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숙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6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경기도 포천시·남양주시·구리시를 흘러 한강에 합류되는 하천
+
{{하천 정보
 +
|대표명칭  = 왕숙천(王宿川)
 +
|사진      = 왕숙천-현재지도.jpg
 +
|길이      = 37.34
 +
|유역면적  = 270.79
 +
|발원지    = 포천시 소흘읍
 +
|하구      = 한강
 +
}}
 +
== 개요 ==
 +
* 포천시 소흘읍에서 발원하여 남양주시 진접면 부평리 · 장현 · 내각리 · 내곡리를 지나 시의 북쪽으로 흘러 동쪽을 감싸고 돌아 한강으로 흘러가는 하천이다.
  
길이 37.34km, 유역면적 270.79㎢이다. 포천시 내촌면(內村面) 신팔리(薪八里) 수원산 계곡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흘러 남양주시를 지나 구리시에서 한강으로 흘러든다. 유역의 90% 이상이 고도 400m 이하 부분이며, 경사별로 보면 10° 이하의 완사면이 40% 이상이다. 유역에는 광릉(光陵)·광릉수목원·봉선사·자연사박물관·여경구가옥·밤섬유원지·동구릉(東九陵) 등 사적 및 관광지가 많다.
+
==지명 유래 ==
 +
* 태조 이성계가 상왕으로 있을 때 팔야리(八夜里)에서 8일간 유숙하고 또 내각리(內閣里)에서 별궁을 짓고 있었다고 하여 왕숙천(王宿川)으로 이름 붙여진 것이라고 전한다.  
 +
* 세조의 광릉 안장 후 "선왕이 영숙(永宿) 즉 길이 잠든다."는 뜻에서 왕숙천이라 한다고도 전한다.
 +
* 지역 주민들은 흔히 '왕산내'라고 부른다.
 +
* 동구릉과 관련한 지명이다.  
  
지류는 용암천, 덕송천, 갈매천, 불암천, 사릉천, 용정천, 진건천, 오남천, 금주천, 봉선사천, 양벌천, 암현천, 진목천으로 총 13개이다. 이 지류들이 왕숙천의 유로를 부분적으로 바꾸었으며, 토평동과 돌섬(석도)을 중심으로 범람원을 형성하였다.
+
== 고문헌 기록 ==
 +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왕숙천은 풍양천(豊壤川)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풍양천은 풍양현 남쪽에 있다. 물 근원이 천마산에서 나와 동쪽으로 광진에 흘러든다."는 내용이 있다.
 +
*『여지도서』에는 왕숙탄(王宿灘)으로 수록되어 있는데, "왕숙탄은 진벌면(榛伐面)에 있다. 포천 경계에서 흘러나오기 시작하여 남쪽으로 흘러 미호진(渼湖津)으로 들어간다."고 기록되어 있다.
 +
*『대동지지』에는 왕산천(王山川)으로 기록되어 있다.
 +
*『해동지도』와 조선 후기 지도에서 양주목 동쪽을 남북으로 흐르는 왕숙천 · 왕숙탄이 확인된다. 왕산내뜰 공원 · 왕숙철교 등에서 지명을 엿볼 수 있다.
  
1차수 하천 51%, 2차수 하천 35%, 3차수 하천 14%로 우리나라 하천의 평균적인 하계망에 비해 낮은 수치이다. 이는 구리시의 지질분포 및 토양, 지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왕숙천의 하계망 발달이 크게 용이하지 않음을 뜻한다.
+
== 하천 설명 ==
 
+
* 길이 37.34km, 유역면적 270.79㎢
조선 태조 이성계가 상왕(上王)으로 있을 때 팔야리(八夜里)에서 8일을 머물렀다고 해서 ‘왕숙천’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 밖에 세조를 광릉에 안장한 후 “선왕(先王)이 길이 잠들다”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라는 설도 있다.
+
* 포천시 내촌면(內村面) 신팔리(薪八里) 수원산 계곡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흘러 남양주시를 지나 구리시에서 한강으로 흐름
 +
* 유역의 90% 이상이 고도 400m 이하 부분이며, 경사별로 보면 10° 이하의 완사면이 40% 이상
 +
* 유역에는 광릉(光陵)·광릉수목원·봉선사·자연사박물관·여경구가옥·밤섬유원지·동구릉(東九陵) 등 사적 및 관광지가 많음.
 +
* 지류는 용암천, 덕송천, 갈매천, 불암천, 사릉천, 용정천, 진건천, 오남천, 금주천, 봉선사천, 양벌천, 암현천, 진목천으로 총 13개
 +
* 지류들이 왕숙천의 유로를 부분적으로 바꾸었으며, 토평동과 돌섬(석도)을 중심으로 범람원을 형성함
  
 +
== 사진 ==
 
<gallery>
 
<gallery>
파일:왕숙천_1.jpg|왕숙천 - 전경1
+
파일:왕숙천-1.jpg|왕숙천 - 전경1
파일:왕숙천_2.jpg|왕숙천 - 전경2
+
파일:왕숙천-2.jpg|왕숙천 - 전경2
파일:왕숙천_3.jpg|왕숙천 - 근린공원
+
파일:왕숙천-3.jpg|왕숙천 - 근린공원
파일:왕숙천_4.jpg|왕숙천 - 둔치
+
파일:왕숙천-4.jpg|왕숙천 - 둔치
파일:왕숙천_4.jpg|왕숙천 - 보 시설
+
파일:왕숙천-5.jpg|왕숙천 - 보 시설
 
</gallery>
 
</gallery>
 +
 +
==지도==
 +
<googlemap height="400" lat="37.562739" lon="127.085425" type="terrain" zoom="14"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37.562739, 127.085425, [[중곡동]]
 +
</googlemap>
 +
 +
== 클래스 ==
 +
* 장소
 +
* 장소-하천
 +
 +
==관련 문서==
 +
{|class="wikitable"
 +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
 +
|왕숙천|| A는 B에 기록되어있다. || [[신증동국여지승람]],[[여지도서]],[[해동지도]],[[대동지지]]
 +
|-
 +
|왕숙천|| A는 B의 지류이다. || [[한강]]
 +
|}
 +
 +
==기여==
 +
*[[김현종]], 20160606, draft v1.0 제작
 +
 +
== 출처 ==
 +
* 두산백과사전-왕숙천
 +
* 위키피디아-왕숙천
 +
*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지명-왕숙천, 국토지리정보원, 2008년
 +
* 한국 하천 정보 시스템[http://river.kwater.or.kr/garam]
 +
<references/>
 +
 +
[[분류:김현종]]
 +
[[분류: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
[[분류:아차산성]]

2016년 6월 9일 (목) 18:58 기준 최신판

개요

  • 포천시 소흘읍에서 발원하여 남양주시 진접면 부평리 · 장현 · 내각리 · 내곡리를 지나 시의 북쪽으로 흘러 동쪽을 감싸고 돌아 한강으로 흘러가는 하천이다.

지명 유래

  • 태조 이성계가 상왕으로 있을 때 팔야리(八夜里)에서 8일간 유숙하고 또 내각리(內閣里)에서 별궁을 짓고 있었다고 하여 왕숙천(王宿川)으로 이름 붙여진 것이라고 전한다.
  • 세조의 광릉 안장 후 "선왕이 영숙(永宿) 즉 길이 잠든다."는 뜻에서 왕숙천이라 한다고도 전한다.
  • 지역 주민들은 흔히 '왕산내'라고 부른다.
  • 동구릉과 관련한 지명이다.

고문헌 기록

  •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왕숙천은 풍양천(豊壤川)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풍양천은 풍양현 남쪽에 있다. 물 근원이 천마산에서 나와 동쪽으로 광진에 흘러든다."는 내용이 있다.
  • 『여지도서』에는 왕숙탄(王宿灘)으로 수록되어 있는데, "왕숙탄은 진벌면(榛伐面)에 있다. 포천 경계에서 흘러나오기 시작하여 남쪽으로 흘러 미호진(渼湖津)으로 들어간다."고 기록되어 있다.
  • 『대동지지』에는 왕산천(王山川)으로 기록되어 있다.
  • 『해동지도』와 조선 후기 지도에서 양주목 동쪽을 남북으로 흐르는 왕숙천 · 왕숙탄이 확인된다. 왕산내뜰 공원 · 왕숙철교 등에서 지명을 엿볼 수 있다.

하천 설명

  • 길이 37.34km, 유역면적 270.79㎢
  • 포천시 내촌면(內村面) 신팔리(薪八里) 수원산 계곡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흘러 남양주시를 지나 구리시에서 한강으로 흐름
  • 유역의 90% 이상이 고도 400m 이하 부분이며, 경사별로 보면 10° 이하의 완사면이 40% 이상
  • 유역에는 광릉(光陵)·광릉수목원·봉선사·자연사박물관·여경구가옥·밤섬유원지·동구릉(東九陵) 등 사적 및 관광지가 많음.
  • 지류는 용암천, 덕송천, 갈매천, 불암천, 사릉천, 용정천, 진건천, 오남천, 금주천, 봉선사천, 양벌천, 암현천, 진목천으로 총 13개
  • 지류들이 왕숙천의 유로를 부분적으로 바꾸었으며, 토평동과 돌섬(석도)을 중심으로 범람원을 형성함

사진

지도

클래스

  • 장소
  • 장소-하천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왕숙천 A는 B에 기록되어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여지도서,해동지도,대동지지
왕숙천 A는 B의 지류이다. 한강

기여

출처

  • 두산백과사전-왕숙천
  • 위키피디아-왕숙천
  • 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지명-왕숙천, 국토지리정보원, 2008년
  • 한국 하천 정보 시스템[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