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설 경무청 관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11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2번째 줄: 2번째 줄:
 
:복설 경무청 체제(1902.02.18. ~ 1907.07.29.)에서의 경찰 관제 변화 정리이다.
 
:복설 경무청 체제(1902.02.18. ~ 1907.07.29.)에서의 경찰 관제 변화 정리이다.
  
 +
 +
=='''내용'''==
 +
:고종은 [[경무청 관제|경무청]]을 [[경부 관제|경부]]로 승격시키고 1년도 안된 1901년 3월 15일에 실효가 없고 폐만 더한다는 이유로 다시 경무청으로 격하시키면서 관제를 이전의 [[경무청 관제|경무청]]에 의하여 시행하라고 명한다.<ref>『高宗實錄』 고종 38년(1901) 3월 15일.</ref> 이에 1902년 2월 18일 칙령 제3호 <경무청관제>가 반포되면서 경무청이 복설된다.<ref>『관보』 광무 6년(1902) 2월 18일. 본 <경무청관제>는 왕의 재가를 받은 날짜가 1901년 12월 8일이다. 단, 관제 제34조에 “本令은 頒布日로부터 施行事”라 명시하였고, 『관보』를 통한 공포
 +
가 1902년 2월 18일에 이루어졌으므로, 제도의 시행은 이날부터 실시된 것으로 보는 것이 마땅하다.</ref> 복설 초기에는 이전 경부와 마찬가지로, 국내 일체의 경찰 사무를 보았는데, 1905년 2월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내부&ridx=0&tot=8 내부]</span>에 속하여 한성만 관할하는 것으로 축소된다.
 +
: 1906년 2월에는 다시 경무청 관제가 개정되면서 경찰국이 없어지고 인원은 대폭 줄어든다. 또한 경무청의 궁내경무서는 1901년 11월 17일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궁내부&ridx=0&tot=8 궁내부]</span>에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경위원&ridx=0&tot=8 경위원]</span>이 별도로 설치되어 궁내부관제에 속하게 되면서 1902년부터의 경무청 관제에는 보이지 않는다.
 +
 +
<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FAF5FF;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FAF5FF;text-align:center"
 
|+<표 3> 복설 경무청 관제와 복제의 변천 과정
 
|+<표 3> 복설 경무청 관제와 복제의 변천 과정
21번째 줄: 28번째 줄:
 
| 제정: 1906.02.12.<br>시행: 1906.02.17. || 제8호 || style="text-align:left" | <경무청관제개정 건> 반포 || 광무10년 2월 17일
 
| 제정: 1906.02.12.<br>시행: 1906.02.17. || 제8호 || style="text-align:left" | <경무청관제개정 건> 반포 || 광무10년 2월 17일
 
|}
 
|}
 
+
</center>
 
+
=='''내용'''==
+
:고종은 경무청을 경부로 승격시키고 1년도 안된 1901년 3월 15일에 실효가 없고 폐만 더한다는 이유로 다시 경무청으로 격하시키면서 관제를 이전의 경무청에 의하여 시행하라고 명한다.<ref>『高宗實錄』 고종 38년(1901) 3월 15일.</ref> 이에 1902년 2월 18일 칙령 제3호 <경무청관제>가 반포되면서 경무청이 복설된다.<ref>『관보』 광무 6년(1902) 2월 18일. 본 <경무청관제>는 왕의 재가를 받은 날짜가 1901년 12월 8일이다. 단, 관제 제34조에 “本令은 頒布日로부터 施行事”라 명시하였고, 『관보』를 통한 공포
+
가 1902년 2월 18일에 이루어졌으므로, 제도의 시행은 이날부터 실시된 것으로 보는 것이 마땅하다.</ref> 복설 초기에는 이전 경부와 마찬가지로, 국내 일체의 경찰 사무를 보았는데, 1905년 2월 내부에 속하여 한성만 관할하는 것으로 축소된다.
+
: 1906년 2월에는 다시 경무청 관제가 개정되면서 경찰국이 없어지고 인원은 대폭 줄어든다. 또한 경무청의 궁내경무서는 1901년 11월 17일 궁내부에 경위원이 별도로 설치되어 궁내부관제에 속하게 되면서 1902년부터의 경무청 관제에는 보이지 않는다.
+
  
  
32번째 줄: 34번째 줄:
 
:{|  
 
:{|  
 
|style="border-left:solid 7px #cccccc" |'''<big>''1902년''</big>'''
 
|style="border-left:solid 7px #cccccc" |'''<big>''1902년''</big>'''
:2월 18일 복설된 경무청은 내부(內部)에 속하여 황궁 내외 경비 수위 및 규찰 집포(緝捕) 외에 한성및 전국의 경찰서와 감옥서를 감독한다.
+
:2월 18일 복설된 경무청은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내부&ridx=0&tot=8 내부]</span>(內部)에 속하여 황궁 내외 경비 수위 및 규찰 집포(緝捕) 외에 한성및 전국의 경찰서와 감옥서를 감독한다.
 
:내부(內部)에 속한 경무청에는 경무사 2·3등 칙임관 1명, 국장은 칙임관 또는 주임관 1명, 경무관은 1등에서 6등 주임관 6명, 주사는 1등에서 8등 판임관 8명 이하, 총순은 1등에서 8등 판임관 30명 이하, 기수는 판임관 1명, 순검이 있었다. 또한, 한성부 관내 5경무서의 서장은 본청의 경무관으로 채우고, 해당 서(署)의 사무를 주관하였다.
 
:내부(內部)에 속한 경무청에는 경무사 2·3등 칙임관 1명, 국장은 칙임관 또는 주임관 1명, 경무관은 1등에서 6등 주임관 6명, 주사는 1등에서 8등 판임관 8명 이하, 총순은 1등에서 8등 판임관 30명 이하, 기수는 판임관 1명, 순검이 있었다. 또한, 한성부 관내 5경무서의 서장은 본청의 경무관으로 채우고, 해당 서(署)의 사무를 주관하였다.
  
55번째 줄: 57번째 줄:
 
| style="border-left:solid 7px #cccccc"|'''<big>''경위원''</big>'''
 
| style="border-left:solid 7px #cccccc"|'''<big>''경위원''</big>'''
 
:1901년 궁내부에 설치되면서 인원의 변동이 없다가, 1903년 12월 11일 경무관 2명, 1904년 2월 5일에 경무관 1명을 증치한다.<ref>『高宗實錄』 고종 40년(1903) 12월 11일. 포달 제77호. 경무관 2명 증치; 『高宗實錄』 고종 41년(1904) 2월 5일. 포달 제112호. 경무관 1명 증치.</ref>
 
:1901년 궁내부에 설치되면서 인원의 변동이 없다가, 1903년 12월 11일 경무관 2명, 1904년 2월 5일에 경무관 1명을 증치한다.<ref>『高宗實錄』 고종 40년(1903) 12월 11일. 포달 제77호. 경무관 2명 증치; 『高宗實錄』 고종 41년(1904) 2월 5일. 포달 제112호. 경무관 1명 증치.</ref>
 +
:1905년 3월 주전원 아래 황실경위국으로 축소된다.
 
|}
 
|}
  
65번째 줄: 68번째 줄:
  
 
=='''지식관계망'''==
 
=='''지식관계망'''==
==='''클래스'''===
 
 
==='''클래스'''===
 
==='''클래스'''===
 
{| style=text-align:"top" cellpadding="1"  
 
{| style=text-align:"top" cellpadding="1"  
82번째 줄: 84번째 줄:
 
* Actor-단체 : 마포서쪽_분서2
 
* Actor-단체 : 마포서쪽_분서2
 
* Actor-단체 : 한강분서
 
* Actor-단체 : 한강분서
|
 
 
* Actor-단체 : 감옥서
 
* Actor-단체 : 감옥서
 
* Actor-단체 : 경위원
 
* Actor-단체 : 경위원
88번째 줄: 89번째 줄:
 
* Actor-단체 : 궁내부
 
* Actor-단체 : 궁내부
 
* Actor-단체 : 내부
 
* Actor-단체 : 내부
 +
|
 
* Place-장소 : 中
 
* Place-장소 : 中
 
* Place-장소 : 東
 
* Place-장소 : 東
96번째 줄: 98번째 줄:
 
* Record-문헌 : 『칙령』
 
* Record-문헌 : 『칙령』
 
* Record-문헌 :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98%EC%A3%BC&ridx=2&tot=184 『의주(儀註)』]</span>
 
* Record-문헌 :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98%EC%A3%BC&ridx=2&tot=184 『의주(儀註)』]</span>
|
 
 
* Record-문헌 : <span class="plainlinks">[http://waks.aks.ac.kr/dir/searchView.aspx?qType=0&secType=&sType=&sWord=%e5%a5%8f%e6%9c%ac&dataID=AKS-2013-CKD-1240001_DIC@00006297 『주본(奏本)』]</span>
 
* Record-문헌 : <span class="plainlinks">[http://waks.aks.ac.kr/dir/searchView.aspx?qType=0&secType=&sType=&sWord=%e5%a5%8f%e6%9c%ac&dataID=AKS-2013-CKD-1240001_DIC@00006297 『주본(奏本)』]</span>
 
* Record-문헌 :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A%B3%A0%EC%A2%85%EC%8B%A4%EB%A1%9D&ridx=0&tot=31 『고종실록(高宗實錄)』]</span>
 
* Record-문헌 :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A%B3%A0%EC%A2%85%EC%8B%A4%EB%A1%9D&ridx=0&tot=31 『고종실록(高宗實錄)』]</span>
 
* Record-문헌 :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BC%EC%84%B1%EB%A1%9D&ridx=0&tot=19 『일성록(日省錄)』]</span>
 
* Record-문헌 :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BC%EC%84%B1%EB%A1%9D&ridx=0&tot=19 『일성록(日省錄)』]</span>
 
* Record-문헌 : 『구한국관보』
 
* Record-문헌 : 『구한국관보』
* Concept-개념용어 : [[박선희|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
* Concept-개념용어 : [[대한제국기 의궤 반차도에 나타난 경찰계급 및 복식|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 Concept-개념용어 : [[대한제국기 경찰관제와 복제]]
 
* Concept-개념용어 : [[대한제국기 경찰관제와 복제]]
 
* Concept-개념용어 : [[경무청 관제]]
 
* Concept-개념용어 : [[경무청 관제]]
107번째 줄: 108번째 줄:
 
* Concept-개념용어 : [[경부 관제]]
 
* Concept-개념용어 : [[경부 관제]]
 
* Concept-개념용어 : [[경부 복제]]
 
* Concept-개념용어 : [[경부 복제]]
 +
|
 
* Concept-개념용어 : [[복설 경무청 관제]]
 
* Concept-개념용어 : [[복설 경무청 관제]]
 
* Concept-개념용어 : [[복설 경무청 복제]]
 
* Concept-개념용어 : [[복설 경무청 복제]]
 
* Concept-개념용어 : [[경시청 관제]]
 
* Concept-개념용어 : [[경시청 관제]]
|
 
 
* Concept-개념용어 : [[경시청 복제]]
 
* Concept-개념용어 : [[경시청 복제]]
 
* Concept-계급 : 대신
 
* Concept-계급 : 대신
124번째 줄: 125번째 줄:
 
* Concept-계급 : 근위순검
 
* Concept-계급 : 근위순검
 
* Concept-계급 : 총관
 
* Concept-계급 : 총관
* Concept-계급 : 서장
+
* Concept-계급 : 서장<br/><br/>
 
|}
 
|}
 
  
 
==='''관계정보'''===  
 
==='''관계정보'''===  
139번째 줄: 139번째 줄:
 
| 복설 경무청 || 경시청 || A 다음 B가 설치된다 || edm:isNextInSequence
 
| 복설 경무청 || 경시청 || A 다음 B가 설치된다 || edm:isNextInSequence
 
|-
 
|-
| 경무청 || 경무청 관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경무청 || [[경무청 관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 경무청 || 경무청 복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경무청 || [[경무청 복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 경부 || 경부 관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경부 || [[경부 관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 경부 || 경부 복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경부 || [[경부 복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 복설 경무청 || 복설 경무청 관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복설 경무청 || [[복설 경무청 관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 복설 경무청 || 복설 경무청 복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복설 경무청 || [[복설 경무청 복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 복설 경무청 관제 || 1902년 복설 경무청 || A에 B가 소속된다 || foaf:member
+
| [[복설 경무청 관제]] || 1902년 복설 경무청 || A에 B가 소속된다 || foaf:member
 
|-
 
|-
| 복설 경무청 관제 || 1905년 복설 경무청 || A에 B가 소속된다 || foaf:member
+
| [[복설 경무청 관제]] || 1905년 복설 경무청 || A에 B가 소속된다 || foaf:member
 
|-
 
|-
| 복설 경무청 관제 || 1906년 복설 경무청 || A에 B가 소속된다 || foaf:member
+
| [[복설 경무청 관제]] || 1906년 복설 경무청 || A에 B가 소속된다 || foaf:member
 
|-
 
|-
 
| 1902년 복설 경무청 || 1905년 복설 경무청 || A 다음 B이 시행된다 || dcterms:provenance
 
| 1902년 복설 경무청 || 1905년 복설 경무청 || A 다음 B이 시행된다 || dcterms:provenance
161번째 줄: 161번째 줄:
 
| 1905년 복설 경무청 || 1906년 복설 경무청 || A 다음 B이 시행된다 || dcterms:provenance
 
| 1905년 복설 경무청 || 1906년 복설 경무청 || A 다음 B이 시행된다 || dcterms:provenance
 
|-
 
|-
| 경시청 || 경시청 관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경시청 || [[경시청 관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 경시청 || 경시청 복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경시청 || [[경시청 복제]] || A의 부분은 B이다 || dcterms:hasPart
 
|-
 
|-
 
| 내부 || 1902년 복설 경무청 || A에 B가 소속된다 || foaf:member
 
| 내부 || 1902년 복설 경무청 || A에 B가 소속된다 || foaf:member
271번째 줄: 271번째 줄:
  
  
===네트워크 그래프===
+
==='''네트워크 그래프'''===
 +
* [[복설_경무청_관제.lst | <nowiki>[대한제국기 경찰]</nowiki> 복설 경무청 관제.lst]] ↓
 
{{NetworkGraph | title=복설_경무청_관제.lst}}
 
{{NetworkGraph | title=복설_경무청_관제.lst}}
 
└☞ 본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사용된 아이콘 이미지는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그래프용_아이콘 ''''한국 문화 엔사이브''''의 아이콘 모음 자료]를 활용하였다.
 
└☞ 본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사용된 아이콘 이미지는 [http://dh.aks.ac.kr/Encyves/wiki/index.php/그래프용_아이콘 ''''한국 문화 엔사이브''''의 아이콘 모음 자료]를 활용하였다.
281번째 줄: 282번째 줄:
  
 
=='''참고문헌'''==
 
=='''참고문헌'''==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A%B3%A0%EC%A2%85%EC%8B%A4%EB%A1%9D&ridx=0&tot=31 『고종실록(高宗實錄)』]</span>, 『관보(官報)』, 『의궤(儀軌)』, 『의주(議奏)』,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BC%EC%84%B1%EB%A1%9D&ridx=0&tot=19 『일성록(日省錄)』]</span>, 『주본(奏本)』, 『칙령(勅令)』
+
*원전류
 +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A%B3%A0%EC%A2%85%EC%8B%A4%EB%A1%9D&ridx=0&tot=31 『고종실록(高宗實錄)』]</span>,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5%AE%98%E5%A0%B1&ridx=0&tot=675 『관보(官報)』]</span>,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98%EA%B6%A4&ridx=0&tot=62 『의궤(儀軌)』]</span>,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98%EC%A3%BC&ridx=2&tot=184 『의주(儀註)』]</span>, <span class="plainlinks">[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C%9D%BC%EC%84%B1%EB%A1%9D&ridx=0&tot=19 『일성록(日省錄)』]</span>, <span class="plainlinks">[http://waks.aks.ac.kr/dir/searchView.aspx?qType=0&secType=&sType=&sWord=%e5%a5%8f%e6%9c%ac&dataID=AKS-2013-CKD-1240001_DIC@00006297 『주본(奏本)』]</span>, 『칙령(勅令)』
 +
 
 +
*학위논문
 +
:박선희, 「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고증」,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br/>
  
박선희, 「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고증」,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br/>
+
*참고사이트
 +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립중앙도서관』<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체육관광부.
 +
:<html><online style="color:purple">『원문검색서비스』<sup>online</sup></online></html>,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html><online style="color:purple">『국가문화유산 포털』<sup>online</sup></online></html>, 문화재청.
 +
:<html><online style="color:purple">『서울역사 아카이브』<sup>online</sup></online></html>, 서울특별시.
 +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ml><online style="color:purple">『장서각 기록유산 DB』<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ml><online style="color:purple">『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sup>online</sup></online></html>, 한국학중앙연구원.
 +
:<html><online style="color:purple">『조선왕조실록』<sup>online</sup></online></html>, 국사편찬위원회.
  
 
[[분류:복식콘텐츠]][[분류:복식2020단국대]]
 
[[분류:복식콘텐츠]][[분류:복식2020단국대]]
[[분류:Concept]] [[분류:Concept-개념용어]]
+
[[분류:Concept]] [[분류:Concept-개념용어]]  
[[분류:복콘2020-Concept-개념용어]]  
+
[[분류:복콘2020-Concept-개념용어]]
 
[[분류:대한제국기 경찰 제복]]
 
[[분류:대한제국기 경찰 제복]]
 
[[분류:박선희]]
 
[[분류:박선희]]

2022년 5월 4일 (수) 15:10 기준 최신판

정의

복설 경무청 체제(1902.02.18. ~ 1907.07.29.)에서의 경찰 관제 변화 정리이다.


내용

고종은 경무청경부로 승격시키고 1년도 안된 1901년 3월 15일에 실효가 없고 폐만 더한다는 이유로 다시 경무청으로 격하시키면서 관제를 이전의 경무청에 의하여 시행하라고 명한다.[1] 이에 1902년 2월 18일 칙령 제3호 <경무청관제>가 반포되면서 경무청이 복설된다.[2] 복설 초기에는 이전 경부와 마찬가지로, 국내 일체의 경찰 사무를 보았는데, 1905년 2월 내부에 속하여 한성만 관할하는 것으로 축소된다.
1906년 2월에는 다시 경무청 관제가 개정되면서 경찰국이 없어지고 인원은 대폭 줄어든다. 또한 경무청의 궁내경무서는 1901년 11월 17일 궁내부경위원이 별도로 설치되어 궁내부관제에 속하게 되면서 1902년부터의 경무청 관제에는 보이지 않는다.
<표 3> 복설 경무청 관제와 복제의 변천 과정
분류 제정 및 시행 칙령 내용 관보
관제
(官制)
제정: 1901.12.08.
시행: 1902.02.18.
제3호 <경무청관제> 반포 광무6년 2월 18일
제정: 1902.02.28. - (正誤)칙령 제3호 수정 광무6년 2월 28일
제정: 1902.03.18. - 칙령3호 <경무청관제> 중 첨입수정 광무6년 3월 18일
제정: 1902.08.20. - 칙령3호 <경무청관제> 중 첨입수정 광무6년 8월 20일
제정: 1905.02.26.
시행: 1905.03.01.
제16호 <경무청관제> 반포 광무9년 3월 1일
제정: 1905.04.10. (正誤) 칙령 제16호 수정 광무9년 4월 10일
제정: 1906.02.12.
시행: 1906.02.17.
제8호 <경무청관제개정 건> 반포 광무10년 2월 17일


복설 경무청 관제의 변천 과정

1902년
2월 18일 복설된 경무청은 내부(內部)에 속하여 황궁 내외 경비 수위 및 규찰 집포(緝捕) 외에 한성및 전국의 경찰서와 감옥서를 감독한다.
내부(內部)에 속한 경무청에는 경무사 2·3등 칙임관 1명, 국장은 칙임관 또는 주임관 1명, 경무관은 1등에서 6등 주임관 6명, 주사는 1등에서 8등 판임관 8명 이하, 총순은 1등에서 8등 판임관 30명 이하, 기수는 판임관 1명, 순검이 있었다. 또한, 한성부 관내 5경무서의 서장은 본청의 경무관으로 채우고, 해당 서(署)의 사무를 주관하였다.
경무사는 내부대신의 지휘감독을 받아 국내 경찰사무를 관리하고 지휘·감독한다. 본청 칙임·주임관을 각 지방에 파견하여 경찰 사무를 순시하도록 하고, 순검은 필요한 수를 헤아려 채용할 수 있는 권한이 있었다. 경무서장은 경무관으로 보충하고, 5경무서와 분서 3곳에 관한 내용은 이전과 같았다.
1902년 복설 경무청 조직체계 .png
<1902년 복설 경무청 조직체계>

20201007 113132.png
<1905년 복설 경무청·경위원 조직체계>

20201007 113153.png
<1906년 복설 경무청 조직체계>

1905년
3월 1일에 칙령 제16호 <경무청관제>가 다시 반포되었다. 경무청은 내부(內部)에 속하여 한성 안의 경찰·소방에 관한 사무와 경무서와 감옥서를 관할하는 것으로 축소되었다. 관원은 총순이 ‘34명 이하’로 증원된 것 외에 큰 변화는 없다.[3]

1906년
2월 17일부터시행된 칙령 제8호 <경무청관제 개정>에서는 경무사 1명, 경무관 8명, 주사 6명, 총순 24명으로 인원이 감소하면서 국장과 기수는 사라진다.[4]

경위원
1901년 궁내부에 설치되면서 인원의 변동이 없다가, 1903년 12월 11일 경무관 2명, 1904년 2월 5일에 경무관 1명을 증치한다.[5]
1905년 3월 주전원 아래 황실경위국으로 축소된다.


복설된 경무청시기에도 본청의 인원이 각 부(部)·국(局)·서(署) 등으로 충원되거나 겸직을 하는 경우가 계속되고, 필요한 인원이 발생하면 내무대신에게 보고하여 경무사의 권한으로 임시직이나 총순과 순검을 채용하거나 상황에 따라 각처로 파견한 것으로 보인다.


지식관계망

클래스

  • Actor-단체 : 경무청
  • Actor-단체 : 경부
  • Actor-단체 : 복설 경무청
  • Actor-단체 : 1902년_복설_경무청
  • Actor-단체 : 1905년_복설_경무청
  • Actor-단체 : 1906년_복설_경무청
  • Actor-단체 : 경시청
  • Actor-단체 : 경무사관방
  • Actor-단체 : 경무국
  • Actor-단체 : 경무5서
  • Actor-단체 : 마포서쪽_분서1
  • Actor-단체 : 마포서쪽_분서2
  • Actor-단체 : 한강분서
  • Actor-단체 : 감옥서
  • Actor-단체 : 경위원
  • Actor-단체 : 경찰국
  • Actor-단체 : 궁내부
  • Actor-단체 : 내부
  • Concept-개념용어 : 복설 경무청 관제
  • Concept-개념용어 : 복설 경무청 복제
  • Concept-개념용어 : 경시청 관제
  • Concept-개념용어 : 경시청 복제
  • Concept-계급 : 대신
  • Concept-계급 : 협판
  • Concept-계급 : 국장
  • Concept-계급 : 총무국장
  • Concept-계급 : 경무관
  • Concept-계급 : 주사
  • Concept-계급 : 총순
  • Concept-계급 : 순검
  • Concept-계급 : 근위경무관
  • Concept-계급 : 근위총순
  • Concept-계급 : 근위순검
  • Concept-계급 : 총관
  • Concept-계급 : 서장

관계정보

항목 A 항목 B 관계 Relation
경무청 경부 A 다음 B가 설치된다 edm:isNextInSequence
경부 복설 경무청 A 다음 B가 설치된다 edm:isNextInSequence
복설 경무청 경시청 A 다음 B가 설치된다 edm:isNextInSequence
경무청 경무청 관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경무청 경무청 복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경부 경부 관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경부 경부 복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복설 경무청 복설 경무청 관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복설 경무청 복설 경무청 복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복설 경무청 관제 1902년 복설 경무청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복설 경무청 관제 1905년 복설 경무청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복설 경무청 관제 1906년 복설 경무청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2년 복설 경무청 1905년 복설 경무청 A 다음 B이 시행된다 dcterms:provenance
1905년 복설 경무청 1906년 복설 경무청 A 다음 B이 시행된다 dcterms:provenance
경시청 경시청 관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경시청 경시청 복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내부 1902년 복설 경무청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내부 1905년 복설 경무청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내부 1906년 복설 경무청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2년 복설 경무청 경무사관방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2년 복설 경무청 경무사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2년 복설 경무청 국장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2년 복설 경무청 경무관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2년 복설 경무청 주사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2년 복설 경무청 총순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2년 복설 경무청 순검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2년 복설 경무청 경무국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2년 복설 경무청 경무5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2년 복설 경무청 감옥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경무5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경무5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경무5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경무5서 西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경무5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서장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서장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서장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西 서장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서장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西 마포서쪽 분서1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西 마포서쪽 분서2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한강분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5년 복설 경무청 경무사관방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5년 복설 경무청 경무사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5년 복설 경무청 국장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5년 복설 경무청 경무관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5년 복설 경무청 주사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5년 복설 경무청 총순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5년 복설 경무청 기수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5년 복설 경무청 순검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5년 복설 경무청 경찰국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5년 복설 경무청 경무5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5년 복설 경무청 감옥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6년 복설 경무청 경무사관방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6년 복설 경무청 경무사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6년 복설 경무청 경무관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6년 복설 경무청 주사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6년 복설 경무청 총순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6년 복설 경무청 순검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1906년 복설 경무청 경찰국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6년 복설 경무청 경무5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1906년 복설 경무청 감옥서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궁내부 경위원 A의 부분은 B이다 dcterms:hasPart
경위원 총관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경위원 총무국장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경위원 경무관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경위원 주사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경위원 총순 A에 B가 소속된다 foaf:member


네트워크 그래프

└☞ 본 네트워크 그래프에서 사용된 아이콘 이미지는 '한국 문화 엔사이브'의 아이콘 모음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석

  1. 『高宗實錄』 고종 38년(1901) 3월 15일.
  2. 『관보』 광무 6년(1902) 2월 18일. 본 <경무청관제>는 왕의 재가를 받은 날짜가 1901년 12월 8일이다. 단, 관제 제34조에 “本令은 頒布日로부터 施行事”라 명시하였고, 『관보』를 통한 공포 가 1902년 2월 18일에 이루어졌으므로, 제도의 시행은 이날부터 실시된 것으로 보는 것이 마땅하다.
  3. 『관보』 광무 9년(1905) 3월 1일 칙령 제16호 <警務廳官制>. 제도 제정은 1905년 2월 26일이지만, 제31조에서 ‘반포일로부터 시해한다.’고 했으므로, 제도의 시행은 1905년 3월 1일부터이다.
  4. 『관보』 광무 10년(1906) 2월 17일. 제도 제정은 2월 12일이지만, 제24조에서 ‘반포일로부터 시행한다.’고 했으므로, 제도의 시행은 1906년 2월 17일부터이다.
  5. 『高宗實錄』 고종 40년(1903) 12월 11일. 포달 제77호. 경무관 2명 증치; 『高宗實錄』 고종 41년(1904) 2월 5일. 포달 제112호. 경무관 1명 증치.


참고문헌

  • 원전류
『고종실록(高宗實錄)』, 『관보(官報)』, 『의궤(儀軌)』, 『의주(儀註)』, 『일성록(日省錄)』, 『주본(奏本)』, 『칙령(勅令)』
  • 학위논문
박선희, 「대한제국기 의례반차도의 경찰 제복 고증」,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9.
  • 참고사이트
『국립중앙도서관』online, 문화체육관광부.
『원문검색서비스』online,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국가문화유산 포털』online, 문화재청.
『서울역사 아카이브』online, 서울특별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기록유산 DB』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 성과포털』online,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왕조실록』online,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