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중앙교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위치)
 
(2명의 사용자에 의한 151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clickable button|[[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학원 2019 봄 학술답사|Project Home]]}}
 
{{clickable button|[[한국학중앙연구원 대학원 2019 봄 학술답사|Project Home]]}}
  
=='''강화도와 종교'''==
+
{{문화유산정보
 +
|대표명칭 = 강화중앙교회
 +
|지정번호 =  
 +
|지정명칭 =  
 +
|지정일 =  
 +
|한자명칭 = 江華中央敎會
 +
|영문명칭 = Ganghwa Central Methodist Church
 +
|분류 =
 +
|건립·제작 = 1900.9.1
 +
|주소 =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신문리 549
 +
|위도 = 37.745213
 +
|경도 = 126.481202
 +
|사진 = 강화중앙교회.jpg
 +
|웹사이트 = www.gcmch.org
 +
}}
  
강화도는 예로부터 유난히 종교의식이 강한 곳이다. 단군신앙부터 불교, 유교, 천주교, 성공회, 개신교까지 수많은 종교들의 뿌리가 깊다. 현존하는 고인돌, 천 년된 정수사, 천주교 순교지 갑곶순교성지, 백년 된 교산교회가 그것을 증명해주고 있다. 주요이동수단이 배였던 시절 강화도를 통해 많은 문물이 들어왔기 때문이다. 지정학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던 지역이었다. 이 때문에 외세의 침략을 가장 먼저 당한 아픔의 땅이기도 하다. 당시 강화도는 수도(한양)와 내륙으로 들어가는 관문이었다. 인천 제물포항으로 들어온 선교사가 지정학적 특성을 살리기 위하여 강화지역 전도에 열을 올렸다. 그렇게 강화지역에 전해진 복음이 전국으로 뻗어나갔다. 신미박해, 신유박해, 병인박해 등 수많은 장애가 있었지만 복음이 전파되는 것을 막지 못했다. 현재 강화도에는 교회가 179개나 있고, 인구의 25%이상이 기독교인이다.
+
=='''개관'''==
 +
==='''한국어'''===
 +
강화도의 세번째 개신교(감리교) 교회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6693 홍의교회]에 출석하던 주선일, 박성일, 허진일, 김봉일 등 몇몇 교인이 강화읍 천교하(현 강화읍 신문리. 신문리 144번지, 초가 6칸 반)에 초가집을 마련하고 첫 예배를 드림으로써 오늘날 강화중앙교회의 모체(잠두교회)가 되었다.1900년 9월 1일의 일이었다. 강화지역 복음 전파 8년만에 수도 강화읍에 드디어 교회가 세워진 것이다. 다음해 4월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1&cp_code=cp0710&index_id=cp07100285&content_id=cp071002850001&print=Y 존스 (G.H.Jones, 趙元時)] 목사의 협조로 기와집 25칸, 초가집 16칸을 구입하여 교회를 현 위치로 옮겼다. 이 교회는 설립 8개월 만에 강화에서 가장 넓고 큰 예배당을 마련하게 되었으며, 강화 선교의 구심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1904년 [http://cafe.daum.net/gwch/Ketk/5 월곶교회] 개척을 시작으로 26개 교회를 직접 개척하거나 설립에 도움을 주었고, [http://sajeok.i815.or.kr/i815/view_region/619 잠두의숙]을 지어 교육운동에 앞장섰으며 강화지역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0258 항일독립운동]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하와이 이민에도 [[김우제(김이제) 목사]]를 비롯한 강화교회 출신들이 참여하여 하와이 현지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3685 한인감리교회]를 세우고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_id=200509191724011 미주지역 독립운동의 기반]을 닦았다. 교회명은 1914년‘잠두교회(혹은 신문리교회)’에서‘강화읍교회’로 변경. 1975년 11월 ‘강화읍교회’에서 ‘[http://www.gcmch.org/ 강화중앙교회]’로 변경되었다.
  
=='''강화중앙교회'''==
+
==='''영어'''===
 +
It was the third Methodist church in Kanghwado. Seonil Joo, Seongil Park, Bongil Park and some others who went to Hongeui Church did the first service in a thatched house in Cheongyoha Kanghwaeup(currently Kanghwaeup Shinmoonri 144), which was the start of Jamdoo Church (today's Kanghwa Central Methodist Church) in September 1, 1900. It took eight years after missionary work had begun to build a church in Kanghwa town, the capital of Kanghwado. Next year April, Jamdoo church bought 25 rooms of tile-roofed house and 16 rooms of thatched house with pastor Jones's help and moved to the present location. Within eight months of establishment, this church could have the biggest chapel in Kanghwado and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area. It developed Wolgot Church in 1904 and helped 26 churches ever since. It also established Jamdooeuisook and led an educational movement, influencing Anti-Japan independence movements. Preacher Wooje Kim and others from Kanghwado churches joined in the Hawaii immigration group and built a local Methodist church for Koreans in Hawaii, which led to the base of independence movements in U.S. regions. Jamdoo Church (or Shinmoonri Church) was renamed to Kanhwaeup Church in 1914 and to Kanghwa Central Methodist Church in November 1975.
  
===인물===
+
==='''러시아어'''===
*김상임, 김경일, 주선일, 허진일, 최족일, 김봉일. 이살로메. 존스(조원시, 초대 담임), 박능일
+
Церковь Ганхва Чунганг - это третья протестантская церковь в провинции Ганхва. Некоторые члены Церкви, такие как Чо Сун, Сун Сын Ир, Су Ил Парк, Ким Бон Ил, которые посещали церковь в Хонге, предоставили дом для этой семьи в Ганхва Эупсон Гёхак (Ганхва-ып Щинмун-ри 144). Это было 1 сентября 1900 года. После 8 лет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Евангелия в районе Гангхва, церковь была окончательно построена в Гангхва-ойп. В апреле следующего года, в сотрудничестве с Дж. Х. Джонсом и Чжао Цзяньчжуном, он купил 25 плиток и 16 стульев и перенес церковь на свое нынешнее место. Через 8 месяцев после своего основания она стала самой большой церквью, самой большой часовней в Ганхва и центром миссионерства в Ганхва. В 1904 году способствовала основанию «Церкви Вольгот» и еще 26 церквей. Иммигрировавшие на Гаваи, такие как Ким Ю-Дже основали Корейскую методистскую церковь на Гавайях, заложив основы для движения за независимость в Северной и Южной Америке. В 1914 году название церкви изменилось с «Церковь Чжамду» на «Церковь Канхваып». В ноябре 1975 года название вновь изменено с «Церковь Канхваып» на «Церковь Ганхва Чунганг».
*이동휘(강화진위대장 출신 민족주의자, 상해 임시정부 초대 국무총리), 김우제(김이제) 목사
+
*김동수, 김남수, 김영구
+
*홍승하(제4대 담임), 권신일, 김경일, 복근채, 하춘택, 박세창, 김기범, 데밍(C. S. Deming), 케이블(E. M. Cable), 손승용(제5대 담임), 이용주
+
  
===인물관계===
+
==='''위치'''===
{{NetworkGraph | title=강화중앙교회.lst}}
+
  
===역사===
+
<googlemap width="800" height="400" lat="37.745043" lon="126.481217" zoom="14" type="normal"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1900년 9월 1일 주선일, 그의 부인 박씨, 이살로메가 주도하여 주선일씨댁(천교하 기도처; 신문리 144번지, 초가 6칸 반)에서 첫 예배를 드리며 잠두교회 설립.  
+
37.745084, 126.481180, [[강화중앙교회]] </googlemap>
*누에머리를 닮은 잠두 언덕배기에 위치해 설립 초기에는 잠두교회라고도 불렀다. <ref>출처: [온누리 신문]</ref><br/>
+
*1901년 제물포지방 감리사인 조원시(존스)목사의 도움으로 현재의 신문리 위치에 기와집 25칸과 초가집 16칸을 사서 잠두교회 예배당을 봉헌
+
*1901년 교회부설로 교육기관인 잠두의숙(蠶頭義塾)을 설립. 첫 숙장(塾長)으로 과거 서당의 훈장을 했던 박능일 전도사를 임명
+
*1904년 월곶교회 개척을 시작으로 26개의 교회를 개척, 설립
+
*1907년 8월 진위대 병정해산과 관련된 소동을 잠두교회 교인이 선동했다는 일진회의 모함으로 김동수, 김남수권사, 김영구 3형제가 일제에 의해 순교
+
*1908년 12월 2일 교회부설 '사립제일합일학교' 설립
+
*1909년 4월 9일  교회부설 '제일합일여학교' 설립
+
*1914년 7월 강화최초 서양식 벽돌교회를 신축 봉헌, 교회명칭을 '강화읍 교회'로 변경 한국개신교회 최초의 교회역사책 '강화읍 잠두교회역사'를 기록
+
*1934년 4월 구(舊) 목사관을 준공
+
*1951년 10월 15일 복민의숙(강화실업고등기술학교) 개교
+
*1958년 4년 9일 교회가 분열되어 '성광교회'설립
+
*1964년 3월 3일 교회부설 '잠두유치원'개원
+
*1964년 교회후면 16평을 증축
+
*1976년 5월 '강화읍교회'에서 '강화중앙교회'로 변경
+
*1981년 12월 교회 전면 324평을 개축
+
*1984년 10월 제1교육관 1층(91평)을 준공
+
*1987년 6월 목사관 62평을 준공
+
*1991년 5월 27일  제1교육관 2.3층(232평)을 준공
+
*1994년 4월 17일  제28대 담임자 이민구목사 부임
+
*1998년 7월 6일 잠두유치원(3층) 150평 신축
+
*2000년 12월 31일  선교100주년 기념대성전 입당예배
+
*2001년 9월 2일  선교100주년 기념대성전 봉헌예배
+
*2002년 12월 15일  강화중앙교회 100년사 출판기념 예배
+
  
===사회영향===
 
*교육선교(1): 1901년 4월에 신교육 기관인 교회부설로 '잠두의숙(蠶頭義塾)'을 설립
 
*교육선교(2): 1902년 '합일여학교' 설립, 기독교 신앙에 바탕을 둔 민중교육을 시작. 이후 두 학교 하나의 학교로 통합. 오늘의 합일초등학교. 일제치하 민족운동과 한국 개화의 산실.
 
*민족교육운동: 보창학교(이동휘 권사), 유경근 속장(독립운동가)의 교회지도자와 강화중앙교회가 함께 추진. 이후 민중계몽과 독립사상으로 이어졌다.
 
*교육선교(3): 기독교 농민교육기관인 복민의숙(福民儀宿, 후에 복음학원 강화실업고등기술학교로 발전됨) 설립 운영
 
*교육선교(4): 덕신고등학교(강화읍)를 감리교 소속학교로 지정하고 기독교신앙 담당교사를 파송하는 한편 학교운영비로 매년 4,000만원씩 지원
 
*의료선교: 기독병원 설립
 
*해외선교: 영국에 지교회 킹스턴중앙교회. 필리핀, 몽골, 중국 등의 한인교회와 해외선교사를 돕고 있다.
 
*지역선교: 결식자 점심급식사업, 경로위안잔치, 환경미화원 위로연, 연간 2,000만원 상당의 장학금 지급, 침술선교봉사활동, 웨슬리 사회봉사단 활동, 불우이웃돕기 행사
 
  
===위치===
+
<googlemap width="800" height="400" lat="29.1058" lon="121.3958" zoom="14" type="normal"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삼문현 </googlemap>
  
<googlemap width="800" height="400" lat="37.745043" lon="126.481217" zoom="14" type="normal"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해설'''==
37.745084, 126.481180, [[강화중앙교회]]
+
==='''인물'''===
</googlemap>
+
1893년에 미감리회  [[존스 (G.H.Jones, 趙元時) 목사]]가 서사면 교항동(지금의 [https://www.ganghwa.go.kr/open_content/dong/sub/intro.jsp?dong=ysm 양사면 교산리])에 도착해 전도를 시작했다. 그는 1893년 가을, 제물포교인 이명숙(李明淑)을 전도인으로 삼아 강화도 담당자로 파송했다. 이명숙은 증산동 이승환의 자택에서 교인 4∼5명을 모아 예배를 시작했다. 오늘의 강화중앙교회는 [[홍의교회]]에 다니던 주선일과 그의 인척들, [[박능일]]을 비롯하여 [http://cfs11.blog.daum.net/image/34/blog/2008/02/06/16/19/47a95f38ec2a5 김봉일]과 [http://enews.incheon.go.kr:9080/main/php/search_view_new.html?idx=10724&section=11&section_sub=12&pg=72 권신일], [https://www.ganghwa.go.kr/open_content/tour/tour/tourInfoDetail.do?tourdiv=all&tour_seq=59 윤정일], 정천일 등이 개척했다. 이들은 한결같이 이름자의 끝 자를 일자(一字)로 맺고 있다. 이는 '주 안에서 한 형제됨'을 다짐하는 뜻으로 본래 이름을 고쳐서 사용한 것으로, 소위 말하는 [[일자(一字) 돌림신앙]]의 장본인들이었다. 김경일, 복근채, 하춘택, 박세창, [https://his.kmc.or.kr/person-dictionaries/43182/1? 김기범], [https://s3-ap-northeast-2.amazonaws.com/yjchurch.kr/wp-content/uploads/2016/04/03213301/item05.png 데밍(C. S. Deming, 도이명)], [http://koreanchristianity.cdh.ucla.edu/images/e%20m%20cable.jpg 케이블(E. M. Cable)], 이용주 등이 교회 개척 초기에 교회를 위해 힘썼고, 이후 [http://likumc.org/cp/?p=12653 홍승하], [[김우제(김이제) 목사]], [http://platform.ifac.or.kr/webzine/view.php?cat=&sq=72&page=1&Q=w_no&S=3&sort= 이동휘],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311792 손승용], [http://w3devlabs.net/korea/archives/tag/%EC%9C%A0%EA%B2%BD%EA%B7%BC 유경근], [http://m.incheonin.com/news/news_view.php?m_no=3&sq=24323&thread=003002000&sec=2 조봉암] 등이 교회를 위해서 시무했다.
  
 +
==='''강화잠두교회'''===
 +
1901년 4월에 제물포지방 장로사인 존스 목사는 강화 선교가 보다 탄력을 받기 위해서는 강화 유수가 있는 중심으로 교회를 옮겨야 한다고 생각하고, 교회의 위치를 부내면(府內面) 홍문동(弘問洞) 잠두(蠶頭, 누에머리) 부락의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기와집 25칸과 초가집 16칸을 206원에 사서 교회당으로 봉헌하고 교회 이름을 ‘강화읍잠두교회’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감리교'''==
+
==='''교육선교'''===
 +
1901년 5월 연회에서 [[박능일]] 전도사가 강화읍구역 담임자로 파송되어 1903년 3월 별세할 때까지 시무하며 강화 지역의 선교 거점교회로서의 기틀을 다졌다. 그는 부임 후 1901년 4월 1일 잠두교회 부설 잠두의숙(蠶頭義塾)을 설립하고, 숙장(塾長)으로 취임하여 강화에 신교육기관을 탄생시켰다. 강화잠두교회는 복음전도와 교육을 통한 민족운동에 진력했고, 잠두의숙은 1908년 12월 2일 에 정식 학교가 되면서 사립제일합일학교라 개칭되었다. 지금의 [[합일초등학교]]다. 그리고 이듬해인 1909년 4월 9일 잠두교회 내 여자소학교인 제일합일여학교가 설립되었다. 신교육의 기회가 없었던 강화 지역의 열악한 교육환경에서 교회를 다닌다는 것은 당시 여성들에게 커다란 문화적, 교육적 혜택이었다.
 +
 
 +
==='''항일독립운동'''===
 +
강화중앙교회의 항일독립운동은 세 가지다.
 +
 
 +
첫째로 1905년 3월 3일 강화진위대장을 사임한 강화잠두교회 권사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4080 이동휘(李東輝)]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6598 1907년 군대가 해산]되자, 7월 24일 강화로 내려와 강화읍내 [http://sajeok.i815.or.kr/i815/m3/1020/page/1/sfl/all?f=&type=department_detail&c5=2&move=%EC%9D%98%EB%B3%91%EC%A0%84%EC%9F%81&sf=&mobile=yes 연무당]에서 기독교도인 [[김동수 권사]], 김남수 형제, 허성경, 김광천, 김기약 등과 군중집회를 열고 격렬한 배일연설을 하였다. 7월 26일에는 연무당에서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5173 대한자강회총회]를 열고, 30일에는 [[전등사]]에서 김동수, 허성경 등 기독교도와 해산된 군인 400명을 모아 합성친목회라는 대규모 반일집회를 열었다. 이후 8월 9일 강화군민의 봉기가 일어나자 수원의 일본군은 8월 11일 강화에 도착하여 진압을 시작하였다. [http://www.ganghw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72 갑곶진 전투]에서 50여 명이 사살되는 등 의병측 피해가 속출하는 한편, 강화잠두교회가 반일운동의 준동지로 지목되어 일본군이 포위를 하였다. 그리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47326 일진회] 회원들은 주모자 [http://www.1ga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2426 이동휘] 등을 체포한다는 명목으로 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54827 강화진위대] 대원이었던 [[김동수 권사]] 3형제를 유인하여 압송하는 중 선원면 [http://sajeok.i815.or.kr/i815/view_region/513 더리미]에서 살해하였다. 이곳이 [[더리미 순교지]]다.
 +
 
 +
둘째로 1919년 3월 18일 [[길직교회]]와 함께 강화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강화잠두교회의 김유의가 독립선언서를 비밀리에 배포하였고, 강화만세운동이 있은 후 [http://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114531 조구원]을 비롯한 강화잠두교회에 출석하는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1827 조봉암]과 청년교인 6명이 강화읍교회에서 비밀조직을 결성한 후 독립운동 격문을 부착하고,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E0048026 자유민보] 등 10여 종류의 유인물을 배포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읍내 상인들에게 철시를 종용하고, 경찰로 근무하는 한국인의 각성을 촉구하다 4월 20일 체포되었다. 이것이 [[예수교도8인조사건]]이다.
 +
 
 +
셋째, 강화도의 한인들이 [http://digerati.aks.ac.kr/dhlab/2019/101/%EC%B5%9C%EC%9B%90%EC%9E%AC/%EA%B0%95%ED%99%94%EB%8F%84%EC%A4%91%EC%95%99%EA%B5%90%ED%9A%8C.html 하와이로 이주]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강화중앙교회 [[김우제(김이제) 목사]]는 하와이에서 [http://www.hawaiicumc.org/main/sub.html?pageCode=2 한인감리교회]를 세우는 데 앞장섰고 하와이 현지 한인들의 첫 예배를 이끌었다. 이 교회와 교민들은 이후 미주 독립운동의 주축 세력이자 든든한 배경세력이 된다. [http://contents.history.go.kr/front/nh/print.do?levelId=nh_044_0040_0010_0020_0020&whereStr= 고종의 하와이 이민 윤허], [[존스 (G.H.Jones, 趙元時) 목사]]의 이민 계획, 이민 실행에 참여한 인물들(홍승하, 김우제, [http://www.incheonin.com/2014/news/news_view.php?sq=25626&thread=003000000&m_no=3&sec= 안정수], [http://m.blog.daum.net/philook/15720404 윤병구], [http://www.i815.or.kr/data2/ganhaeung/thesis/2016/20160501.pdf 현순] 등)을 보면 하와이로의 이주가 단순한 노동계약형 이민이라기 보다는 항일운동기지 개척의 계획적 움직임으로 보인다. 
 +
 
 +
참고: [[강화잠두교회 항일운동지]]
 +
 
 +
=='''지식관계망'''==
 +
*강화중앙교회를 만든 인물들과 전도방향
 +
{{NetworkGraph | title=강화중앙교회.lst}}
 +
*강화중앙교회와 다른 교회와의 관계
 +
{{NetworkGraph | title=강화감리교.lst}}
 +
*강화중앙교회의 항일운동양상
 +
{{NetworkGraph | title=강화잠두교회항일운동지.lst}}
  
강화도 지역의 기독교는 감리교에 의해 시작되었다. 179개 교회 중에 120개가 감리교회다. 강화지역 기독교인 중에 감리교 소속이 77.6%나 된다.
+
=='''시각자료'''==
 +
<gallery mode=packed-hover heights=160px>
 +
File:강화잠두교회.jpg  | 잠두의숙
 +
File:강화잠두교회2.jpg | 강화잠두교회 1914년
 +
File:강화중앙교회초기인물들.jpg | 초기인물들
 +
File:조원시김우제.jpg | 김우제(김이제)
 +
File: 김우제4.jpg | 김우제(김이제)
 +
File:강화진위대장이동휘jpg.jpg | 강화진위대장이동휘(아래 가운데)
 +
File:더리미순교지jpg.jpg | 더리미순교지
  
1885년 4월 5일 부활주일에 언더우드와 함께 인천 제물포항에 도착한 아펜젤러는 한국 감리교회 선교를 개척한 미감리회 소속 선교사였다. 1893년 존스 선교사가 인천 책임자로 와서 독립계삭회가 구성되면서 선교확장의 열망이 강화지역으로 이어졌다. 당시 강화지역에 대한 감리교의 선교는 제물포교회(현 내리교회)를 중심으로 시작됐다. 존스 목사와 인천의 노병일, 김기범, 이명숙, 백헬렌 등 한국인 전도자들이 강화선교에 열성을 쏟았다. 강화도는 우리나라 수도로 가는 관문이며, 북쪽으로는 황해도 해주 방면, 남으로는 덕적도를 경유해 충청도 당진까지 이어지는 해상교통의 요충지였기 때문이었다. 강화의 복음화는 황해도 전도를 위한 전진기지 확보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했다.
+
</gallery>
 +
*세번째 사진의 초기인물들은 뒤줄 왼쪽부터 홍승하(제4대 담임), 권신일, 김경일, 복근채, 하춘택, 앞줄 왼쪽부터 박세창, 김기범, 데밍(C. S. Deming), 케이블(E. M. Cable), 손승용(제5대 담임), 이용주 등이다. [http://www.kmc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6176 1905년 10월 5일 제1회 제물포 지방회의 때 촬영]
 +
*네번째 사진에는 존스목사(중앙)와 김이제(두번째줄 왼쪽에서 세번째), 현순(두번째줄 왼쪽에서 두번째)의 모습이 보인다.
 +
*다섯번째 사진 왼쪽 맨끝에는 김이제 목사가 보인다. 하와이 현지 목회활동 사진이다.  
  
당시 한국 선교를 관리하고 있던 스크랜턴은 1892년 12월 21일에 본국으로 보낸 편지에서 존스가 이미 1892년 말에 강화전도여행을 시도한 것과 더불어 강화지역 선교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
[[파일:조원시김우제.jpg|200px]]
 +
[[file:조원시김우제.jpg|200px]]
  
“(제물포와) 이웃해 있는 섬인 강화에는 7만 명 주민이 있는데 우리에게 들어오라고 충동하고 있습니다. 강화를 얻게만 된다면 우리에겐 값진 보화가 될 것입니다. 사실 발판은 이미 얻어 놓았습니다.”
+
==='''영상'''===
 +
<html>
 +
<iframe width="700" height="394" src="https://www.youtube.com/embed/L9jftIhRB-Y?list=RDL9jftIhRB-Y"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html>
  
강화의 최초의 교회는 1893년 세워진 교항교회(현 강화교산교회)다. 양사면 시루미 마을 출신으로 제물포에서 주막을 운영하던 이승환이 존스 목사를 만나면서 복음이 들어오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존스는 이승환의 모친에게 선상에서 세례를 주고 인천에서 활동하던 전도인 이명숙과 전도부인 백헬렌을 시루미로 파송해 이승환의 집에서 예배를 드리기 시작했다. 그렇게 강화지역의 첫 신앙공동체가 탄생했다. 4~5명으로 시작한 예배는 불과 1년 만에 80명으로 부흥했다. 천민출신이 많은 시루미 마을에서 좀 떨어진 다리목에 살던 양반 김상임이 존스 목사로부터 세례를 받으면서 마을 전체가 개종했다. 김상임이 1894년 자기 집 앞마당에 예배당을 마련하자 시루미 마을교인들이 옮겨왔고 다리목(교항, 橋項)과 시루미(증산, 甑山)의 한자를 따서 교산교회라 이름 지었다.
+
==='''가상현실'''===
  
홍의교회는 교산교회 설립 3년 후인 1896년에 설립되었다. 이 마을 서당훈장이던 박능일이 교산교회의 김상임을 만나고 돌아와 자기 집에서 예배를 드리면서 시작되었다. 서당학생 20여 명, 종순일, 권신일과 함께 자기 집에서 홍의교회를 설립했다. 강화의 두 번째 교회가 탄생했다. 1900년에는 홍의교회에 출석하던 주선일, 박성일, 허진일, 김봉일 등 몇몇 교인이 강화읍 천교하(현 강화읍 신문리)에 초가집을 마련하고 첫 예배를 드림으로써 오늘날 강화중앙교회의 모체(잠두교회)가 되었다. 강화지역 복음 전파 8년 만인 1900년에 수도 강화읍에 드디어 교회가 세워졌다. 1892년 존스 목사가 입성하려다 실패했던 강화읍에 토착교인에 의하여 십자가가 세워졌고, 강화도 전 지역 복음화의 터전을 굳건히 다졌다. 강화복음화의 중심역할을 했으며 한국교회 발전에도 크게 기여하였다.
+
=='''참고'''==
 +
*한국기독교회사 [http://photohs.co.kr/xe/7265]
 +
*격월간문화비평지 플랫폼 [http://platform.ifac.or.kr/webzine/view.php?cat=&sq=72&page=1&Q=w_no&S=3&sort=]
 +
*국민일보 선정 아름다운 교회길 (5) 강화중앙교회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4262434]
 +
*강화도 감리교회의 발자취 양진교회 담임목사 최훈철 [http://www.bbggnews.com/news/2026]
 +
*개인블로그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4Tj4&articleno=13810592&categoryId=637238&regdt=20080206164413]
 +
*개인블로그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FjFX&articleno=6823319&categoryId=251091&regdt=20090308181649]
 +
*강화 중앙교회 디아스포라 [http://digerati.aks.ac.kr/dhlab/2019/101/%EC%B5%9C%EC%9B%90%EC%9E%AC/%EA%B0%95%ED%99%94%EB%8F%84%EC%A4%91%EC%95%99%EA%B5%90%ED%9A%8C.html]
 +
*스무 살 청년 마음속'애국애족의 횃불'타오르다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411968#08hF]
 +
*하루를 꽉 채운 그날 그 함성 “대한독립만세” [http://www.ganghwa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76649]
  
=='''관련 사이트'''==
+
*『강화중앙교회100년사』이은용
*한국기독교회사 http://photohs.co.kr/xe/7265
+
*격월간문화비평지 플랫폼 http://platform.ifac.or.kr/webzine/view.php?cat=&sq=72&page=1&Q=w_no&S=3&sort=
+
*국민일보 선정 아름다운 교회길 (5) 강화중앙교회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04262434
+
*강화도에 들어온 복음이 조선 팔도로! 온누리신문 http://news.onnuri.org/m/board/board_view.php Mode=I&BoardID=10&ViewType=T&page=1&BoardSeqNo=15052&pagesize=undefined&SortOrder=Asc&mnuBookNumber=0
+
*강화도 감리교회의 발자취 양진교회 담임목사 최훈철 http://www.bbggnews.com/news/2026 
+
*개인블로그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4Tj4&articleno=13810592&categoryId=637238&regdt=20080206164413
+
*개인블로그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FjFX&articleno=6823319&categoryId=251091&regdt=20090308181649
+
*강화디아스포라 http://digerati.aks.ac.kr/dhlab/2019/101/%EC%B5%9C%EC%9B%90%EC%9E%AC/%EA%B0%95%ED%99%94%EB%8F%84%EC%9D%98%20%EA%B5%90%ED%9A%8C%EB%93%A4.html
+
  
=='''참고문헌'''==
+
=='''기여'''==
『강화중앙교회100년사』이은용
+
  
=='''출처'''==
+
{|class="wikitable"
<references/>
+
|일자 || 역할|| 이름 || 전공
 +
|-
 +
| 2019년 6월 || 편집 및 정리 || [[최원재]] || 교육학
 +
|-
 +
|}
  
 
[[분류: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봄 답사 자료집]]
 
[[분류:한국학중앙연구원 2019 봄 답사 자료집]]

2020년 10월 8일 (목) 11:36 기준 최신판

Project Home



개관

한국어

강화도의 세번째 개신교(감리교) 교회다. 홍의교회에 출석하던 주선일, 박성일, 허진일, 김봉일 등 몇몇 교인이 강화읍 천교하(현 강화읍 신문리. 신문리 144번지, 초가 6칸 반)에 초가집을 마련하고 첫 예배를 드림으로써 오늘날 강화중앙교회의 모체(잠두교회)가 되었다.1900년 9월 1일의 일이었다. 강화지역 복음 전파 8년만에 수도 강화읍에 드디어 교회가 세워진 것이다. 다음해 4월 존스 (G.H.Jones, 趙元時) 목사의 협조로 기와집 25칸, 초가집 16칸을 구입하여 교회를 현 위치로 옮겼다. 이 교회는 설립 8개월 만에 강화에서 가장 넓고 큰 예배당을 마련하게 되었으며, 강화 선교의 구심점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1904년 월곶교회 개척을 시작으로 26개 교회를 직접 개척하거나 설립에 도움을 주었고, 잠두의숙을 지어 교육운동에 앞장섰으며 강화지역의 항일독립운동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하와이 이민에도 김우제(김이제) 목사를 비롯한 강화교회 출신들이 참여하여 하와이 현지에 한인감리교회를 세우고 미주지역 독립운동의 기반을 닦았다. 교회명은 1914년‘잠두교회(혹은 신문리교회)’에서‘강화읍교회’로 변경. 1975년 11월 ‘강화읍교회’에서 ‘강화중앙교회’로 변경되었다.

영어

It was the third Methodist church in Kanghwado. Seonil Joo, Seongil Park, Bongil Park and some others who went to Hongeui Church did the first service in a thatched house in Cheongyoha Kanghwaeup(currently Kanghwaeup Shinmoonri 144), which was the start of Jamdoo Church (today's Kanghwa Central Methodist Church) in September 1, 1900. It took eight years after missionary work had begun to build a church in Kanghwa town, the capital of Kanghwado. Next year April, Jamdoo church bought 25 rooms of tile-roofed house and 16 rooms of thatched house with pastor Jones's help and moved to the present location. Within eight months of establishment, this church could have the biggest chapel in Kanghwado and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area. It developed Wolgot Church in 1904 and helped 26 churches ever since. It also established Jamdooeuisook and led an educational movement, influencing Anti-Japan independence movements. Preacher Wooje Kim and others from Kanghwado churches joined in the Hawaii immigration group and built a local Methodist church for Koreans in Hawaii, which led to the base of independence movements in U.S. regions. Jamdoo Church (or Shinmoonri Church) was renamed to Kanhwaeup Church in 1914 and to Kanghwa Central Methodist Church in November 1975.

러시아어

Церковь Ганхва Чунганг - это третья протестантская церковь в провинции Ганхва. Некоторые члены Церкви, такие как Чо Сун, Сун Сын Ир, Су Ил Парк, Ким Бон Ил, которые посещали церковь в Хонге, предоставили дом для этой семьи в Ганхва Эупсон Гёхак (Ганхва-ып Щинмун-ри 144). Это было 1 сентября 1900 года. После 8 лет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Евангелия в районе Гангхва, церковь была окончательно построена в Гангхва-ойп. В апреле следующего года, в сотрудничестве с Дж. Х. Джонсом и Чжао Цзяньчжуном, он купил 25 плиток и 16 стульев и перенес церковь на свое нынешнее место. Через 8 месяцев после своего основания она стала самой большой церквью, самой большой часовней в Ганхва и центром миссионерства в Ганхва. В 1904 году способствовала основанию «Церкви Вольгот» и еще 26 церквей. Иммигрировавшие на Гаваи, такие как Ким Ю-Дже основали Корейскую методистскую церковь на Гавайях, заложив основы для движения за независимость в Северной и Южной Америке. В 1914 году название церкви изменилось с «Церковь Чжамду» на «Церковь Канхваып». В ноябре 1975 года название вновь изменено с «Церковь Канхваып» на «Церковь Ганхва Чунганг».

위치


해설

인물

1893년에 미감리회 존스 (G.H.Jones, 趙元時) 목사가 서사면 교항동(지금의 양사면 교산리)에 도착해 전도를 시작했다. 그는 1893년 가을, 제물포교인 이명숙(李明淑)을 전도인으로 삼아 강화도 담당자로 파송했다. 이명숙은 증산동 이승환의 자택에서 교인 4∼5명을 모아 예배를 시작했다. 오늘의 강화중앙교회는 홍의교회에 다니던 주선일과 그의 인척들, 박능일을 비롯하여 김봉일권신일, 윤정일, 정천일 등이 개척했다. 이들은 한결같이 이름자의 끝 자를 일자(一字)로 맺고 있다. 이는 '주 안에서 한 형제됨'을 다짐하는 뜻으로 본래 이름을 고쳐서 사용한 것으로, 소위 말하는 일자(一字) 돌림신앙의 장본인들이었다. 김경일, 복근채, 하춘택, 박세창, 김기범, 데밍(C. S. Deming, 도이명), 케이블(E. M. Cable), 이용주 등이 교회 개척 초기에 교회를 위해 힘썼고, 이후 홍승하, 김우제(김이제) 목사, 이동휘, 손승용, 유경근, 조봉암 등이 교회를 위해서 시무했다.

강화잠두교회

1901년 4월에 제물포지방 장로사인 존스 목사는 강화 선교가 보다 탄력을 받기 위해서는 강화 유수가 있는 중심으로 교회를 옮겨야 한다고 생각하고, 교회의 위치를 부내면(府內面) 홍문동(弘問洞) 잠두(蠶頭, 누에머리) 부락의 현재 위치로 이전했다. 기와집 25칸과 초가집 16칸을 206원에 사서 교회당으로 봉헌하고 교회 이름을 ‘강화읍잠두교회’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교육선교

1901년 5월 연회에서 박능일 전도사가 강화읍구역 담임자로 파송되어 1903년 3월 별세할 때까지 시무하며 강화 지역의 선교 거점교회로서의 기틀을 다졌다. 그는 부임 후 1901년 4월 1일 잠두교회 부설 잠두의숙(蠶頭義塾)을 설립하고, 숙장(塾長)으로 취임하여 강화에 신교육기관을 탄생시켰다. 강화잠두교회는 복음전도와 교육을 통한 민족운동에 진력했고, 잠두의숙은 1908년 12월 2일 에 정식 학교가 되면서 사립제일합일학교라 개칭되었다. 지금의 합일초등학교다. 그리고 이듬해인 1909년 4월 9일 잠두교회 내 여자소학교인 제일합일여학교가 설립되었다. 신교육의 기회가 없었던 강화 지역의 열악한 교육환경에서 교회를 다닌다는 것은 당시 여성들에게 커다란 문화적, 교육적 혜택이었다.

항일독립운동

강화중앙교회의 항일독립운동은 세 가지다.

첫째로 1905년 3월 3일 강화진위대장을 사임한 강화잠두교회 권사 이동휘(李東輝)1907년 군대가 해산되자, 7월 24일 강화로 내려와 강화읍내 연무당에서 기독교도인 김동수 권사, 김남수 형제, 허성경, 김광천, 김기약 등과 군중집회를 열고 격렬한 배일연설을 하였다. 7월 26일에는 연무당에서 대한자강회총회를 열고, 30일에는 전등사에서 김동수, 허성경 등 기독교도와 해산된 군인 400명을 모아 합성친목회라는 대규모 반일집회를 열었다. 이후 8월 9일 강화군민의 봉기가 일어나자 수원의 일본군은 8월 11일 강화에 도착하여 진압을 시작하였다. 갑곶진 전투에서 50여 명이 사살되는 등 의병측 피해가 속출하는 한편, 강화잠두교회가 반일운동의 준동지로 지목되어 일본군이 포위를 하였다. 그리고 일진회 회원들은 주모자 이동휘 등을 체포한다는 명목으로 전 강화진위대 대원이었던 김동수 권사 3형제를 유인하여 압송하는 중 선원면 더리미에서 살해하였다. 이곳이 더리미 순교지다.

둘째로 1919년 3월 18일 길직교회와 함께 강화만세운동을 주도하였다. 강화잠두교회의 김유의가 독립선언서를 비밀리에 배포하였고, 강화만세운동이 있은 후 조구원을 비롯한 강화잠두교회에 출석하는 조봉암과 청년교인 6명이 강화읍교회에서 비밀조직을 결성한 후 독립운동 격문을 부착하고, 자유민보 등 10여 종류의 유인물을 배포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읍내 상인들에게 철시를 종용하고, 경찰로 근무하는 한국인의 각성을 촉구하다 4월 20일 체포되었다. 이것이 예수교도8인조사건이다.

셋째, 강화도의 한인들이 하와이로 이주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강화중앙교회 김우제(김이제) 목사는 하와이에서 한인감리교회를 세우는 데 앞장섰고 하와이 현지 한인들의 첫 예배를 이끌었다. 이 교회와 교민들은 이후 미주 독립운동의 주축 세력이자 든든한 배경세력이 된다. 고종의 하와이 이민 윤허, 존스 (G.H.Jones, 趙元時) 목사의 이민 계획, 이민 실행에 참여한 인물들(홍승하, 김우제, 안정수, 윤병구, 현순 등)을 보면 하와이로의 이주가 단순한 노동계약형 이민이라기 보다는 항일운동기지 개척의 계획적 움직임으로 보인다.

참고: 강화잠두교회 항일운동지

지식관계망

  • 강화중앙교회를 만든 인물들과 전도방향

  • 강화중앙교회와 다른 교회와의 관계

  • 강화중앙교회의 항일운동양상


시각자료

  • 세번째 사진의 초기인물들은 뒤줄 왼쪽부터 홍승하(제4대 담임), 권신일, 김경일, 복근채, 하춘택, 앞줄 왼쪽부터 박세창, 김기범, 데밍(C. S. Deming), 케이블(E. M. Cable), 손승용(제5대 담임), 이용주 등이다. 1905년 10월 5일 제1회 제물포 지방회의 때 촬영
  • 네번째 사진에는 존스목사(중앙)와 김이제(두번째줄 왼쪽에서 세번째), 현순(두번째줄 왼쪽에서 두번째)의 모습이 보인다.
  • 다섯번째 사진 왼쪽 맨끝에는 김이제 목사가 보인다. 하와이 현지 목회활동 사진이다.

조원시김우제.jpg 조원시김우제.jpg

영상

가상현실

참고

  • 한국기독교회사 [1]
  • 격월간문화비평지 플랫폼 [2]
  • 국민일보 선정 아름다운 교회길 (5) 강화중앙교회 [3]
  • 강화도 감리교회의 발자취 양진교회 담임목사 최훈철 [4]
  • 개인블로그 [5]
  • 개인블로그 [6]
  • 강화 중앙교회 디아스포라 [7]
  • 스무 살 청년 마음속'애국애족의 횃불'타오르다 [8]
  • 하루를 꽉 채운 그날 그 함성 “대한독립만세” [9]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0]
  • 『강화중앙교회100년사』이은용

기여

일자 역할 이름 전공
2019년 6월 편집 및 정리 최원재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