임신을 하고 마는데, 돌아온 부모에게 들켜 집에서 쫓겨난다. 그녀는 밖에서 아이 셋을 낳았고, 세 아이는 장성하여 아버지인 중을 찾는다.그 중은 사실 석가여래로, 아들 셋에게 이름을 지어 삼불제석(제복, 수명, 자손 생산을 담당하는 신)이 되게 하고, 부인은 출산의 신인 삼신할머니가 되게 했다. | *먼 옛날 어느 부잣집, 마침 부모는 없고 시녀와 딸만 있을 때에 웬 중(석가여래)이 들어와 시주를 요청한다. 그런데 터진 바랑이어서 쌀이 게속 흘러나오자, 중은 쌀을 주워 달라고 한다. 딸은 쌀을 줍는데, 줍는 도중(혹은 다ㅏ 줍고 자다가)갑자기 중이 그녀를 범한다. 그녀는 임신을 하고 마는데, 돌아온 부모에게 들켜 집에서 쫓겨난다. 그녀는 밖에서 아이 셋을 낳았고, 세 아이는 장성하여 아버지인 중을 찾는다.그 중은 사실 석가여래로, 아들 셋에게 이름을 지어 삼불제석(제복, 수명, 자손 생산을 담당하는 신)이 되게 하고, 부인은 출산의 신인 삼신할머니가 되게 했다. | ||
− | |||
이 설화는 지역별로 달라지고, 당금애기가 삼신이 되기도 하고 삼불제석을 통틀어 삼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이 설화는 지역별로 달라지고, 당금애기가 삼신이 되기도 하고 삼불제석을 통틀어 삼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
2017년 6월 14일 (수) 14:45 판
- 삼신할머니 초상[1]
'삼신'이란, 산육(産育)을 관장하는 신이다.
관련 설화[2]
- 먼 옛날 어느 부잣집, 마침 부모는 없고 시녀와 딸만 있을 때에 웬 중(석가여래)이 들어와 시주를 요청한다. 그런데 터진 바랑이어서 쌀이 게속 흘러나오자, 중은 쌀을 주워 달라고 한다. 딸은 쌀을 줍는데, 줍는 도중(혹은 다ㅏ 줍고 자다가)갑자기 중이 그녀를 범한다. 그녀는 임신을 하고 마는데, 돌아온 부모에게 들켜 집에서 쫓겨난다. 그녀는 밖에서 아이 셋을 낳았고, 세 아이는 장성하여 아버지인 중을 찾는다.그 중은 사실 석가여래로, 아들 셋에게 이름을 지어 삼불제석(제복, 수명, 자손 생산을 담당하는 신)이 되게 하고, 부인은 출산의 신인 삼신할머니가 되게 했다.
이 설화는 지역별로 달라지고, 당금애기가 삼신이 되기도 하고 삼불제석을 통틀어 삼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 제주도 「명진국 생불할망 본풀이」 : 삼신할멈의 나이가 일곱 살 되던 해 정월 초하루 인시(寅時)에, 옥황상제님이 불러서 "너는 인간세계에 가서 아기를 낳게 하는 삼신할멈이 되라"고 명하여싿. 그래서 삼신할멈은 옥황상제의 명을 받고 내려오다가, 아기를 낳지 못해 죽어가는 사람을 만나 아기를 낳게 해주었다. 삼신할멈은 은가위로 그 아이의 탯줄을 끊고 석자 실로 잡아맨 다음, 더운 물로 목욕시키고 유모를 불러 젖을 먹이는 한편, 미역국을 끓여 산모에게 먹였다. 그리고 사흘 후에 산모에게 쑥물로 목욕케 하고 태를 사르고, 아기에게는 배내옷을 입혔다.
특징[3]
가신(家神)의 하나로 ‘산신’ 또는 ‘삼신할머니’ 또는 ‘삼승할망’이라고 부른다. 삼신의 어원은 ‘삼줄’ ‘삼가르다’ 등의 사례로 미루어, 본디 ‘삼’이 포태(胞胎)의 뜻이 있어 포태신을 지칭한다고 볼 수 있다.
삼신의 정의[4]
- 삼신은 옥황상제의 명을 받아 인간세상에서 출산을 돕고, 산모와 갓난아기를 보호하며, 자식 갖기를 원하는 부인에게 아기를 점지하는 신인데, ‘삼신할매’, ‘제왕할매’, ‘제왕님네’라 부르는 것으로 보아 여성신격이다. 삼신의 어원은 ‘삼줄’, ‘삼가르다’ 등의 사례로 미루어, 본디 ‘삼’이 포태(胞胎)의 뜻이 있어 포태신을 지칭한다고 볼 수 있다. 삼신의 유래를 말해주는 서사무가로 「제석본풀이」(또는 당금애기무가)와 「삼승할망본풀이」가 있다.
- 일반적으로 산신(産神)이 한 분이라 하는데, 어떤 이는 피 만드는 산신, 뼈를 모아 주는 산신, 출산을 돕는 산신으로 삼신(三神)이라 말한다. 삼신모시기는 앉은 삼신(삼신단지를 신체로 하여 항시적으로 모시는 삼신), 뜬 삼신(임시로 모시는 삼신)으로 나뉘는데 요즘들어 앉은 삼신은 잘 모시지 않으며 대개 뜬 삼신만 모시는데, 여타 개인제의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전승력을 가지고 있다.
공간
알 수 없음
시대
알 수 없음
노드&관계
노드 | 관계 | 노드 |
---|---|---|
삼신할매 | ~는 ~이다 | 산육을 관장하는 신 |
삼신할매 | ~는 ~이다 | 여성 신격 |
기여
- 최초 작성자 : 이은정
각주
- ↑ <출처> 문화포털
- ↑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원형백과>
- ↑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Class
클래스 | 노드 |
---|---|
도깨비 | 갓파, 구미호, 한국의 도깨비, 오니, 땅거미, 덴구, 여우, 여와, 저승사자, 삼신할매, 염라대왕(2), 걸귀, 놋페라보, 구로보즈, 로쿠로쿠비, 야차 |
공간 | 중국의 귀, 일본의 요괴, 도노, 일본(2017), 도쿄,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교토 니조카와라, 오사카 코토나미 정, 도깨비 다리, 김공 선정지비, 김성수 생가, 교토, 안동하회마을, 삼매리, 곡성, 한국, 조선 |
작품 | 꼬비꼬비, 신과 함께(2017), 요괴, 별신마을각시,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천년여우여우비, 갓파쿠와여름방학, 곡성, 괴물, 이누야샤, 도깨비, 요괴인간벰, 전설의고향, 차우, 조롱박형제, 금방망이 은방망이 |
문헌 | 《서유기》,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 김서방 도깨비, 도노 모노가타리, 무지나, 신설백물어, 증여리물어, 유빈호치 신문, 쿠마노의 민화, 금석 이야기, 비형랑 설화, 하세오조시, 구미호 이야기, 삼국유사, 금강설화, 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
문콘 | 게임, 드라마, 영화, 웹툰, 애니영화, 애니시리즈 |
캐릭터 | 가오나시, 쿠, 여우비, 손오공, 퇴마사 |
시대 | 현대, 에도시대 |
R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