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중류)
 
(6명의 사용자에 의한 54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전설==
 
  
===귀신의 의미===
+
=='''개요'''==
 +
중국에서는 도깨비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총체적으로 알아본다.
  
====중국 고전(古典)에서의 귀신====
+
=='''정의'''==
  
『주역(周易)』은 동양의 전통적인 세계관을 규정해 온 고전 중의 하나이다. 이 책은 天•地•人을 세계의 기본 구성요소 곧 삼재(三才)로 상정하여 도를 천도(天道)•지도(地道)•인도(人道)로 다루었다.  바꾸어 말하면,  천지(天地) 를 인간세의 일과 대비되고 또 깊이 연관된 것으로 파악하여 ‘우러러 천문을 관찰하고 굽어 지리를 살펴 죽음과 삶의 연고를 안다’고 하였다. 이를 미루어 볼 때, 천지의 이치 속에 인간사의 이치가 담겨 있다는 것이 주역의 세계관이 자 동양의 전통적인 세계관이다.
+
===요약===
  
고대 중국은 범신론적 세계관에 의해 다양한 민족만큼이나 신이 많았으며 그 종류와 모양도 다양하였다.  그 다양한 귀신들을『周易』의 삼재사상에 의거 해서 분류하면, 하늘의 귀신을 천신(天神), 땅의 귀신을 지기(地祇) 혹은 지시 (地示), 사람 귀신을 인귀(人鬼)로 분류하였고 그 외에 요사스런 괴물이나 도 깨비 등을 매(魅)라고 하였다.158
+
고대 중국은 범신론적 세계관에 의해 다양한 민족만큼이나 신이 많았으며 그 종류와 모양도 다양하였다.  그 다양한 귀신들을『周易』의 삼재사상에 의거 해서 분류하면, 하늘의 귀신을 천신(天神), 땅의 귀신을 지기(地祇) 혹은 지시 (地示), 사람 귀신을 인귀(人鬼)로 분류하였고 그 외에 요사스런 괴물이나 도깨비 등을 매(魅)라고 하였다.
 +
 
 +
====내용====
 +
 
 +
『주역(周易)』은 동양의 전통적인 세계관을 규정해 온 고전 중의 하나이다. 이 책은 天•地•人을 세계의 기본 구성요소 곧 삼재(三才)로 상정하여 도를 천도(天道)•지도(地道)•인도(人道)로 다루었다.  바꾸어 말하면,  천지(天地) 를 인간세의 일과 대비되고 또 깊이 연관된 것으로 파악하여 ‘우러러 천문을 관찰하고 굽어 지리를 살펴 죽음과 삶의 연고를 안다’고 하였다. 이를 미루어 볼 때, 천지의 이치 속에 인간사의 이치가 담겨 있다는 것이 주역의 세계관이자 동양의 전통적인 세계관이다.
  
 
  [[1 ) 천신(天神)]]
 
  [[1 ) 천신(天神)]]
17번째 줄: 21번째 줄:
 
  [[4 ) 기타 귀신]]
 
  [[4 ) 기타 귀신]]
  
====2.유가(儒家)사상에서의 귀신====
+
===중국인의 귀()에 대한 이해===
  
 +
===== [[철학적 이해]]=====
  
 +
=====[[종교적 이해]]=====
  
=====[[선진(先秦)유가의 귀신]]=====
+
=====[[사회학적 의미]]=====
  
 +
===고대 중국인의 종교관===
 +
중국의 고대사회는 다양한 민족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그 민족만큼이나 귀신 과 영혼에 대한 숭배 또한 다양했다. 그 당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대체 로 인간의 죽음 이후에 영혼이 없어지지 않는다는 점과 영혼이 인간의 능력을 넘어서는 초능력적인 존재로 보았다는 것 등, 이런 점을 바탕으로 한 영혼관은 당시 사회 생활에서 상례(喪禮)나 장례(葬禮) 또는 제사(祭祀) 등의 예배행위 를 통해 일종의 환상적인 세계를 첨가시켜 주었다는 점이다.
  
=====[[漢•唐代 유가의 귀신]]=====
+
=====[[영혼관]]=====
  
 +
=====[[귀신관]]=====
  
=====[[宋•明代 新儒學의 귀신]]=====
+
=====[[제사(祭祀)]]=====
  
  
 +
이처럼 유가(儒家)사상에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귀신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그렇다면 유가(儒家)사상에서 다루는 귀신을 [[선진(先秦)유가의 귀신]], [[漢•唐代 유가의 귀신]], [[宋•明代 新儒學의 귀신]]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귀신의 날’/성황묘(城隍廟)의 날’]]
+
=='''발생'''==
  
==중류==
+
=====[[선진(先秦)유가의 귀신]]=====
  
  
  [[1 ) 강시(殭屍)]]
+
=====[[漢•唐代 유가의 귀신]]=====
이름의 뜻은 죽어서 굳은 시체. 여기서의 굳었다는 말은 사후강직 혹은 미라처럼 썩거나 부패하지 않고 굳었다는 의미이다. 또는 얼어죽은 시체도 강시[1] 또는 '동시(凍屍)'라고 부른다. 동시는 원령이 깃들여져 사람을 해치는 얼어죽은 시체를 말한다. 서양의 좀비와 많은 면에서 비슷한 존재.
+
  
강시라는 것은 원래 중국의 도교적 색채가 스며들어 탄생한 것으로, 전쟁터나 객지에서 죽은 시체들을 고향으로 옮겨다 묻어주기 위해 영환술사들이 부적을 붙여 움직일 수 있게 만들어 놓은 시체이다. 강시술은 영환술사들이 사망자들을 고향에 전해주기 위해 만들어진 술법이다. 일일히 돌려줘야 한다는 걸 생각하면 무료봉사 중 무료봉사.
 
  
강시가 손을 들고있는 이유는 보통 관절이 굳었기 때문이라고 하지만, 도사들이 보통 사람들이 진짜 사람과 강시를 헷갈릴까봐 손을 올려 표시를 한 것이다(다리를 굽히지 않고 뛰어다니는 것도 이것과 같은 맥락).
+
=====[[宋•明代 新儒學의 귀신]]=====
  
'''2 ) 산호'''
 
산에서 사는 여우귀신으로, 밤에 다니는 나그네에게 여인의 목소리나 아기의 울음소리를 내어 꾀어내어 잡아먹는다는군요. 이 귀신은 머리가 아홉개, 꼬리도 아홉개라고 합니다.
 
  
'''3 ) 산퇴'''
 
산에서 사는 도깨비로, 사람의 다리모양으로 생겼고, 하나의 커다란 눈과 들창코, 옆으로 쭉찢어진 입을 가진, 무섭게 생겼지만 마음은 착해요. 장난치길 좋아해서 여자인 녀석은 나그네에게서 여자의 분같은 화장품이나 장신구를 뺏었고, 남자인 경우에는 먹을 것이나 술,칼,방패같은 무기같은 것을 뺏어간다고 합니다.
 
  
'''4 ) 우사첩(雨師妾)'''
+
  [[귀신의 날’/성황묘(城隍廟)의 날’]]
인간과 신의 중간에 속하는 뱀을 정복했던 괴인들 온 몸이 검은색이고 두 손에는 뱀을 한 마리씩 들고 있고 왼쪽 귀에는 푸른 뱀을 걸고 오른쪽귀에는 붉은 뱀을 걸고 있다.
+
  
'''5 )육어(肉魚)'''
+
=='''종류'''==
소 머리, 뱀 꼬리에 날개가 있는 물고기. 소리는 얼룩소와 비슷하다. 겨울이면 동면하고 먹으면 부스럼병이 없다고 한다.
+
  
'''6 )응룡(應龍)'''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황제에 직속되어 있는 용. 몸통에 한 쌍의 날개가 달려있고 세 개의 발가락이 있다. 흉리토구산의 남쪽에 살았다고 전해지며 물을 모아 비를 내리게 한다.
 
  
  '''7 )이력'''
+
[[강시]]  
돼지모양에 며느리발톱이 있는 짐승. 개짖는 소리는 낸다. 이 동물이 사람눈에 뜨이면 토목공사가 많아진다고 한다.
+
  
'''8 )이매'''
+
[[여와]]
사람의 얼굴에 동물의 몸을 하고 있으며 네 개의 다리를 갖고 있는 요괴.
+
  
 +
[[손오공]]
  
''' 9) 기'''
+
[[우사첩]]  
소처럼 갱겼으며 몸이 푸르고 다리가 하나인 전설 속의 괴물. <산해경>의 기록에 따르며 기는 동해 7000리 안쪽에 있는 유파산에 살았다고 전해지는데 기가 물 밖으로 나오면 반드시 비바람이 몰아친다고 하며 울음소리가 마치 우레처럼 크다고 한다.
+
 
+
''' 10) 구영(九嬰)'''
+
중국 신화에 등장하는 머리가 아홉 개 달린 괴물. 흉수라는 강에 살며 입에서 불을 뿜어서 화재를 일으키거나 물을 뿜어 홍수를일으켜 사람들을 고통에 빠트렸다고한다.
+
 
+
''' 11) 고획조'''
+
인간의 아이를 채가는 습성이 있는 새 요괴. 주구 호북, 호남성에서 자주 발견되었으며 보통 새의 모습을 하고있지만, 날개를 벗으면 인간 여자가 된다. 아이가 없는 고획조는 인간이 되었을 때는 아이를 훔쳐 자기 아이를 삼는다고 전해진다.
+
 
+
''' 12) 인어(人魚)'''
+
한족 신화에 전해져 내려오는 상반신은 사람의 형태를 하고 하반신은 물고기인 요괴. 간보의<수신기>에 따르면 남해레 살던 교초라는 인어들이 흘린 눈물은 진주로 변한다는 전설이 있다.
+
 
+
==요괴 지도(공간)==
+
 
+
 
+
 
+
 
+
==사람들이 귀신 대한 생각==
+
 
+
 
+
===[[귀신 대한 생각]]===
+
 
+
 
+
==== [[철학적 이해]]====
+
 
+
====[[종교적 이해]]====
+
 
+
====[[사회학적 의미]]====
+
 
+
===[[고대 중국인의 종교관]]===
+
 
+
 
+
====[[영혼관]]====
+
 
+
====[[귀신관]]====
+
 
+
====[[제사(祭祀)]]====
+
  
 +
[[응룡]]
  
 +
[[치우]]
  
 +
[[도철]]
  
 +
[[도올]]
  
 +
[[기]] 
  
 +
[[고획조]]
  
 +
[[인어]]
  
 +
[[산신]]
  
 +
[[우마왕]]
  
 +
[[나찰녀]]
  
 +
=='''도깨비와 관련된 중국의 지명이나 공간'''==
  
  
  
 
-------------------------------------------------------------
 
-------------------------------------------------------------
출서:
+
{{온톨로지/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
203 앞에서 언급한 대로 묵자는 하늘과 귀신을 같은 의미로 사용한다. 앞의 163쪽 참 조.
+
 
+
204『墨子』「天志(上)」;  我爲天之所欲 ,  天亦爲我所欲.  그리고「天志(中)」;  有所不爲天 之所欲 , ft爲天之所不欲 , 則夫天亦且不爲人之所欲 , ft爲人之所不欲矣. 참조.
+
 
+
205『墨子』「明鬼(下)」;  嘗若鬼神之能賞賢與罰暴也 ,  蓋本施之國家 ,  施之萬民 ,  實所以 治
+
國家利萬民之道也.
+
 
+
206『墨子』; 今若使天下之人 , 偕若信鬼神之能尙賢ft罰暴也 , 則夫天下豈能亂哉
+
 
+
207『墨子』;  鬼神之罰,  不可爲富貴衆强勇力强武堅甲利兵.    鬼神之罰必勝之.
+
  
208『墨子』「天志(下)」; 今人皆處天下ftft事天. 得罪於天 , 將無所以避逃之者矣.
+
=='''기여'''==
 +
*[[장지아]], [[호영침]] : 최초 작성
  
209『墨子』; 天子有善 , 天能賞之. 天子有過 天能罰之.
+
*[[김대영]] : 1차 수정
  
210 『墨子』「天志(上)」;  此必上利於天 ,  中利於鬼 ,  下利於人.  三利無所不利 ,  故擧天下 美名加之 , 謂之聖王.
+
*[[김동윤]] : 도깨비 종류 추가
+
211『墨子』; 我有天志 , 譬若輪人志有規 , 匠人之有矩.
+
  
212 『墨子』「法儀」;  今大者治天下, 其次治大國 ,  ft無法所度 ,  此不若百工辯也 ,  然則奚 以爲治法ft可 , 當皆法其父母奚若. 天下之爲父母者衆 , ft仁者寡 , 若皆法其父母 , 此 法不仁也. 法不仁不可以爲法. 當皆法其學奚若. (…) 故父母學君三者, 莫可以爲治法. 然則奚以爲治法ft可 , 故曰莫若法天.
+
[[분류: 인문정보학입문2017]] [[분류: 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분류: 장지아, 호영침]] [[분류: 김대영]] [[분류: 중국의 귀]]

2017년 6월 21일 (수) 00:33 기준 최신판

개요

중국에서는 도깨비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총체적으로 알아본다.

정의

요약

고대 중국은 범신론적 세계관에 의해 다양한 민족만큼이나 신이 많았으며 그 종류와 모양도 다양하였다. 그 다양한 귀신들을『周易』의 삼재사상에 의거 해서 분류하면, 하늘의 귀신을 천신(天神), 땅의 귀신을 지기(地祇) 혹은 지시 (地示), 사람 귀신을 인귀(人鬼)로 분류하였고 그 외에 요사스런 괴물이나 도깨비 등을 매(魅)라고 하였다.

내용

『주역(周易)』은 동양의 전통적인 세계관을 규정해 온 고전 중의 하나이다. 이 책은 天•地•人을 세계의 기본 구성요소 곧 삼재(三才)로 상정하여 도를 천도(天道)•지도(地道)•인도(人道)로 다루었다. 바꾸어 말하면, 천지(天地) 를 인간세의 일과 대비되고 또 깊이 연관된 것으로 파악하여 ‘우러러 천문을 관찰하고 굽어 지리를 살펴 죽음과 삶의 연고를 안다’고 하였다. 이를 미루어 볼 때, 천지의 이치 속에 인간사의 이치가 담겨 있다는 것이 주역의 세계관이자 동양의 전통적인 세계관이다.

1 ) 천신(天神)
2 ) 지기(地祇)
3 ) 인귀(人鬼)
4 ) 기타 귀신

중국인의 귀(鬼)에 대한 이해

철학적 이해
종교적 이해
사회학적 의미

고대 중국인의 종교관

중국의 고대사회는 다양한 민족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그 민족만큼이나 귀신 과 영혼에 대한 숭배 또한 다양했다. 그 당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대체 로 인간의 죽음 이후에 영혼이 없어지지 않는다는 점과 영혼이 인간의 능력을 넘어서는 초능력적인 존재로 보았다는 것 등, 이런 점을 바탕으로 한 영혼관은 당시 사회 생활에서 상례(喪禮)나 장례(葬禮) 또는 제사(祭祀) 등의 예배행위 를 통해 일종의 환상적인 세계를 첨가시켜 주었다는 점이다.

영혼관
귀신관
제사(祭祀)

이처럼 유가(儒家)사상에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귀신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다. 그렇다면 유가(儒家)사상에서 다루는 귀신을 선진(先秦)유가의 귀신, 漢•唐代 유가의 귀신, 宋•明代 新儒學의 귀신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겠다.

발생

선진(先秦)유가의 귀신
漢•唐代 유가의 귀신
宋•明代 新儒學의 귀신
 귀신의 날’/성황묘(城隍廟)의 날’

종류

강시

여와

손오공

우사첩

응룡

치우

도철

도올

고획조

인어

산신

우마왕

나찰녀

도깨비와 관련된 중국의 지명이나 공간


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Class

클래스 노드
도깨비 갓파, 구미호, 한국의 도깨비, 오니, 땅거미, 덴구, 여우, 여와, 저승사자, 삼신할매, 염라대왕(2), 걸귀, 놋페라보, 구로보즈, 로쿠로쿠비, 야차
공간 중국의 귀, 일본의 요괴, 도노, 일본(2017), 도쿄,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교토 니조카와라, 오사카 코토나미 정, 도깨비 다리, 김공 선정지비, 김성수 생가, 교토, 안동하회마을, 삼매리, 곡성, 한국, 조선
작품 꼬비꼬비, 신과 함께(2017), 요괴, 별신마을각시,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천년여우여우비, 갓파쿠와여름방학, 곡성, 괴물, 이누야샤, 도깨비, 요괴인간벰, 전설의고향, 차우, 조롱박형제, 금방망이 은방망이
문헌 《서유기》,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 김서방 도깨비, 도노 모노가타리, 무지나, 신설백물어, 증여리물어, 유빈호치 신문, 쿠마노의 민화, 금석 이야기, 비형랑 설화, 하세오조시, 구미호 이야기, 삼국유사, 금강설화, 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문콘 게임, 드라마, 영화, 웹툰, 애니영화, 애니시리즈
캐릭터 가오나시, 쿠, 여우비, 손오공, 퇴마사
시대 현대, 에도시대

Relation

관계어 노드
은 -의 등장인물이다 가오나시 →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쿠 → 갓파쿠와여름방학, 여우비 → 천년여우여우비
은 -의 캐릭터다 가오나시 → 오니, 가오나시 → 땅거미, 가오나시 -> 놋페라보, 쿠 → 갓파, 여우비 → 구미호, 손오공《서유기》
은 -지역의 요괴이다 갓파도노, 덴구일본(2017), 여우 →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구로보즈 → 도쿄, 우마왕중국, 나찰녀중국,
는 -를 만들었다. 여와인간
는 - 관련 설화이다.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한국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한국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한국의 도깨비, 구미호한국의 도깨비,도노 모노가타리덴구 , 도노 모노가타리여우, 도노 모노가타리갓파 , 금석 이야기오니 , 비형랑설화도깨비, 신과 함께(2017)한국의 도깨비,금방망이 은방망이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금석 이야기 → 헤이안 시대,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꼬비꼬비
는 -와 관련된 공간이다. 도깨비 다리한국의 도깨비, 김공 선정지비한국의 도깨비, 김성수 생가한국의 도깨비,

교토금석 이야기 , 교토하세오조시, 안동하회마을 → 별신마을각시,곡성곡성, 한강둔치 → 괴물, 삼매리 → 차우, 한국도깨비,한국곡성, 한국괴물, 한국차우,금석 이야기교토, 금강설화일본, 덴구일본

는 -에 등장한다. 오니하세오조시. 일본의 요괴하세오조시, 저승사자신과 함께(2017),저승사자요괴. 구미호전설의고향, 삼신할매전설의고향 ,염라대왕(2)전설의고향 , 걸귀전설의고향,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땅거미에도시대, 오니에도시대, 여우에도시대, 오니금강설화, 갓파현대, 입이찢어진여자현대, 도깨비꼬비꼬비
는 -에 속한다. 구미호여우, 여우일본의 요괴, 덴구일본의 요괴, 구미호 이야기삼국유사, 구미호일본의 요괴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방이설화, 도깨비드라마, 요괴인간벰드라마, 전설의고향드라마, 신의 이미지가 부여된 뱀, 인간에게 해를 주는 뱀, 인간의 배우자로서의 뱀, 덴구 다오시덴구, 덴구 와라이덴구,덴구 쓰부테덴구, 덴구 유스리덴구, 덴구 다이코덴구, 덴구 가쿠시덴구, 덴구 마쓰덴구, 덴구 노히덴구, 입이찢어진여자야마우바, 입이찢어진여자일본의 요괴, 유키 온나일본의 요괴
은 -를 소재로 했다 곡성오니, 곡성덴구, 괴물오니, 괴물갓파, 차우오니, 차우덴구, 천년여우여우비여우,천년여우여우비구미호,꼬비꼬비한국의 도깨비,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오니,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땅거미,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놋페라보,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구로보즈,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야마우바,금석 이야기일본의 요괴, 요괴인간벰오니, 도노 모노가타리일본의 요괴, 이누야샤일본의 요괴, 이누야샤야차, 조롱박형제요괴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