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encevi424 (토론 | 기여) (→내용) |
|||
(2명의 사용자에 의한 6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사회학적 의미]]===== | =====[[사회학적 의미]]===== | ||
− | === | + | ===고대 중국인의 종교관=== |
+ | 중국의 고대사회는 다양한 민족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그 민족만큼이나 귀신 과 영혼에 대한 숭배 또한 다양했다. 그 당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대체 로 인간의 죽음 이후에 영혼이 없어지지 않는다는 점과 영혼이 인간의 능력을 넘어서는 초능력적인 존재로 보았다는 것 등, 이런 점을 바탕으로 한 영혼관은 당시 사회 생활에서 상례(喪禮)나 장례(葬禮) 또는 제사(祭祀) 등의 예배행위 를 통해 일종의 환상적인 세계를 첨가시켜 주었다는 점이다. | ||
=====[[영혼관]]===== | =====[[영혼관]]===== | ||
81번째 줄: | 82번째 줄: | ||
[[산신]] | [[산신]] | ||
− | + | [[우마왕]] | |
− | + | ||
− | + | ||
− | + | ||
+ | [[나찰녀]] | ||
+ | =='''도깨비와 관련된 중국의 지명이나 공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온톨로지/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 {{온톨로지/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 ||
123번째 줄: | 100번째 줄: | ||
*[[김동윤]] : 도깨비 종류 추가 | *[[김동윤]] : 도깨비 종류 추가 | ||
− | [[분류: 인문정보학입문2017]] [[분류: 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분류: 장지아, 호영침]] [[분류: 중국의 귀]] | + | [[분류: 인문정보학입문2017]] [[분류: 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분류: 장지아, 호영침]] [[분류: 김대영]] [[분류: 중국의 귀]] |
2017년 6월 21일 (수) 00:33 기준 최신판
목차
개요
중국에서는 도깨비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총체적으로 알아본다.
정의
요약
고대 중국은 범신론적 세계관에 의해 다양한 민족만큼이나 신이 많았으며 그 종류와 모양도 다양하였다. 그 다양한 귀신들을『周易』의 삼재사상에 의거 해서 분류하면, 하늘의 귀신을 천신(天神), 땅의 귀신을 지기(地祇) 혹은 지시 (地示), 사람 귀신을 인귀(人鬼)로 분류하였고 그 외에 요사스런 괴물이나 도깨비 등을 매(魅)라고 하였다.
내용
『주역(周易)』은 동양의 전통적인 세계관을 규정해 온 고전 중의 하나이다. 이 책은 天•地•人을 세계의 기본 구성요소 곧 삼재(三才)로 상정하여 도를 천도(天道)•지도(地道)•인도(人道)로 다루었다. 바꾸어 말하면, 천지(天地) 를 인간세의 일과 대비되고 또 깊이 연관된 것으로 파악하여 ‘우러러 천문을 관찰하고 굽어 지리를 살펴 죽음과 삶의 연고를 안다’고 하였다. 이를 미루어 볼 때, 천지의 이치 속에 인간사의 이치가 담겨 있다는 것이 주역의 세계관이자 동양의 전통적인 세계관이다.
1 ) 천신(天神)
2 ) 지기(地祇)
3 ) 인귀(人鬼)
4 ) 기타 귀신
중국인의 귀(鬼)에 대한 이해
철학적 이해
종교적 이해
사회학적 의미
고대 중국인의 종교관
중국의 고대사회는 다양한 민족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그 민족만큼이나 귀신 과 영혼에 대한 숭배 또한 다양했다. 그 당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대체 로 인간의 죽음 이후에 영혼이 없어지지 않는다는 점과 영혼이 인간의 능력을 넘어서는 초능력적인 존재로 보았다는 것 등, 이런 점을 바탕으로 한 영혼관은 당시 사회 생활에서 상례(喪禮)나 장례(葬禮) 또는 제사(祭祀) 등의 예배행위 를 통해 일종의 환상적인 세계를 첨가시켜 주었다는 점이다.
영혼관
귀신관
제사(祭祀)
이처럼 유가(儒家)사상에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귀신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그렇다면 유가(儒家)사상에서 다루는 귀신을 선진(先秦)유가의 귀신, 漢•唐代 유가의 귀신, 宋•明代 新儒學의 귀신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발생
선진(先秦)유가의 귀신
漢•唐代 유가의 귀신
宋•明代 新儒學의 귀신
귀신의 날’/성황묘(城隍廟)의 날’
종류
도깨비와 관련된 중국의 지명이나 공간
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Class
클래스 | 노드 |
---|---|
도깨비 | 갓파, 구미호, 한국의 도깨비, 오니, 땅거미, 덴구, 여우, 여와, 저승사자, 삼신할매, 염라대왕(2), 걸귀, 놋페라보, 구로보즈, 로쿠로쿠비, 야차 |
공간 | 중국의 귀, 일본의 요괴, 도노, 일본(2017), 도쿄,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교토 니조카와라, 오사카 코토나미 정, 도깨비 다리, 김공 선정지비, 김성수 생가, 교토, 안동하회마을, 삼매리, 곡성, 한국, 조선 |
작품 | 꼬비꼬비, 신과 함께(2017), 요괴, 별신마을각시,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천년여우여우비, 갓파쿠와여름방학, 곡성, 괴물, 이누야샤, 도깨비, 요괴인간벰, 전설의고향, 차우, 조롱박형제, 금방망이 은방망이 |
문헌 | 《서유기》,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 김서방 도깨비, 도노 모노가타리, 무지나, 신설백물어, 증여리물어, 유빈호치 신문, 쿠마노의 민화, 금석 이야기, 비형랑 설화, 하세오조시, 구미호 이야기, 삼국유사, 금강설화, 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
문콘 | 게임, 드라마, 영화, 웹툰, 애니영화, 애니시리즈 |
캐릭터 | 가오나시, 쿠, 여우비, 손오공, 퇴마사 |
시대 | 현대, 에도시대 |
Relation
기여
- 김대영 : 1차 수정
- 김동윤 : 도깨비 종류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