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漢•唐代 유가의 귀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encevi424 (토론 | 기여) |
Silencevi424 (토론 | 기여)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대체로 이 시대의 사상의 특징은 원초적인 생명 에너지로 간주되는 기(氣) 의 취산(聚散)으로 인간과 사물의 생멸을 논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중국 고대 부터 있어 온 사고로 단지 유교적 제의(祭儀)를 강화시켜 나아가는 과정에서 제사의 대상인 귀신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할 필요성이 제기되었기에 죽음 의 문제와 관련된 제의를 논함에 있어 기론적(氣論的) 사생관이 자연스럽게 도입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면에서 기론적 사생관은『中庸』에서 이미 언급된 귀신의 실재성을 더욱 보강해 줌으로써 유교적 제의의 의미를 강화시 켰다고 할 수 있다. | 대체로 이 시대의 사상의 특징은 원초적인 생명 에너지로 간주되는 기(氣) 의 취산(聚散)으로 인간과 사물의 생멸을 논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중국 고대 부터 있어 온 사고로 단지 유교적 제의(祭儀)를 강화시켜 나아가는 과정에서 제사의 대상인 귀신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할 필요성이 제기되었기에 죽음 의 문제와 관련된 제의를 논함에 있어 기론적(氣論的) 사생관이 자연스럽게 도입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면에서 기론적 사생관은『中庸』에서 이미 언급된 귀신의 실재성을 더욱 보강해 줌으로써 유교적 제의의 의미를 강화시 켰다고 할 수 있다. | ||
− | |||
− | |||
+ | |||
+ | ==노드관계 표==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50%" | ||
+ | |||
+ | |노드||관계||노드 | ||
+ | |- | ||
+ | |[[사생관]]||은 ~켰다고 할 수 있다.||귀신의 실재성을 더욱 보강해 줌으로써 유교적 제의의 의미를 강화시 | ||
+ | |- | ||
+ | |[[사상의 특징]]||은~ 논하는 것이었다.||원초적인 생명 에너지로 간주되는 기(氣)의 취산(聚散)으로 인간과 사물의 생멸을 | ||
+ | |- | ||
+ | |} | ||
+ | |||
+ | |||
+ | |||
+ | |||
+ | ==각주== | ||
175「繫辭傳」; 精氣爲物 游魂爲辯. 是故 知鬼神之情狀. | 175「繫辭傳」; 精氣爲物 游魂爲辯. 是故 知鬼神之情狀. | ||
− | 176 여기서 말하는 귀신론이 과연 공자가 가졌던 귀신에 대한 생각과 일치하는 것이냐 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없지는 않다.『論語』에서 보인 공자의 입장과는 다르므 로 이를 두고 일반적으로 공자를 가탁한 후세의 논설로 간주한다. 한국 사상사 연 구회 ,『조선 유학의 개념들』, | + | 176 여기서 말하는 귀신론이 과연 공자가 가졌던 귀신에 대한 생각과 일치하는 것이냐 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없지는 않다.『論語』에서 보인 공자의 입장과는 다르므 로 이를 두고 일반적으로 공자를 가탁한 후세의 논설로 간주한다. 한국 사상사 연 구회 ,『조선 유학의 개념들』, |
+ | |||
+ | ==기여== | ||
+ | *[[장지아]] : 최초 작성 | ||
+ | |||
+ | [[분류:인문정보학입문2017]] | ||
+ | [[분류: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 ||
+ | [[분류:문헌]] | ||
+ | [[분류:장지아]] | ||
+ | |||
+ | {{온톨로지/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
2017년 6월 21일 (수) 07:44 기준 최신판
한대(漢代)에 성립된 것으로 보이는『禮記』「祭儀」편이나『周易』「繫辭傳」에 서는 인간이 죽은 후에 그 혼백이 무형으로 돌아가는 과정으로 귀신에 관한 글 이 보인다.
정기가 어리어 사물이 되고 혼이 유산하여 변화하니, 이로써 귀신의 정상을 알 수 있다.175
‘정기(精氣)가 어리어 사물이 된다’는 것은 무형에서 유형으로의 변화, 곧 사물의 형성 과정을 말하는 것이며, ‘혼이 유산하여 변화한다’는 것은 유형에서 무형으로 돌아가는 것을 말한다.176
그리고 한대의 왕충(王充)은『논형(論衡)』「논사(論死)」에서 사람이 죽은 뒤에는 생시(生時)의 정신이 응취(凝聚)한 대로 전생(轉生)하는 것이 아니라, 음양일기(陰陽一氣)로 흩어져 버린다고 설명함으로써 삶과 죽음에 대하여 과 학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그는 또「정귀(訂鬼)」에서 귀신은 인간의 사념의 산물이라고 하여 무귀론(無鬼論)을 전개하였다.
대체로 이 시대의 사상의 특징은 원초적인 생명 에너지로 간주되는 기(氣) 의 취산(聚散)으로 인간과 사물의 생멸을 논하는 것이었는데, 이는 중국 고대 부터 있어 온 사고로 단지 유교적 제의(祭儀)를 강화시켜 나아가는 과정에서 제사의 대상인 귀신에 대해 좀더 자세히 설명할 필요성이 제기되었기에 죽음 의 문제와 관련된 제의를 논함에 있어 기론적(氣論的) 사생관이 자연스럽게 도입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떤 면에서 기론적 사생관은『中庸』에서 이미 언급된 귀신의 실재성을 더욱 보강해 줌으로써 유교적 제의의 의미를 강화시 켰다고 할 수 있다.
노드관계 표
노드 | 관계 | 노드 |
사생관 | 은 ~켰다고 할 수 있다. | 귀신의 실재성을 더욱 보강해 줌으로써 유교적 제의의 의미를 강화시 |
사상의 특징 | 은~ 논하는 것이었다. | 원초적인 생명 에너지로 간주되는 기(氣)의 취산(聚散)으로 인간과 사물의 생멸을 |
각주
175「繫辭傳」; 精氣爲物 游魂爲辯. 是故 知鬼神之情狀.
176 여기서 말하는 귀신론이 과연 공자가 가졌던 귀신에 대한 생각과 일치하는 것이냐 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없지는 않다.『論語』에서 보인 공자의 입장과는 다르므 로 이를 두고 일반적으로 공자를 가탁한 후세의 논설로 간주한다. 한국 사상사 연 구회 ,『조선 유학의 개념들』,
기여
- 장지아 : 최초 작성
문화콘텐츠로 본 동양의 도깨비들
Class
클래스 | 노드 |
---|---|
도깨비 | 갓파, 구미호, 한국의 도깨비, 오니, 땅거미, 덴구, 여우, 여와, 저승사자, 삼신할매, 염라대왕(2), 걸귀, 놋페라보, 구로보즈, 로쿠로쿠비, 야차 |
공간 | 중국의 귀, 일본의 요괴, 도노, 일본(2017), 도쿄, 교토소탄이나리 신사, 교토 니조카와라, 오사카 코토나미 정, 도깨비 다리, 김공 선정지비, 김성수 생가, 교토, 안동하회마을, 삼매리, 곡성, 한국, 조선 |
작품 | 꼬비꼬비, 신과 함께(2017), 요괴, 별신마을각시, 센과치히로의행방불명, 천년여우여우비, 갓파쿠와여름방학, 곡성, 괴물, 이누야샤, 도깨비, 요괴인간벰, 전설의고향, 차우, 조롱박형제, 금방망이 은방망이 |
문헌 | 《서유기》, 도깨비 방망이 속의 도깨비, 혹 떼러 갔다가 혹 붙인 영감속의 도깨비, 도깨비 감투속의 도깨비, 김서방 도깨비, 도노 모노가타리, 무지나, 신설백물어, 증여리물어, 유빈호치 신문, 쿠마노의 민화, 금석 이야기, 비형랑 설화, 하세오조시, 구미호 이야기, 삼국유사, 금강설화, 조선물어집(朝鮮の物語集附俚諺) |
문콘 | 게임, 드라마, 영화, 웹툰, 애니영화, 애니시리즈 |
캐릭터 | 가오나시, 쿠, 여우비, 손오공, 퇴마사 |
시대 | 현대, 에도시대 |
Re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