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누야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프로그램 정보)
 
(3명의 사용자에 의한 8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
{{작품 정보
 +
|사진 = 이누야샤2.jpg|200픽셀
 +
|작품명 = 이누야샤
 +
|장르 = TV 시리즈 애니메이션
 +
|방영기간 = 2000년~2004년
 +
|제작자 = 이케다 마사시, 아오키 야스나오
 +
|원작자 = 다카하시 루미코
 +
|제작처 = 선라이즈}}
  
==프로그램 정보==
+
==개요==
  
[[파일:이누야샤.jpg]]
+
[이누야샤 犬夜叉]는 1990~2000년대 대표적인 판타지 만화다. 기상천외한 요괴들이 총출동하는 가운데 신나는 액션, 유쾌한 웃음, 그리고 우정과 사랑이 균형감 있게 배합돼 있다. 작가 다카하시 루미코가 한국어판 서문에 밝힌 것처럼 “가슴 두근거리고, 때로는 울고, 때로는 웃으며” 즐길 수 있는 작품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580373&cid=59065&categoryId=59072]</ref>
  
 +
==줄거리==
  
*다카하시 루미코의 원작'이누야샤'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애니메이션.
+
신사에서 살고 있는 15살 소녀 카고메는 고양이를 찾다가 사당 안 오래된 우물에 빠진다. 그 속에서 요괴의 습격을 받고 가까스로 우물 밖으로 나오는데 세상은 전국시대로 바뀐다. 그녀의 눈에 띈 것은 나무 화살에 박혀 잠들어 있는 이누야샤. 우물 속 요괴에게 다시 공격을 받은 카고메는 잠에서 깬 이누야샤의 화살을 뽑아 그의 봉인을 푼다. 카고메는 자신에게 사혼의 구슬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전국 시대의 무녀였던 키쿄우가 죽을 때 사혼의 구슬을 자신과 함께 화장해 달라고 하고 죽은 뒤 카고메가 키쿄우의 환생으로 다시 태어난 것. 카고메의 등장으로 전국 시대에는 사혼의 구슬이 다시 등장하게 된다. 그러나 요괴들과의 전투 중 사혼의 구슬은 카고메의 화살을 맞아 온 세상에 조각조각 흩어지게 된다. 엄청난 요력을 얻을 수 있는 사혼의 구슬을 둘러 싸고 여러 요괴들과 전투를 벌이고 모험을 떠나면서 카고메와 이누야샤는 동료들을 만나게 된다.  
* 이누야샤 TV판은 193화로 이누야샤 애니메이션판의 줄거리가 코믹스의 줄거리를 거의 따라잡으며 2004년에 임시 종결되었으나, 2008년에 약 12년의 연재 끝에 코믹스가 완결나면서, 이를 바탕으로 2009년 10월 3일부터 "이누야샤 완결편"이라는 타이틀로 니혼 TV, 요미우리 TV를 비롯한 방송국에서 168화부터 다시 제작, 방영을 시작하였다가 2010년 3월 30일종결지었다.
+
  
* 이누야샤 본편은 7개의 OP곡과 9개의 ED곡이 있으며, 한국에서는 [[애니원]], [[챔프TV]], [[투니버스]] 등에서 6기 167화로 나누어 애니원이 개국한 2002년부터 2006년까지 본방송 되었으며, 이후로는 재차 재방송되고 있다. 또한 방송 초기(1기)에는 대원방송 계열의 채널로서는 이례적으로 오프닝과 엔딩의 주제가를 자체 제작하였으며, 2기~6기의 주제가는 모두 SM 엔터테인먼트 소속의 가수들이 주제가에 참여하였다. 완결편(7기)은 [[애니원]], [[챔프TV]], [[애니박스]]등에서 방송 되고 있으며, 소속 성우에게 주제가를 참여 시켰다. 그리고 완결편은 2010년 3월 8일경 애니 박스에서 첫방했으며 5월 11일까지 본방송 했으며, 이후로는 애니원과 챔프 TV에서 수시로 재차 재방송되고 있다.
 
* 이누야샤 극장판 시리즈로는 1기 시대를 초월한 마음, 2기 거울 속의 몽환성, 3기 천하패도의 검, 4기 홍련의 봉래도 등 총 4개가 있으며, 이 역시 한국에서 모두 한국어로 더빙되어 방송되었다. 한국어 더빙판 한정으로 특이한 점으로는 성우진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프로듀서의 캐스팅이 아닌 인터넷 투표를 통한 방식으로 캐스팅이 구성되었으며, 때문에 성우진이 대부분 인지도가 높은 중견급 성우들로 이루어지게 되었다.
 
* 이누야샤의 모든 시리즈는 [[투니버스]]에서 독점으로 판권을 소유하고 있다.
 
  
==줄거리==
+
==등장 인물==
  
히구라시 신사의 장녀 카고메(한국 : 유가영)는 중학교 3학년으로 평범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 하지만, 그녀의 15번째 생일날. 사당 안에 있는 우물에서 나타난 지네요괴에게 붙잡혀 우물 안을 통해 시공을 초월하여 약 500년 전 전국시대로 오게 되고, 신성한 나무에 봉인되어 잠들어 있는 반요 이누야샤를 만나게 된다. 자신이 떨어진 우물 근처에는 이누야샤를 봉인한 키쿄우(한국 : 금강)라는 죽은 무녀의 동생 카에데(한국 : 금사매)가 살고 있었는데, 카에데는 카고메를 보고 자신의 언니 키쿄우의 환생일 것이라고 예상한다.
+
[[파일:이누야샤 등장인물.jpg|200픽셀]]
  
그 날 저녁, 우물 속에서 봤던 지네요괴가 다시 마을을 습격해서 카고메는 지네요괴를 유인하기 위해 이누야샤가 있던 숲으로 도망을 가고, 지네요괴에게 공격받는 순간 그녀 속에 잠재되어 있는 무녀 키쿄우의 힘으로 이누야샤의 봉인을 풀어 위기를 면한다. 또한 사혼의 구슬이 자신의 몸속에 있어, 자신이 구슬을 빼앗으려 하는 요괴들의 표적이 되고 있음을 알게 된다.
+
* 이누야샤 : 요괴와 인간 사이에 태어난 반요. 체력이 강하고 맷집도 좋다. 초하루 때에는 인간이 되고, 철쇄아와 떨어진 채 위기에 처하면 흉폭한 요괴가 된다. 말투는 험악하고 성격은 급하지만, 요괴가 가질 수 없는 따뜻한 마음씨를 지니고 있다.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 우물이 있는 곳으로 가던 도중 또 다른 요괴인 송장 까마귀의 습격을 받아 결국 사혼의 구슬을 빼앗기게 된 카고메는 날아가는 요괴를 겨냥하여 화살을 당겨보지만, 요괴의 발을 단 화살이 구슬을 한 번에 맞추는 바람에 사혼의 구슬은 공중에서 산산조각으로 깨어진 채 사방으로 흩어진다. 사혼의 구슬 조각이 악한 요괴의 손에 들어가 세상이 어지러워 질 것을 염려한 이누야샤와 카고메는 흩어진 사혼의 구슬 조각을 모으기 위해 머나먼 여정 길에 오른다. 추후 산고(요괴퇴치사), 미로쿠(법사), 싯포(여우요괴), 키라라(요괴)등등 여행에 동참하게 된다. 500년이란 시간을 뛰넘은 타임슬립 전국시대 이야기.
+
[[파일: 가영이.jpg|200픽셀]]
  
 +
* 유가영 : 신사에 살고 있는 중학생이면서 금강이 환생한 무녀이다. 신사에 있는 우물에서 지네요괴에게 휘말려 전국시대로 오게 된다. 활솜씨는 별로 좋지 않지만 정화 능력은 가지고 있다. "앉아!"라는 말로 이누야샤를 통제할 수 있다.
  
==등장인물==
+
[[파일: 금강.jpg|200픽셀]]
*;이누야샤
+
주인공. 반은 인간이고 반은 요괴이다. 철쇄아라는 무기를 갖고 싸우며 요괴를 퇴치한다. 가끔 보름이 될 때 검은 머리인 인간의 모습을 한다. 처음으로 사랑한 인간인 금강과 가영이 사이에서 헷갈려한다. 사혼의 구슬을 모으기 위해 요괴들을 물리친다.
+
  
*;유가영
+
* 금강 : 퇴치사들에게 부탁받은 사혼의 구슬을 지키고 정화하던 무녀. 비열한 나락의 음모로 인해 이누야샤를 봉인하고 죽었다. 후에 우라스에의 주술에 의해 불완전하게 부활했고 사혼충이 가져오는 죽은 여자들의 영혼으로 힘들게 삶을 연명했으나 나락의 독기로 인해 다시 죽는다.
여자주인공. 집에 있던 우물을 타고 현대에서 과거로 뛰어넘는다. 활을 사용해 싸운다. 금강의 환생이며 무녀의 기질을 갖고있다. 이누야샤를 좋아한다.
+
*;미륵
+
이누야샤 일행인 법사. 풍혈이라는 기술을 쓰며 손의 구멍으로 모든 것을 빨아들인다. 산고와 러브라인이 있다.
+
*;산고
+
동생을 구하려고 모험을 하는 용감한 여전사이다. 키라라라는 요괴를 데리고 다니며 매우 큰 부메랑을 무기로 사용한다.
+
*;셋쇼마루
+
이누야샤의 형이며 완전한 요괴이다. 천생아를 무기로 사용하며 자신의 무기를 맘에 안들어한다. 인간을 싫어했는데 링이라는 인간을 좋아하게 된다.
+
*;나락
+
모든 일의 원흉. 금강을 사랑했었지만 잘못된 마음으로 인해 타락하게 됨.
+
*;금강
+
이누야샤의 첫사랑이었지만 나락의 계락으로 인해 이누야샤와 오해를 빚게 된다. 사혼의 구슬을 품고 죽어버린다.
+
*싯포
+
*키라라
+
*링
+
  
==성우진==
+
[[파일: 미륵.jpg|200픽셀]]
  
*[[강수진]] (이누야샤)
+
* 미륵 : 법력은 뛰어나나 여자를 매우 밝히는 법사이다. 만나는 여자마다 손을 잡고 "제 아이를 낳아 주시겠습니까?"라고 하는 버릇이 있으며 사기꾼 기질도 있다.
*[[정미숙]] (유가영)
+
*[[구자형]] (미륵)
+
*[[우정신]] (산고)
+
*[[이선호]] (싯포)
+
*[[김승준]] (셋쇼마루)
+
*홍시호 (나락)
+
  
==주제곡==
+
[[파일: 산고.jpg|200픽셀]]
  
* 새로운 세상 (1기 오프닝)
+
* 산고 : 나락의 음모에 의해 전부 죽임을 당한 요괴 퇴치사일행 중에서 유일하게 생존했다. 나락의 음모로 이누야샤를 마을 사람들을 죽인 원수로 오해했지만, 오해를 풀고 나락에게 잡힌 동생 코하쿠를 구하기 위해 함께 여행한다. 부끄러움을 잘탄다.
 작사: 김주희 / 작곡: 알렉스/노래: 김승준, 방대식, TULA
+
  
*You & I (1기 엔딩)
+
[[파일: 셋쇼마루.jpg|200픽셀]]
 작사: 김주희 / 작곡: 알렉스 / 노래: 김문선, 정여진
+
  
*I Pray 4 U (2기 오프닝)
+
* 셋쇼마루 : 이누야샤의 이복형. 이누야샤와는 달리 완전한 요괴이며, 매우 강하고 자신감이 강하다. 거의 웃지 않으며 냉정하고 이성을 잃지 않는다. 링, 쟈켄과 함께 여행한다. 링을 통해 인간에 대한 마음을 열어가며 인간적인 모습을 얻어 간다. 한 번 휘둘러 100명을 살릴 수 있는 천생아를 가지고 있다.
 작사: Young H Kim / 작곡: Youg H Kim, William Pyon / 노래: [[신화]](S.M. Entertainment)
+
  
*Every Heart (2기 엔딩)
 
 작사: 와타나베 나츠미 / 개사: 신지원 / 작곡: BOUNCEBACK / 노래: BoA([[보아]])(S.M. Entertainment)
 
  
*I am (3기 오프닝, 엔딩)
+
==작품 속 도깨비==
 작사: hitomi / 개사: YHE / 작곡: 키타노 마사토 / 노래: 수영(S.M. Entertainment)
+
  
*Grip! (4기 오프닝, 엔딩)
+
* [[야차]]
 작사: 모치다 카오리 / 개사: 진현주 / 작곡: 하라 카즈히로 / 노래: 서현진(S.M. Entertainment)
+
  
*장난스런 키스 (5기 오프닝, 엔딩)
+
야차는 초자연적인 힘을 갖고 있는 귀신이며 불법을 수호한다. 인도 신화 시대에는 북방 산악 지대에 사는 사람을 잡아먹는 포악한 귀신이었지만, 불교에 들어와서는 8부 중의 하나가 되어 나찰 등과 함께 북방 비사문천의 권속이 되었다. 보통 사자, 코끼리, 호랑이, 사슴, 말, 소, 낙타 등의 동물의 모습을 한다.
 작사: 코다 미소노 / 개사: 진현주 / 작곡: 키타노 마사토 / 노래: [[천상지희]]
+
  
*ANGELUS (6기 오프닝, 엔딩)
+
*[[유키 온나]]
 작사: BOUNCEBACK / 개사: 진현주 / 작곡: BULGE / 노래: ISAK(S.M. Entertainment)
+
 +
유키 온나는 키가 크고 긴 머리의 아름다운 여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 그녀의 피부는 매우 창백하고 심지어 투명하기 까지해 눈보라 치는 풍경이 비쳐보이기도 한다고 한다. 그녀는 눈 위를 떠다녀서 발자국을 남기지 않거나 다리가 없다. 유키 온나는 여행자들이 길을 잃도록 유도하거나 아이를 데려간다. 또는 숨결을 불어넣어 사람들을 얼어 죽인다. 이누야샤에서는 유키 온나가 미륵으로 분장하여 일행들에게 다가온다.
  
*네가 없는 미래 (완결편 오프닝)[9]
+
==노드관계표==
 작사: 모리즈키 캬스, 반 토미코, 이노우에 카노 / 개사: 미상 / 작곡: 오오니시 카츠미 / 노래: 이재현 (대원방송 성우)
+
  
*Diamond (완결편 엔딩)
+
{|class="wikitable"
 작사: 후지바야시 쇼코 / 개사: 미상 / 작곡: 키쿠치 카즈히토 / 노래: 이재현 (대원방송 성우)
+
!노드!!관계!!노드
 +
|-
 +
|이누야샤||는 -에서 만들었다.||[[선라이즈]]
 +
|-
 +
|이누야샤||는 -를 다루었다.||[[일본의 요괴]]
 +
|-
 +
|요괴||는 -로 나타난다.||[[캐릭터]]
 +
|-
 +
|이누야샤||는 -를 다루었다.||[[야차]]
 +
|-
 +
|이누야샤||는 -이다.||[[애니시리즈]]
 +
|-
 +
|}
  
;극장판 크레딧 주제가
+
==각주==
 +
<references/>
  
*"사랑을 모르다" (시대를 초월한 마음)
+
==기여==
 작사: 이윤재 / 작곡: 이윤재 / 편곡: 송광식 / 노래: Fly to the Sky
+
  
*"공중정원" (거울 속의 몽환성)
+
*[[김희정]]: 원본 최초 작성 및 수정
 작사: Kenzie / 작곡: Kenzie / 편곡: Kenzie / 노래: 보아
+
  
*"오늘만은" (천하패도의 검)
+
{{온톨로지/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작사: Kenzie / 작곡: Kenzie / 편곡: Kenzie / 노래: [[슈퍼주니어]]
+
  
*"Heaven" (홍련의 봉래도)
+
[[분류: 인문학정보입문2017]] [[분류: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분류: 김희정]]
 작사: 권윤정 / 작곡: 홍석 / 노래: 장리인
+
 
+
==기여==
+
*[[정혜인]] 처음 작성
+
*[[김은영]] 맨 위 사진 첨부
+
*[[이유진]] 내용 수정
+
+
[[분류:정혜인]]
+
[[분류:김은영]]
+
[[분류:이유진]]
+
[[분류:추억의 애니메이션]]
+
[[분류:나의 인문학 KU 2016]]
+

2017년 6월 20일 (화) 22:11 기준 최신판


개요

[이누야샤 犬夜叉]는 1990~2000년대 대표적인 판타지 만화다. 기상천외한 요괴들이 총출동하는 가운데 신나는 액션, 유쾌한 웃음, 그리고 우정과 사랑이 균형감 있게 배합돼 있다. 작가 다카하시 루미코가 한국어판 서문에 밝힌 것처럼 “가슴 두근거리고, 때로는 울고, 때로는 웃으며” 즐길 수 있는 작품이다.[1]

줄거리

신사에서 살고 있는 15살 소녀 카고메는 고양이를 찾다가 사당 안 오래된 우물에 빠진다. 그 속에서 요괴의 습격을 받고 가까스로 우물 밖으로 나오는데 세상은 전국시대로 바뀐다. 그녀의 눈에 띈 것은 나무 화살에 박혀 잠들어 있는 이누야샤. 우물 속 요괴에게 다시 공격을 받은 카고메는 잠에서 깬 이누야샤의 화살을 뽑아 그의 봉인을 푼다. 카고메는 자신에게 사혼의 구슬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전국 시대의 무녀였던 키쿄우가 죽을 때 사혼의 구슬을 자신과 함께 화장해 달라고 하고 죽은 뒤 카고메가 키쿄우의 환생으로 다시 태어난 것. 카고메의 등장으로 전국 시대에는 사혼의 구슬이 다시 등장하게 된다. 그러나 요괴들과의 전투 중 사혼의 구슬은 카고메의 화살을 맞아 온 세상에 조각조각 흩어지게 된다. 엄청난 요력을 얻을 수 있는 사혼의 구슬을 둘러 싸고 여러 요괴들과 전투를 벌이고 모험을 떠나면서 카고메와 이누야샤는 동료들을 만나게 된다.


등장 인물

이누야샤 등장인물.jpg

  • 이누야샤 : 요괴와 인간 사이에 태어난 반요. 체력이 강하고 맷집도 좋다. 초하루 때에는 인간이 되고, 철쇄아와 떨어진 채 위기에 처하면 흉폭한 요괴가 된다. 말투는 험악하고 성격은 급하지만, 요괴가 가질 수 없는 따뜻한 마음씨를 지니고 있다.

가영이.jpg

  • 유가영 : 신사에 살고 있는 중학생이면서 금강이 환생한 무녀이다. 신사에 있는 우물에서 지네요괴에게 휘말려 전국시대로 오게 된다. 활솜씨는 별로 좋지 않지만 정화 능력은 가지고 있다. "앉아!"라는 말로 이누야샤를 통제할 수 있다.

금강.jpg

  • 금강 : 퇴치사들에게 부탁받은 사혼의 구슬을 지키고 정화하던 무녀. 비열한 나락의 음모로 인해 이누야샤를 봉인하고 죽었다. 후에 우라스에의 주술에 의해 불완전하게 부활했고 사혼충이 가져오는 죽은 여자들의 영혼으로 힘들게 삶을 연명했으나 나락의 독기로 인해 다시 죽는다.

미륵.jpg

  • 미륵 : 법력은 뛰어나나 여자를 매우 밝히는 법사이다. 만나는 여자마다 손을 잡고 "제 아이를 낳아 주시겠습니까?"라고 하는 버릇이 있으며 사기꾼 기질도 있다.

산고.jpg

  • 산고 : 나락의 음모에 의해 전부 죽임을 당한 요괴 퇴치사일행 중에서 유일하게 생존했다. 나락의 음모로 이누야샤를 마을 사람들을 죽인 원수로 오해했지만, 오해를 풀고 나락에게 잡힌 동생 코하쿠를 구하기 위해 함께 여행한다. 부끄러움을 잘탄다.

셋쇼마루.jpg

  • 셋쇼마루 : 이누야샤의 이복형. 이누야샤와는 달리 완전한 요괴이며, 매우 강하고 자신감이 강하다. 거의 웃지 않으며 냉정하고 이성을 잃지 않는다. 링, 쟈켄과 함께 여행한다. 링을 통해 인간에 대한 마음을 열어가며 인간적인 모습을 얻어 간다. 한 번 휘둘러 100명을 살릴 수 있는 천생아를 가지고 있다.


작품 속 도깨비

야차는 초자연적인 힘을 갖고 있는 귀신이며 불법을 수호한다. 인도 신화 시대에는 북방 산악 지대에 사는 사람을 잡아먹는 포악한 귀신이었지만, 불교에 들어와서는 8부 중의 하나가 되어 나찰 등과 함께 북방 비사문천의 권속이 되었다. 보통 사자, 코끼리, 호랑이, 사슴, 말, 소, 낙타 등의 동물의 모습을 한다.

유키 온나는 키가 크고 긴 머리의 아름다운 여자의 모습을 하고 있다. 그녀의 피부는 매우 창백하고 심지어 투명하기 까지해 눈보라 치는 풍경이 비쳐보이기도 한다고 한다. 그녀는 눈 위를 떠다녀서 발자국을 남기지 않거나 다리가 없다. 유키 온나는 여행자들이 길을 잃도록 유도하거나 아이를 데려간다. 또는 숨결을 불어넣어 사람들을 얼어 죽인다. 이누야샤에서는 유키 온나가 미륵으로 분장하여 일행들에게 다가온다.

노드관계표

노드 관계 노드
이누야샤 는 -에서 만들었다. 선라이즈
이누야샤 는 -를 다루었다. 일본의 요괴
요괴 는 -로 나타난다. 캐릭터
이누야샤 는 -를 다루었다. 야차
이누야샤 는 -이다. 애니시리즈

각주

  1. [1]

기여

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Class

클래스 노드
도깨비 갓파, 구미호, 한국의 도깨비, 오니, 땅거미, 덴구, 여우, 여와, 저승사자, 삼신할매, 염라대왕(2), 걸귀, 놋페라보, 구로보즈, 로쿠로쿠비, 야차
공간 중국의 귀, 일본의 요괴, 도노, 일본(2017), 도쿄,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교토 니조카와라, 오사카 코토나미 정, 도깨비 다리, 김공 선정지비, 김성수 생가, 교토, 안동하회마을, 삼매리, 곡성, 한국, 조선
작품 꼬비꼬비, 신과 함께(2017), 요괴, 별신마을각시,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천년여우여우비, 갓파쿠와여름방학, 곡성, 괴물, 이누야샤, 도깨비, 요괴인간벰, 전설의고향, 차우, 조롱박형제, 금방망이 은방망이
문헌 《서유기》,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 김서방 도깨비, 도노 모노가타리, 무지나, 신설백물어, 증여리물어, 유빈호치 신문, 쿠마노의 민화, 금석 이야기, 비형랑 설화, 하세오조시, 구미호 이야기, 삼국유사, 금강설화, 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문콘 게임, 드라마, 영화, 웹툰, 애니영화, 애니시리즈
캐릭터 가오나시, 쿠, 여우비, 손오공, 퇴마사
시대 현대, 에도시대

Relation

관계어 노드
은 -의 등장인물이다 가오나시 →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쿠 → 갓파쿠와여름방학, 여우비 → 천년여우여우비
은 -의 캐릭터다 가오나시 → 오니, 가오나시 → 땅거미, 가오나시 -> 놋페라보, 쿠 → 갓파, 여우비 → 구미호, 손오공《서유기》
은 -지역의 요괴이다 갓파도노, 덴구일본(2017), 여우 →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구로보즈 → 도쿄, 우마왕중국, 나찰녀중국,
는 -를 만들었다. 여와인간
는 - 관련 설화이다.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한국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한국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한국의 도깨비, 구미호한국의 도깨비,도노 모노가타리덴구 , 도노 모노가타리여우, 도노 모노가타리갓파 , 금석 이야기오니 , 비형랑설화도깨비, 신과 함께(2017)한국의 도깨비,금방망이 은방망이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금석 이야기 → 헤이안 시대,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꼬비꼬비
는 -와 관련된 공간이다. 도깨비 다리한국의 도깨비, 김공 선정지비한국의 도깨비, 김성수 생가한국의 도깨비,

교토금석 이야기 , 교토하세오조시, 안동하회마을 → 별신마을각시,곡성곡성, 한강둔치 → 괴물, 삼매리 → 차우, 한국도깨비,한국곡성, 한국괴물, 한국차우,금석 이야기교토, 금강설화일본, 덴구일본

는 -에 등장한다. 오니하세오조시. 일본의 요괴하세오조시, 저승사자신과 함께(2017),저승사자요괴. 구미호전설의고향, 삼신할매전설의고향 ,염라대왕(2)전설의고향 , 걸귀전설의고향,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땅거미에도시대, 오니에도시대, 여우에도시대, 오니금강설화, 갓파현대, 입이찢어진여자현대, 도깨비꼬비꼬비
는 -에 속한다. 구미호여우, 여우일본의 요괴, 덴구일본의 요괴, 구미호 이야기삼국유사, 구미호일본의 요괴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방이설화, 도깨비드라마, 요괴인간벰드라마, 전설의고향드라마, 신의 이미지가 부여된 뱀, 인간에게 해를 주는 뱀, 인간의 배우자로서의 뱀, 덴구 다오시덴구, 덴구 와라이덴구,덴구 쓰부테덴구, 덴구 유스리덴구, 덴구 다이코덴구, 덴구 가쿠시덴구, 덴구 마쓰덴구, 덴구 노히덴구, 입이찢어진여자야마우바, 입이찢어진여자일본의 요괴, 유키 온나일본의 요괴
은 -를 소재로 했다 곡성오니, 곡성덴구, 괴물오니, 괴물갓파, 차우오니, 차우덴구, 천년여우여우비여우,천년여우여우비구미호,꼬비꼬비한국의 도깨비,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오니,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땅거미,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놋페라보,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구로보즈,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야마우바,금석 이야기일본의 요괴, 요괴인간벰오니, 도노 모노가타리일본의 요괴, 이누야샤일본의 요괴, 이누야샤야차, 조롱박형제요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