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gallery> 파일:단령(이익정 1699-1782)-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jpg|이익정(1699-1782) 단령<ref>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2004) 『名選』中, p. 69....)
 
(관련 정보 : (1784))
10번째 줄: 10번째 줄:
 
<gallery>
 
<gallery>
 
파일:보양청계병.jpg|[[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br>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파일:보양청계병.jpg|[[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br>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파일:보양관1-문효세자보양청계병.png|보양관 <br>상복 흑단령 착용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파일:보양관1-문효세자보양청계병.png|[[보양관]] <br>상복 흑단령 착용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파일:시복착용자(담홍단령)4-문효세자보양청계병.png|시복 담홍단령 착용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파일:시복착용자(담홍단령)4-문효세자보양청계병.png|[[문무관]] <br>시복 담홍단령 착용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파일:시복착용자(녹단령)1-문효세자보양청계병.png|시복 청록단령 착용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파일:시복착용자(녹단령)1-문효세자보양청계병.png|[[문무관]] <br>시복 청록단령 착용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파일:내시4-문효세자보양청계병.png|내시 및 기타관원 <br>녹단령 착용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파일:내시4-문효세자보양청계병.png|[[내시]] 및 기타관원 <br>녹단령 착용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파일:서리1-문효세자 보양청계병.png|서리 <br>담홍단령 착용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
파일:서리1-문효세자 보양청계병.png|[[서리]] <br>담홍단령 착용 <br>[[문효세자 보양청계병|<문효세자 보양청계병>]]
 
</gallery>
 
</gallery>
  

2016년 12월 1일 (목) 15:11 판

  • 단령(團領)은 둥근 깃[團領]이 달린 포(袍)를 말한다.
  • 신분에 따라 사용하는 색과 재료, 단령에 부착하는 흉배의 종류를 다르게 하였다.


관련 정보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1784)

  • <문효세자 보양청계병>에서 보양관, 문무관, 내시 및 기타관원, 서리가 단령을 착용하였다.
  • 문무관(文武官)의 신분과 복장에 따라 단령의 색과 직물의 종류를 달리하여 착용하였다.
  • 단령의 받침옷으로 직령을 입었으며, 조선후기에는 겉감은 단령, 안감은 직령으로 만들어 겹쳐 바느질하는 경우가 많았다.[2]
  • 공복(公服), 상복(常服), 시복(時服) 착용시 단령을 입었다.
  • 상복(常服)의 흑단령은 당상관은 현녹색(玄綠色) 사(紗) 또는 단(緞)으로 만들며, 당하관은 저(紵) 또는 견(絹)으로 만든다고 하였다. 또한 초상화를 살펴봤을 때, 당상관은 운문(雲紋)이 있는 직물을 사용하였으며, 당하관은 운문을 사용하지 않았다.[3]
  • 조선후기 시복(時服)은 당상관은 담홍색(淡紅色) 단령을 입었으며, 당하관은 청록색(靑綠色) 단령을 입었다. 시복의 단령은 무늬가 없는 직물을 사용하였다.[4]

노드 및 관계 테이블

노드 관계 노드
내시
문무관
보양관
서리
~을 착용한다 단령
단령 ~의 구성이다 상복
시복
단령 ~와 함께 착용한다
단령 ~에 그려져 있다 <문효세자 보양청계병>
단령 ~에 기록되어 있다 경국대전
국조속오례의보서례
속대전
정조실록

Writer: 김현승

Main: 조선 후기 보양청 상견례 참여자 복식 고증 시각화


  1.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2004) 『名選』中, p. 69.
  2. 남옥(2008) 「조선 후기 복식에 나타난 합봉현상에 관한 연구 : 남자 공복과 여자 예복을 중심으로」, 『服飾』 58(9), pp. 6-8.
  3. 『續大典』 卷3 「禮典」 ′儀章′ : ″堂上三品以上……大小朝儀玄綠色紗緞. 堂下三品以下……大小朝儀玄綠色紵絹.″
  4. 『續大典』卷3「禮典」′儀章′ : ″堂上三品以上……淡紅袍.″; 『英祖實錄』 영조 33년 12월 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