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회화정보 |명칭 = 이성원(李性源) 초상 |시대 = 조선시대(이성원, 1725-1790) |분류 = 초상화 |크기 = 147.5x84.0 ㎝ |소장처 = 국립중앙박물관 소...)
 
33번째 줄: 33번째 줄:
 
|보양관||~을 착용한다||상복
 
|보양관||~을 착용한다||상복
 
|-
 
|-
상복||~으로 구성된다||
+
|상복||~으로 구성된다||
 
*(관모) <br>[[사모]] <br><br>
 
*(관모) <br>[[사모]] <br><br>
 
*(상의) <br>[[단령|흑단령]] <br><br>
 
*(상의) <br>[[단령|흑단령]] <br><br>
 
*[[흉배]] <br><br>
 
*[[흉배]] <br><br>
*(허리띠) <br>[[삽금대]] <br>[[삽은대]] <br>[[서대]] <br>[[소금대]] <br>[[소은대]] <br>[[흑각대]]<br>
+
*(허리띠) <br>[[삽금대]] <br>[[삽은대]] <br>[[서대]] <br>[[소금대]] <br>[[소은대]] <br>[[흑각대]] <br><br>
 
*(신) <br>[[협금화]] <br>[[흑피화]]
 
*(신) <br>[[협금화]] <br>[[흑피화]]
 
|-
 
|-

2016년 12월 2일 (금) 22:19 판


  • (위 그림) 당상관(堂上官)의 상복(常服) 착용 모습이다.


관련 정보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1784)


노드 및 관계 테이블

노드 관계 노드
보양관 ~을 착용한다 상복
상복 ~으로 구성된다
상복 ~에 그려져 있다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상복 ~에 규정되어 있다 경국대전, 속대전

Writer: 김현승

Main: 조선 후기 보양청 상견례 참여자 복식 고증 시각화


  1. 『經國大典)』 卷3 「禮典」 ′儀章′ : ″朝參常參朝啓並着黑衣.″
  2. 『經國大典』 卷3 「禮典」 ′儀章′
  3. 『續大典』 卷3 「禮典」 ′儀章′
  4. 『文孝輔養廳日記』1월 15일 : ″輔養官具黑團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