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어맹자의』에서의 배움을 바탕으로 도에 이르기 위한 교육 고찰

red

Snu양소연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2월 1일 (화) 19:21 판

1. 탐구의 목적

<논어>는 ‘무엇을 배우고 익혀야 할 것인가’,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에 대한 공자의 가르침을 담고 있어 그 자체로 역사적인 교과서이자 교육이론서다. <논어>에서 공자가 삶의 철학을 제자들에게 전달하는 것을 통해 교육자의 모습을 엿볼 수 있으며, 후대의 인물들 역시 이를 통해 가르침을 받는다. 교육은 백년지대계라는 말이 무색하게 다양한 교육 이론이 범람하는 시대에 <논어>에서 나타난 교육관은 현대에 새로운 관점과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교육’이라는 키워드로 <논어>를 분석하며, 고대 유가의 교육관을 배우고 현대의 교육에 대한 통찰을 얻고자 한다.

2. 탐구의 대상

<논어>에서 나타난 교육과 학문에 대해 탐구한다. 구체적으로는 ‘學(배움)’, ‘敎(가르침)’와 ‘도(道)’를 포함한 어휘와 관련된 맥락을 데이터로 정리해, 궁극적인 목적인 도와 교육 간 관계를 대주제로 삼는다. 또한 도(道)에 다다르기 위해 배움과 가르침에 어떤 태도로 임해야하는지, 배움과 가르침이 다양한 주체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에 주목하여 <논어>를 읽고자 한다.

3. 탐구의 방법

1) 자료 수집

데이터 수집 : 동양고전 DB에서 논어집주와 맹자집주 속 ‘학(學)’, ‘교(敎)’, ‘습(習)’이 포함된 원문 및 주석을 추출하였다.

2) 자료 구체화 및 해석

데이터 구체화 : 논어집주를 바탕으로 원문에 사용된 단어의 의미 파악 후, 탐구하고자 하는 교육과 관련이 없는 구절을 삭제하였다. 해당 과정에서 ‘습’이 포함된 원문이 맥락과 맞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삭제하고 ‘학’과 ‘교’를 중심으로 구체화하였다. 같은 장 안에서 의미 단위로 끊어 구절 사이의 연결성과 교육 맥락과 연관성이 약할 경우 삭제 과정을 거쳤다.
데이터 해석 : 해당 한자어가 어떻게 사용되었는가가 맥락 파악에서 주요한 분석이었기에, 원문의 단어를 맥락 상 파악하고 속성을 부여함에 있어 수 차례의 검토를 거쳤다.
원문에서 캐릭터 및 워드 노드를 추출함에 있어서는 전체 데이터를 함께 검토하며 각 구절마다 맥락 논의 후 추출할 워드와 노드를 결정하였다. 각 구절들이 독립적인 사항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이고 선행과 후행 관계가 존재한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파트를 나누는 것이 아니라, 전체 데이터들을 함께 읽고 논의하였다. 스테이지 속성 역시 같은 방식으로 팀원 전원 전체 데이터 검토 후 각 구절의 선후 관계적인 맥락에서 결정하였다.
데이터 분류 : 긍정-부정-중립 속성의 경우 각 데이터를 나눈 후 교차 검증 및 논의를 통해 해당 구절에서 캐릭터 및 워드를 어떻게 말하는지 판단하며 구체화하였다.

3) 레퍼런스 참고

데이터 분류 : 수업의 보조 교재로 제시된 <어맹자의>를 교육의 분류 기준 설정에서 참고하였다.

4. 탐구의 과정

1) ‘학(學)’, ‘교(敎)’ 데이터 수집 및 ‘도(道)’ 선정

‘학(學)’과 ‘교(敎)’ 선정  : 교육은 배우는 과정과 가르치는 과정이 연결되어 일어나는 것으로, 배울 학과 가르칠 교를 선정하여 교육의 전반적인 흐름을 통해 논어의 교육을 알아보고자 선정하였다.
‘도(道)’ 선정  : 논어에서 말하는 올바른 배움의 궁극적인 결과가 ‘도(道)’로 가는 것임은 여러 구절을 통해 언급되었다. 자장편 제7장 ‘백공거사이성기사 군자학이치기도(百工居肆以成其事 君子學以致其道)’ 구절이 이를 잘 보여주는 부분이라 생각된다. 군자가 배움으로써 그 도에 이를 수 있다는 측면을 잘 보여주며, 이 부분은 어맹자의 권하(卷下) 학(學) 부분에서도 비슷하게 언급이 되고 있다.

 

[“인간의 성性은 유한하고 천하의 덕은 무궁하다. 유한한 인간의 성으로 무한한 천하의 덕을 다 알아 터득하려 하면 학문을 통하지 않고서는 천하제일의 총명을 가졌어도 할 수가 없다. … 학문을 그만두고 오로지 내 성性을 따르기만 하면 남의 성性을 모두 발휘하거나 천지가 만물을 낳아 키우는 일을 도와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나의 성性이라도 역시 모두 발휘할 수 없다. (각주) (이토 진사이, 2017, 122-123쪽)”]

 

따라서 배움이 없다면 도에 이를 수 없으며, 오직 배움을 통해서만 도에 이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고, 이를 중심으로 주제를 수정하였다.

2) 개념어(POSITIVE/NEGATIVE/NEUTRAL), 단계(STAGE), 주체(FIGURE) 설정

개념어 선정: 배움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추출한 구절에서 배움과 가르침의 과정과 연관성을 갖는 주요 개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해당 구절에 존재하는 ‘학’과 ‘교’와 연관성을 갖는 개념어를 논의를 통해 추출하여 해당 구절의 개념어로 설정하였다.

 

개념어 분류 기준 : 해당 개념어들이 배움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 알아보고자 분류 기준을 고민하였다. 개념어에는 배움과 가르침에서 필요한 것, 필요하지 않은 것, 때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있었고, 이를 분석하여 공자가 제시하는 올바른 배움과 가르침의 방법을 드러낼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각 개념어가 교육의 과정에서 지양되는지 지향되는지 판단하여 분류하였고, 둘 다 판단이 가능한 개념어는 중립으로 처리하여 POSITIVE/NEGATIVE/NEUTRAL로 노드를 생성하였다.

 

단계 분류  : 교육을 배움과 가르침으로 나누고 전반적인 과정을 살펴보고자, 해당 원문이 나타나는 단계를 구분하였다. 초기 단계 설정은 ‘배움의 조건, 배움의 태도, 배움의 목표, 배움의 결과, 가르침의 태도, 가르침의 목표, 가르침의 결과’로 구성하여 STAGE 노드를 생성하였다. 배움의 과정과 달리 생활 습관 등 배움의 과정에 들어가기 이전에 필요로 하는 선행 조건, 배움에 임하는 올바른 태도, 배움이 진정으로 추구하는 목표, 올바른 배움의 결과, 그리고 가르침에 임하는 올바른 태도와 가르침이 진정으로 추구하는 목표, 가르침의 결과로 기준을 나누었다. 가르침의 경우 교육자의 조건이 언급되는 바가 없었기에 스테이지로 설정하지 않았다.

 

주체 선정  : 배움과 가르침은 주체가 다르게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판단하였다. 배우는 자의 주체는 가르침을 받는 제자 혹은 학생이며, 가르치는 자는 선생으로 공자의 가르침을 담는 논어에서는 공자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해당 구절에서 언급하는 배움을 받는 주체, 가르침을 행하는 주체로 구분하여 FIGURE노드로서 정리하였다.


3) 긍정(POSITIVE)/부정(NEGATIVE)/중립(NEUTRAL) 노드 삭제, 캐릭터(CHARACTER)/워드(WORD) 노드 도입

4) 스테이지(STAGE) 수정, 문행충신(‘문(文)’, ‘행(行)’, ‘충(忠)’, ‘신(信)’) 및 속성(‘내적’, ‘외적’, ‘배움의 자세’, ‘배움의 지향’) 도입

5) 결과(도(道),부도(不道)) 구체화 및 반(反)목표 설정

6) 최종 데이터 구성

최종 데이터 구성

Node

name property detail
Part
korname 해당 편의 한글 표기
chiname 해당 편의 한자 표기
Chapter
Section "교(敎)"와 "학(學)"을 포함한 구절 중 논어에서의 교육을 드러내는 문장
korname 해당 구절의 한글 표기
chiname 해당 구절의 한자 표기
translate 해당 구절의 원문 해석
Character 논어에서의 교육에 대해 추출한 키워드 중 한 글자인 것
korname 해당 글자의 한글 표기
chiname 해당 글자의 한자 표기
stage
배움의 전제
배움의 조건
배움의 태도
배움의 목표
배움의 결과
배우지 않음의 결과
가르침의 태도
가르침의 결과
Word 논어에서의 교육에 대해 추출한 키워드 중 두 글자 이상인 것
korname 해당 단어의 한글 표기
chiname 해당 단어의 한자 표기
stage
배움의 전제
배움의 조건
배움의 태도
배움의 목표
배움의 결과
배우지 않음의 결과
가르침의 태도
가르침의 결과
Goal 추출한 키워드들의 방향성
korname 해당 Goal의 한글 표기
chiname 해당 Goal의 한자 표기
whathow
배움의 지향
배움의 태도
selfother
내적
외적
meaning 해당 Goal의 의미 (<어맹자의> 참고)
Antigoal 추출한 키워드들의 방향성 (교육에 대해 그릇된 방향성)
korname 해당 Antigoal의 한글 표기
chiname 해당 Antigoal의 한자 표기
Result 추출한 키워드의 최종 도달 지점
korname 해당 Result의 한글 표기
chiname 해당 Result의 한자 표기

데이터 편찬 과정 중에 삭제한 Node

Edge

Source name Target name Ralation
isPartOf Part Chapter
contains Chapter Section
Section Character says
saysYes
saysNo
Section Word saysYes
saysNo
leadsTo Character Goal
leadsTo Word Goal
leadsTo Character Antigoal
leadsTo Word Antigoal
resultIn Goal Result
resultIn Antigoal Result

5. 결과 및 시사점

쿼리 시연

CALL db.schema.visualization()
E1.png
match (a:Section)-[r1:saysYes]-> (b) - [r2:leadsTo] -> (c:Goal) - [r3:resultsIn] -> (d) return a,r1,b,r2,c,r3,d
E2.png
match (a:Section)-[r1:saysNo]-> (b) - [r2:leadsTo] -> (c:AntiGoal) - [r3:resultsIn] -> (d) return a,r1,b,r2,c,r3,d
E3.png
match (a) - [r1] -> (b) - [r2:leadsTo] -> (c) return a,r1,b,r2,c
E4.png
match (a) - [r1] -> (b) - [r2:leadsTo] -> (c) where b.korname="호학" return a,r1,b,r2,c
E5.png
match (a) - [r1] -> (b) - [r2:leadsTo] -> (c) where b.korname="녹" return a,r1,b,r2,c
E6.png
match (a) - [r1] -> (b) - [r2:leadsTo] -> (c) where b.name="사(思)" return a,r1,b,r2,c
E7-1.png
match (a) - [r1] -> (b) - [r2:leadsTo] -> (c) where c.name="행(行)" or c.name="오학(誤學)" return a,r1,b,r2,c
E8.png
match (a) - [r1] -> (b) - [r2:leadsTo] -> (c) where c.name="문(文)" or c.name="오학(誤學)" return a,r1,b,r2,c
E9.png
match (a) - [r1] -> (b) - [r2:leadsTo] -> (c) where a.gid="SE042" return a,b,c
E10.png
match (a:Goal) <-[r:leadsTo] - (b) return a.name, count(a)
E11.png
match (a:AntiGoal) <-[r:leadsTo] - (b) return a.name, count(a)
E12.png
match (a) <-[r:leadsTo] - (b) return b.stage, count(b)
E13-1.png
match (a:Goal) <-[r:leadsTo] - (b) return a.name, b.stage, count(b)
E14-1.png
match (a:AntiGoal) <-[r:leadsTo] - (b) return a.name, b.stage, count(b)
E15-1.png
match (a) - [r1] -> (b) - [r2:saysYes] -> (c) - [r3] -> (d:Goal) where d.whathow = '배움의 지향' return a,b,c,d
E16.png
match (a)-[r1] -> (b) - [r2:leadsTo] -> (c) - [r3] -> (d{korname:'도'}) where b.stage="배움의 자세" return a,r1,b,r2,c,r3,d
E17-1.png
match (a)-[r1] -> (b) - [r2:leadsTo] -> (c) - [r3] -> (d{korname:'도'}) where b.stage="가르침의 태도" or b.stage="가르침의 결과" return a,r1,b,r2,c,r3,d
E18-1.png
match (a)- [r1]->(b)-[r2]->(c)-[r3]->(d)-[r4]->(e{korname:"도"}) return a,r1,b,r2,c,r3,d,r4,e
E19.png
match (a)- [r1]->(b)-[r2]->(c)-[r3]->(d)-[r4]->(e{korname:"부도"}) return a,r1,b,r2,c,r3,d,r4,e
E20.png
match (a) return a
E21.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