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sinsaAndJosasichaldan
red
목차
연구 개요
기초 자료 목록
○ 시기: 1876년(1차수신사), 1880년(2차수신사), 1881년(조사시찰단), 1881년(3차수신사), 1882년(4차수신사), 1884년(5차수신사)
○ 유형: 보고서, 사행록, 서간, 신문, 외교문서, 운문, 잡지, 필담록, 기타
연번 | 자료명 | 편저자 | 시기 | 유형 | 번역자 |
---|---|---|---|---|---|
T001 | 각항세관직제 (各港稅關職制) |
이헌영 (李𨯶永)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윤현숙 |
T002 | 경상도동래암행어사심상학계본 (慶尙道東萊暗行御史沈相學啓本) |
심상학 (沈相學)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류인태 |
T003 | 공부성 (工部省) |
강문형 (姜文馨)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조기영 |
T004 | 국서계하책 (國書啓下冊) |
승문원 (承文院) |
기타 | 외교문서 | 류인태 |
T005 | 나가사키현 세관규식초 (長崎縣稅關規式抄) |
이헌영 (李𨯶永)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김우정 |
T006 | 담초 (談草) |
어윤중 (魚允中) |
1881년 (조사시찰단) |
필담록 | 김기엽 |
T007 | 대청흠사필담록 (大淸欽使筆談錄) |
김홍집 (金弘集) |
1880년 (2차 수신사) |
필담록 | 윤현숙 |
T008 | 동양신보 (東洋新報) |
동양신보사 (東洋新報社) |
1882년 (4차 수신사) |
신문 | 이효정 |
T009 | 도쿄니치니치신문 (東京日日新聞) |
도쿄니치니치신문사 (東京日日新聞社) |
1876년 (1차 수신사) |
신문 | 이효정 |
T010 | 도쿄아케보노신문 (東京曙新聞) |
도쿄아케보노신문사 (東京曙新聞社) |
기타 | 신문 | 이효정 |
T011 | 도쿄에이리신문 (東京繪入新聞) |
도쿄에이리신문사 (東京繪入新聞社) |
기타 | 신문 | 이효정 |
T012 | 도쿠노료스케 관계문서 (得能良介關係文書) |
- | 1881년 (조사시찰단) |
서간 | 윤찬호 |
T013 | 동경일기 (東京日記) |
송헌빈 (宋憲斌) |
1881년 (조사시찰단) |
사행록 | 박혜민 |
T014 | 동도일사 (東渡日史) |
박상식 (朴祥植) |
1880년 (2차 수신사) |
사행록 | 장진엽 |
T015 | 동문휘고 부편 (同文彙考 附編) |
- | 기타 | 외교문서 | 류인태 |
T016 | 동사만록 (東槎漫錄) |
박대양 (朴戴陽) |
1884년 (5차 수신사) |
사행록 | 장진엽 |
T017 | 동유속초 (東游續草) |
강위 (姜瑋) |
기타 | 운문 | 최이호 |
T018 | 동유초 (東游草) |
강위 (姜瑋) |
1880년 (2차 수신사) |
운문 | 최이호 |
T019 | 동행일록 (東行日錄) |
민건호 (閔建鎬) |
1881년 (3차 수신사) |
사행록 | 류종수 |
T020 | 문견사건_강문형 (聞見事件_姜文馨) |
강문형 (姜文馨)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장진엽 |
T021 | 문견사건_민종묵 (聞見事件_閔種默) |
민종묵 (閔種默)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장진엽 |
T022 | 문견사건_엄세영 (聞見事件_嚴世永) |
엄세영 (嚴世永)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이주해 |
T023 | 문견사건_조준영 (聞見事件_趙準永) |
조준영 (趙準永)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김동석 |
T024 | 문부성 소할목록 (文部省 所轄目錄) |
조준영 (趙準永)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조기영 |
T025 | 미시마주슈 시전석 (三島中洲詩全釋) |
미시마 쓰요시 (三島毅) |
기타 | 운문 | 최이호 |
T026 | 미시마_가와키타_최성대 필담록 (三島川北崔成大 筆談錄) |
미시마 쓰요시 (三島毅) |
1881년 (조사시찰단) |
필담록 | 이효정 |
T027 | 미야지마세이이치로 관계문서 (宮島誠一郞關係文書) |
- | 1881년 (조사시찰단) |
서간 | 윤찬호 |
T028 | 사화기략 (使和記略) |
박영효 (朴泳孝) |
1882년 (4차 수신사) |
사행록 | 이효정 |
T029 | 산조 사네토미 관계문서 (三條實美關係文書) |
- | 1881년 (3차 수신사) |
서간 | 황수연 |
T030 | 수문록 (隨聞錄) |
어윤중 (魚允中) |
1881년 (조사시찰단) |
기타 | 최이호 |
T031 | 수신사별단 (修信使別單) |
김홍집 (金弘集) |
1880년 (2차 수신사) |
보고서 | 류인태 |
T032 | 수신사일기 (修信使日記) |
김기수 (金綺秀) |
1876년 (1차 수신사) |
사행록 | 이혜인 |
T033 | 스에마쓰지로 필담록 (末松二郞筆談錄) |
스에마쓰 지로 (末松二郞) |
1881년 (조사시찰단) |
필담록 | 류진희 |
T034 | 외무성 (外務省) |
심상학 (沈相學)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이상욱, 정재호 |
T035 | 일본외무성소장사무초략 (日本外務省所掌事務抄略) |
심상학 (沈相學) |
1881년 (3차 수신사) |
기타 | 윤현숙 |
T036 | 요미우리신문 (讀賣新聞) |
요미우리신문사 (讀賣新聞社) |
기타 | 신문 | 이효정 |
T037 | 요코하마마이니치신문 (橫濱每日新聞) |
요코하마마이니치신문사 (橫濱每日新聞社) |
기타 | 신문 | 이효정 |
T038 | 유빈호치신문 (郵便報知新聞) |
유빈호치신문사 (郵便報知新聞社) |
기타 | 신문 | 이효정 |
T039 | 이노우에가오루 관계문서 (井上馨關係文書) |
- | 1881년 (조사시찰단) |
서간 | 윤찬호 |
T040 | 이로하신문 (いろは新聞) |
이로하신문사 (いろは新聞社) |
기타 | 신문 | 이효정 |
T041 | 일동기유 (日東記游) |
김기수 (金綺秀) |
1876년 (1차 수신사) |
사행록 | 구지현 |
T042 | 일동록 (日東錄) |
강진형 (姜晉馨) |
1881년 (조사시찰단) |
사행록 | 구지현 |
T043 | 일본각국조약 (日本各國條約) |
민종묵 (閔種默)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윤현숙, 정재호, 강창규, 전송희, 정문채 |
T044 | 일본공문서관자료 (日本公文書館資料) |
- | 기타 | 기타 | 이효정 |
T045 | 일본대장성직제사무장성 (日本大藏省職制事務章程) |
어윤중 (魚允中)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황수연 |
T046 | 일본문견사건초 (日本聞見事件草) |
심상학 (沈相學)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황수연 |
T047 | 일본사법성시찰기 (日本司法省視察記) |
엄세영 (嚴世永)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강혜종, 류종수, 이주해, 조기영, 김동석 |
T048 | 일본육군조전 (日本陸軍操典) |
이원회 (李元會)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윤현숙, 권진호, 김동석 |
T049 | 일본육군총제 (日本陸軍總制) |
홍영식 (洪英植)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윤현숙 |
T050 | 일본국내무성각국규칙 (日本國內務省各局規則) |
박정양 (朴定陽)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권순철 |
T051 | 일본국내무성직장사무 전 부농상무성 (日本國內務省職掌事務 全 附農商務省) |
박정양 (朴定陽)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정재호 |
T052 | 일본국농상무성각국규칙 (日本國農商務省各局規則) |
박정양 (朴定陽)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최이호 |
T053 | 일본국문견조건 (日本國聞見條件) |
박정양 (朴定陽)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유종수 |
T054 | 일사집략 (日槎集略) |
이헌영 (李𨯶永) |
1881년 (조사시찰단) |
사행록 | 권영대, 문선규, 이민수 |
T055 | 재정견문 (財政見聞) |
어윤중 (魚允中)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황수연 |
T056 | 조선국수출입반년표 (朝鮮國輸出入半年表) |
이헌영 (李𨯶永) |
1881년 (조사시찰단) |
보고서 | 윤현숙 |
T057 | 조선국수신사김도원관계집 (朝鮮國修信使金道園關係集) |
김홍집 (金弘集) |
1880년 (2차 수신사) |
기타 | 최이호 |
T058 | 조선응접기사 (朝鮮應接紀事) |
소가 소하치로 (蘇我總八郞) |
1876년 (1차 수신사) |
기타 | 조영심 |
T059 | 조선책략 (朝鮮策略) |
황준헌 (黃遵憲) |
1880년 (2차 수신사) |
기타 | 윤현숙 |
T060 | 아사노신문 (朝野新聞) |
아사노신문사 (朝野新聞社) |
기타 | 신문 | 이효정 |
T061 | 조일세의 (朝日稅議) |
조병호 (趙秉鎬) |
1881년 (3차 수신사) |
외교문서 | 류인태 |
T062 | 종정연표 (從政年表) |
어윤중 (魚允中) |
1881년 (조사시찰단) |
사행록 | 장진엽 |
T063 | 종환일기 (從宦日記) |
박정양 (朴定陽) |
1881년 (조사시찰단) |
사행록 | 장진엽 |
T064 | 지유신문 (自由新聞) |
지유신문사 (自由新聞社) |
기타 | 신문 | 이효정 |
T065 | 지지신보 (時事新報) |
지지신보사 (時事新報社) |
기타 | 신문 | 이효정 |
T066 | 창사기행 (滄槎紀行) |
안광묵 (安光默) |
1876년 (1차 수신사) |
사행록 | 구지현 |
T067 | 하사부사요시모토 관계문서 (花房義質關係文書) |
- | 기타 | 서간 | 윤찬호 |
T068 | 학명첩 (鶴鳴帖) |
쓰루타 히토시 (鶴田斌) |
1881년 (조사시찰단) |
운문 | 최이호 |
T069 | 항한필휴 (航韓必携) |
사카다 모로토 (坂田諸遠) |
1876년 (1차 수신사) |
사행록 | 이효정 |
T070 | 흥아회보고 (興亞會報告) |
- | 기타 | 잡지 | 최이호 |
T071 | 근대한국외교문서 | - | 기타 | 외교문서 | 정재호 |
T072 | The Illustrated London News | - | 기타 | 신문 | 이효정 |
T073 | 근사평론 (近事評論) |
- | 1876년 (1차 수신사) |
기타 | 이효정 |
T074 | 농정신편 (農政新編) |
안종수 (安宗洙) |
1881년 (조사시찰단) |
기타 | 조혜 |
연구사 정리
학술논문 목록
○ 수신사 및 조사시찰단 관련 '기록'과 '인물' 그리고 '활동(사건)'을 대상으로 한 학술논문 정리.
연번 | 논문명 | 학술지〔학회〕 | 권호 | 발표연도 | 연구자 |
---|---|---|---|---|---|
A001 | 「農政新編」에 對하여 | 역사학보 〔역사학회〕 |
37 | 1968 | 이광린 |
A002 | 丙子修信使 金綺秀使行考 -그의 著 『日東記遊』의 검토와 관련하여- |
대구사학 〔대구사학회〕 |
1 | 1969 | 조항래 |
A003 | 日本修信使의 新聞明語彙 接觸 | 어문학논총 〔국민대 어문학연구소〕 |
7 | 1988 | 송민 |
A004 | 1881년 朝士視察團의 明治 日本政治制度 理解 -朴定陽의 外務省 『視察記』와 『見聞事件』類 등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 〔한국사연구회〕 |
86 | 1994 | 허동현 |
A005 | 1881年 朝士視察團의 日本 軍事制度 認識 -洪英植의 『日本陸軍總制』와 李元會의 『日本陸軍操典』을 中心으로- |
아태연구 〔경희대 아태지역연구원〕 |
5 | 1995 | 허동현 |
A006 | 1881年 朝士 魚允中의 日本 經濟政策 認識 -『財政見聞』등을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 〔한국사연구회〕 |
93 | 1996 | 허동현 |
A007 | 『사화기략』(1882) 연구 | 사총 〔고대사학회〕 |
50 | 1999 | 최덕수 |
A008 | 조선의 近代使節制度 수용 -公使의 서울주재와 全權委任을 중심으로 |
국제정치논총 〔한국국제정치학회〕 |
40 | 2000 | 김수암 |
A009 | 개항기 수신사의 일본 인식 | 한일공동연구총서 〔고려대 아세아문화연구소〕 |
3 | 2000 | 하우봉 |
A010 | 19세기 말 조선의 ‘franchise’(參政權) 개념에 대한 인식과 수용 | 한국정치학회보 〔한국정치학회〕 |
35 | 2001 | 김석근 조진만 |
A011 | 『조선 고종대 일본각국조약』(민종묵 편)의 편찬목적과 성격에 대한 고찰 | 서울국제법연구 〔서울국제법연구원〕 |
8 | 2001 | 윤정 |
A012 | 姜瑋의 對日開國論과 그 性格 -강화도조약 체결을 중심으로 |
한국근현대사연구 〔한국근현대사학회〕 |
19 | 2001 | 이헌주 |
A013 | 철도의 근대성 -「경부철도노래」와 「세계일주가」를 중심으로 |
돈암어문학 〔돈암어문학회〕 |
15 | 2002 | 김동식 |
A014 | 朝士視察團(1881)의 일본 경험에 보이는 근대의 특성 | 한국사상사학 〔한국사상사학회〕 |
19 | 2002 | 허동현 |
A015 | 19세기말 한일 양어의 접촉과 교류에 대하여 -이헌영의 『일사집략』을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연구 〔일어일문학회〕 |
46 | 2003 | 이한변 |
A016 | 로쿠메이칸(鹿鳴館)의 유학자 -박대양(朴戴陽)의 『東槎漫錄』과 메이지 일본의 표상 내셔날리즘 |
상허학보 〔상허학회〕 |
11 | 2003 | 황호덕 |
A017 | 근대 네이션과 그 재현 양식들 -박영효 『사화기략』의 구어 상황과 국가 표상- |
한국사상과 문화 〔한국사상문화학회〕 |
19 | 2003 | 황호덕 |
A018 | 개항기 조선정부의 대일유학정책 | 한국근현대사연구 〔한국근현대사학회〕 |
29 | 2004 | 김기주 |
A019 | 개화기 조선 문사의 일본 문물 체험과 일본 인식 -박대양의 『동사만록』을 중심으로- |
동양고전연구 〔동양고전학회〕 |
23 | 2005 | 김남이 |
A020 | 1880년대 초반 姜瑋의 聯美自强論 | 한국근현대사연구 〔한국근현대사학회〕 |
39 | 2006 | 이헌주 |
A021 | 제2차 修信使의 활동과 『朝鮮策略』의 도입 | 한국사학보 〔고려사학회〕 |
25 | 2006 | 이헌주 |
A022 | 제1차 수신사(1876) 김기수의 견문활동과 그 의의 | 한국사상사학 〔한국사상사학회〕 |
27 | 2006 | 한철호 |
A023 | 김기수의 『일동기유(日東記游)』에 나타난 대외 공간 인식 연구 | 고전문학과 교육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14 | 2007 | 배수찬 |
A024 | 동서양 박물관 명칭의 어원과 그 교육적 함의 | 박물관교육연구 〔한국박물관교육학회〕 |
1 | 2007 | 서원주 |
A025 | 근대 사법제도 성립사 비교연구 -우리 법원조직 법제의 초기 형성- |
법조 〔법조협회〕 |
56 | 2007 | 신우철 |
A026 | 1876년 修信使연구 -高宗의 舊好回復論을 중심으로- |
한일관계사연구 〔한일관계사학회〕 |
27 | 2007 | 이와카타 히사히코 |
A027 | 사행록의 역사적 전개와 『일동기유』 | 열상고전연구 〔열상고전연구회〕 |
26 | 2007 | 정훈식 |
A028 | 財政史의 각도에서 다시 보는 〈朝淸商民水陸貿易章程〉(1882) | 역사문화연구 〔한국외대 역사문화연구소〕 |
30 | 2008 | 문명기 |
A029 | 개화기 朴泳孝의 『使和記略』에 나타난 일본 인식 | 한국학논집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
44 | 2008 | 한철호 |
A030 | 19세기 개화파의 농서 간행과 보급의 의의 -안종수(安宗洙)의 『농정신편(農政新編)』을 중심으로- |
농업사연구 〔한국농업사학회〕 |
8 | 2009 | 이선아 |
A031 | 1880년대 전반 조선 개화지식인들의 ‘아시아 연대론’인식 연구 | 동북아역사논총 〔동북아역사재단〕 |
23 | 2009 | 이헌주 |
A032 | 黃遵憲의 『朝鮮策略』에 나타난 朝鮮自强策과 ‘地域’의식 | 동양고전연구 〔동양고전학회〕 |
40 | 2010 | 김수자 |
A033 | 1880년대 문명 개념의 수용과 문명론의 전개 | 한국문화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49 | 2010 | 노대환 |
A034 | 1883년 김옥균 차관교섭의 의미와 한계 | 한국근현대사연구 〔한국근현대사학회〕 |
54 | 2010 | 유바다 |
A035 | 1881년 조사시찰단의 필담 기록에 보이는 한일 교류의 한 양상 | 한국문학논총 〔한국문학회〕 |
56 | 2010 | 이효정 |
A036 | 조선사절이 본 메이지(明治) 일본 -김기수의 『일동기유』를 중심으로 | 일본문화학보 〔한국일본문화학회〕 |
45 | 2010 | 정응수 |
A037 | 수신사행록과 근대전환기 일본지식의 재구성 | 한국문학논총 〔한국문학회〕 |
56 | 2010 | 정훈식 |
A038 | 장서각 소장자료 『談草』를 통해 본 魚允中의 개화사상 | 장서각 〔한국학중앙연구원〕 |
23 | 2010 | 한임선 |
A039 | 1878년 두모진 수세를 둘러싼 조일 양국의 인식과 대응 | 한일관계사연구 〔한일관계사학회〕 |
39 | 2011 | 박한민 |
A040 | 개항기 한국인의 공원관 형성 | 한국조경학회지 〔한국조경학회〕 |
39 | 2011 | 우연주 배정한 |
A041 | 제1차 수신사 김기수가 경험한 근대 일본의 외교의례와 연회 | 조선시대사학보 〔조선시대사학회〕 |
59 | 2011 | 이정희 |
A042 | 紳士遊覽團 使行錄에 반영된 한일문화교류 -『日槎集略』과 『東行日録』을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 〔대한일어일문학회〕 |
52 | 2011 | 한태문 |
A043 | 수신사를 통해 본 개화기 한시의 위상 -제1·2차 수신사의 창수시를 중심으로 |
동북아문화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28 | 2011 | 허경진 조영심 |
A044 | 1880년 제2차 修信使의 鄕書記 朴祥植의 사행일기 「東渡日史」 | 서지학연구 〔한국서지학회〕 |
51 | 2012 | 김동철 |
A045 | 한국 근대경찰의 창설배경과 조직에 관한 연구 | 한국경찰연구 〔한국경찰연구학회〕 |
11 | 2012 | 김창윤 |
A046 | 19세기 말 조선 외교관의 근대 일본의 도시체험과 그 서술의 특징 -〈유일록〉을 중심으로- |
한국시가연구 〔한국시가학회〕 |
32 | 2012 | 정인숙 |
A047 | 개항장 釜山에서 閔建鎬가 경험한 음력과 양력 | 한일관계사연구 〔한일관계사학회〕 |
46 | 2013 | 김동철 |
A048 | 근대 전환기 조선 왕실에 유입된 일본 자수 병풍 | 미술사논단 〔한국미술연구소〕 |
36 | 2013 | 김수진 |
A049 | 이헌영의 정보 획득 전략과 근대 일본의 形象化 -『日槎集略』 問答錄을 中心으로- |
국학연구논총 〔택민국학연구원〕 |
11 | 2013 | 박탄 |
A050 | ‘동아시아사로서의 한국사’를 보는 방법 -제국과 근대국가 그리고 지역- |
동북아역사논총 〔동북아역사재단〕 |
40 | 2013 | 윤해동 |
A051 | 근대이행기 건축법의 도입 과정 연구 |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대한건축학회〕 |
29 | 2013 | 이규철 |
A052 | 19세기 말의 한러관계와 〈俄國輿地圖〉 | 장서각 〔한국학중앙연구원〕 |
29 | 2013 | 이민원 |
A053 | 19세기 말~20세기 초 조선과 동아시아 설탕무역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75 | 2013 | 이은희 |
A054 | 歷史에서 본 韓日關係와 文明轉換 | 역사교육 〔역사교육연구회〕 |
128 | 2013 | 정재정 |
A055 | 19세기 말 조선에서의 외국인 고문관 활동 -묄렌도르프의 활동과 한계성- |
서양역사와문화연구 〔한국세계문화사학회〕 |
28 | 2013 | 최선아 |
A056 | 19세기 말 근대적 조직(組織) 개념의 수용과 조직의 탄생 -일본 중국과의 비교 |
사회와역사 〔한국사회사학회〕 |
102 | 2014 | 김필동 |
A057 | 黃遵憲의 『朝鮮策略』과 ‘아시아주의’ | 동양사학연구 〔동양사학회〕 |
127 | 2014 | 배경한 |
A058 | 1880년대 고종의 권농책과 서양농법 도입 논의 | 역사문화연구 〔한국외대 역사문화연구소〕 |
51 | 2014 | 염정섭 |
A059 | 근대적 전환기 일본의 '아시아연대론'에 대한 한국의 인지적 대응 -국권 인식을 중심으로 |
동아연구 〔서강대 동아연구소〕 |
67 | 2014 | 전상숙 |
A060 | 수신사 및 조사시찰단 기록의 범주와 유형 | 동북아문화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45 | 2015 | 이효정 |
A061 | 조선 수신사가 본 메이지 일본 여성 -『일동기유』와 『동사만록』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논총 〔한국문학회〕 |
69 | 2015 | 이효정 |
A062 | 디지털 환경에서의 인문 지식 연구에 관한 소고 -修信使 자료 DB 편찬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
열상고전연구 〔열상고전연구회〕 |
50 | 2016 | 류인태 |
A063 | 제2차 수신사의 일본 견문 태도와 교류의 실제 | 열상고전연구 〔열상고전연구회〕 |
51 | 2016 | 이효정 |
A064 | 통신사에서 수신사로의 변화(일본어) | 열상고전연구 〔열상고전연구회〕 |
2016 | 다카하시 히로미 | |
A065 | 수신사(修信使)에 대한 조선과 일본의 태도 차이 | 열상고전연구 〔열상고전연구회〕 |
53 | 2016 | 허경진 |
A066 | 1881년 조사시찰단의 일본을 바라보는 시선 차이 -『日東録』, 『東行日録』, 『東京日記』를 비교하며 |
열상고전연구 〔열상고전연구회〕 |
53 | 2016 | 문순희 |
A067 | 19세기 말 『各國約章合編』의 간행과 지방반포에 대한 고찰 | 서지학연구 〔한국서지학회〕 |
66 | 2016 | 유미영 |
A068 | 1880년대 조선정부의 농업정책 | 한국학연구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
40 | 2016 | 이영학 |
A069 | 19세기 말 조선 시대 사회 변동과 집합 의식 변화 -‘제의 공동체’에서 ‘담론 공동체’로 |
현상과인식 〔한국인문사회과학회〕 |
40 | 2016 | 임영빈 |
A070 | 朴祥植《東渡日史》所載漢詩硏究 (중국어) | 중국어문논총 〔중국어문연구회〕 |
75 | 2016 | 초대평 |
A071 | 일본의 아시아주의와 조선인의 반응 -흥아회를 중심으로- |
사림 〔수선사학회〕 |
56 | 2016 | 최종길 |
A072 | 근대 계몽기 전문 용어의 수용과 생성 과정 연구 -생물학 담론을 중심으로- |
한말연구 〔한말연구학회〕 |
42 | 2016 | 허재영 |
A073 | 제1차 수신사(修信使) 사행(使行)의 성격 -일본 외무성 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사론 〔서울대 국사학과〕 |
63 | 2017 | 김선영 |
A074 | 박영효의 가풍과 초기 개혁사업의 실상 | 숭실사학 〔숭실사학회〕 |
38 | 2017 | 장영숙 |
A075 | 『항한필휴(航韓必携)』에 보이는 제1차 수신사의 모습 | 동북아문화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51 | 2017 | 이효정 |
A076 | 19세기 후반 조선 지식인의 독립 국가 지향 -박영효의 『사화기략(使和記略)』을 중심으로- |
고전문학연구 〔한국고전문학회〕 |
52 | 2017 | 이효정 |
A077 | 근대 계몽기 개념어 형성과 변화 과정 연구 -사회학 용어를 중심으로- |
한말연구 〔한말연구학회〕 |
46 | 2017 | 허재영 |
A078 | 제1차 修信使行의 외교사적 위치 | 한일관계사연구 〔한일관계사학회〕 |
56 | 2017 | 현명철 |
A079 | 통신사(通信使)의 전통에서 본 수신사(修信使) 기록의 특성 -제1차 수신사 기록을 중심으로- |
열상고전연구 〔열상고전연구회〕 |
59 | 2017 | 구지현 |
A080 | 『修信使日記』의 체재와 내용 연구 | 열상고전연구 〔열상고전연구회〕 |
59 | 2017 | 문순희 |
A081 | 일본 근대 履行期의 형법 -『日本司法省視察記』의 「新律綱領」과 「改正律例撮要」를 중심으로- |
열상고전연구 〔열상고전연구회〕 |
59 | 2017 | 김동석 |
A082 | 1881년 조사시찰단의 보고서 작성 방식과 그 의미 | 열상고전연구 〔열상고전연구회〕 |
59 | 2017 | 윤현숙 |
A083 | 『동도일사(東渡日史)』를 통해 본 19세기 말 향촌 지식인의 동아시아 인식 | 열상고전연구 〔열상고전연구회〕 |
59 | 2017 | 장진엽 |
A084 | 갑오개혁 이전 ‘고등교육(Higher Education)’에 대한 조선인의 인식의 수용 과정에 관한 연구 |
교육사학연구 〔교육사학회〕 |
28 | 2018 | 김자중 |
A085 | 대한제국기 유기환(兪箕煥)의 정치활동과 비밀외교 | 사림 〔수선사학회〕 |
64 | 2018 | 민회수 |
A086 | 19세기 말 한국에서의 ‘外交’ 용어의 활용 양상 | 진단학보 〔진단학회〕 |
131 | 2018 | 민회수 |
A087 | 『公私問答錄』을 통해 본 2차 수신사의 활동 | 진단학보 〔진단학회〕 |
131 | 2018 | 박한민 |
A088 | 1881년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 문견 기록의 글쓰기 양상 | 열상고전연구 〔열상고전연구회〕 |
66 | 2018 | 윤현숙 |
A098 | 근대전환기 조선인의 메이지(明治) 일본 견문 | 국어국문학 〔국어국문학회〕 |
184 | 2018 | 이효정 |
A090 | 19세기 말 메이지 일본 신문에 드러난 조선 사절단의 모습 | 동북아문화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57 | 2018 | 이효정 |
A091 | 19세기 후반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을 통한 지식·문화 교류의 한 양상 -『스에마츠 지로 필담록(末松二郞筆談錄)』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회 〔한국문학논총〕 |
78 | 2018 | 이효정 |
A092 | 19세기 말 조선에 대한 일본 외교관의 이미지와 인식 -곤도 마스키(近藤真鋤)의 『눌헌유고(訥軒遺稿)』를 중심으로- |
한국학 〔한국학중앙연구원〕 |
41 | 2018 | 김성현 |
A093 | 1881년 어윤중이 쓴 「담초(談草)」의 특징과 대담에 나타난 한·중·일의 정세 | 한국학 〔한국학중앙연구원〕 |
41 | 2018 | 김기엽 |
A094 |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체결 당시 미국의 ‘공평함’이 갖는 함의 -조선의 관세자주권 확보 시도와 좌절을 중심으로- |
전북사학 〔전북사학회〕 |
52 | 2018 | 한승훈 |
A095 | 개화기 조선의 근대화와 관련된 조선과 일본의 인적 및 지식교류 연구현황 분석 |
동북아문화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1 | 2019 | 공미희 |
A096 | 「東遊艸」로 보는 강위의 수신사 사행과 일본 인식 | 열상고전연구 〔열상고전연구회〕 |
67 | 2019 | 문순희 |
A097 | 1883년 조일통상장정 체결과 각국의 대응 | 역사와경계 〔부산경남사학회〕 |
111 | 2019 | 박한민 |
A098 | 조선의 對日사절 파견과 대응양상의 변화(1876-1885) -흠차대신 파견을 중심으로- |
한국사학보 〔고려사학회〕 |
77 | 2019 | 박한민 |
A099 | 사이토 슈이치로(齋藤修一郎)의 조선 파견과 활동 | 한국사연구 〔한국사연구회〕 |
185 | 2019 | 박한민 |
A100 | 『東京日記』의 필사본 현황 재고 | 동방한문학 〔동방한문학회〕 |
79 | 2019 | 박혜민 |
A101 | 19세기 말 江南機器製造總局 출간 서적의 국내 유입 양상 | 인문사회과학연구 〔부경대 인문사회과학연구소〕 |
20 | 2019 | 윤지양 |
A102 | 19세기말 조선의 근대 외교질서 수용의 한 양상 -대일(對日) 사절단의 명칭과 사행원역의 변화를 중심으로- |
한국학논집 〔계명대 한국학연구원〕 |
74 | 2019 | 이효정 |
A103 | 1881년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 수행원 강진형의 『일동록(日東錄)』 연구 | 한국민족문화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
73 | 2019 | 이효정 |
A104 | 조선시대 漢文筆談 기록의 유형에 대한 試論 -韓·中·日 삼국의 연구동향과 관련하여 |
한문학논집 〔근역한문학회〕 |
54 | 2019 | 장진엽 |
A105 | 메이지의 상상, 번역어의 탄생과 한국 수용 -〔economy〕가 〔경제(經濟)〕로 번역되기까지- |
비교일본학 〔한양대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
45 | 2019 | 최경옥 |
A106 | 조선시대 대일사행과 울릉도·독도 | 독도연구 〔영남대 독도연구소〕 |
27 | 2019 | 정훈식 |
A107 | 대한제국기 사법권 독립에 대한 인식과 한계 | 한국학연구 〔고려대(세종) 한국학연구소〕 |
71 | 2019 | 최선 |
A108 | 鄭観應《易言》在朝鮮朝末期的譯介研究 | 인문학연구 〔숭실대 인문과학연구소〕 |
48 | 2019 | 王長江 |
A109 | 개항기 제 1차 수신사의 신문물 접촉양상과 근대화와의 관계 분석 | 아시아연구 〔한국아시아학회〕 |
23 | 2020 | 공미희 |
A110 | 안동 유림 李壽琰의 『疏廳日錄』을 통해 본 1881년 嶺南萬人疏의 재구성 | 서강인문논총 〔서강대 인문과학연구소〕 |
59 | 2020 | 이광우 |
A111 | 쓰시마번 조선어통사 中野許多郞의 개항 전후 활동 | 역사와경계 〔부산경남사학회〕 |
117 | 2020 | 김동철 |
A112 | 1880년대 초반 강위(姜瑋)의 일(日)·청(淸)여행과 조선 정부의 개화정책 | 한문학보 〔우리한문학회〕 |
43 | 2020 | 이헌주 |
A113 | 조사시찰단의 보고로 본 1880년 조선의 수출입 통계 | 한일관계사연구 〔한일관계사학회〕 |
68 | 2020 | 정성일 |
A114 | 1881년 조사시찰단 사행록 검토 -송헌빈(宋憲斌)의 『동경일기(東京日記)』를 중심으로- |
동북아문화연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62 | 2020 | 이효정 |
A115 | 1881년 어윤중의 사행 기록 연구 | 열상고전연구 〔열상고전연구회〕 |
72 | 2020 | 이효정 |
연구사 데이터 편찬
노드 데이터 목록
Article (논문)
※ A001부터 A120에 이르기까지 개별 논문 하나하나가 개체 데이터가 됨.
Text (자료)
Person (인물)
Term (용어)
링크 데이터 목록
SourceID | SourceName | TargetID | TargetName | Relation |
---|---|---|---|---|
A001 | 「農政新編」에 對하여 | - | 농정신편(農政新編) | covers 〔다루다〕 |
A001 | 「農政新編」에 對하여 | - | 안종수(安宗洙) | covers 〔다루다〕 |
- | 농정신편(農政新編) | - | 안종수(安宗洙) | writer 〔저자이다〕 |
A002 | 丙子修信使 金綺秀使行考 -그의 著 『日東記遊』의 검토와 관련하여- |
- | 수신사(修信使) | covers 〔다루다〕 |
A002 | 丙子修信使 金綺秀使行考 -그의 著 『日東記遊』의 검토와 관련하여- |
- | 김기수(金綺秀) | covers 〔다루다〕 |
A002 | 丙子修信使 金綺秀使行考 -그의 著 『日東記遊』의 검토와 관련하여- |
- | 일동기유(日東記遊) | covers 〔다루다〕 |
- | 일동기유(日東記遊) | - | 김기수(金綺秀) | writer 〔저자이다〕 |
A003 | 日本修信使의 新聞明語彙 接觸 | - | 수신사(修信使) | covers 〔다루다〕 |
A003 | 日本修信使의 新聞明語彙 接觸 | - | 일동기유(日東記遊) | covers 〔다루다〕 |
A003 | 日本修信使의 新聞明語彙 接觸 | - | 일사집략(日槎集略) | covers 〔다루다〕 |
A003 | 日本修信使의 新聞明語彙 接觸 | - | 사화기략(使和記略) | covers 〔다루다〕 |
A003 | 日本修信使의 新聞明語彙 接觸 | - | 동사만록(東槎漫錄) | covers 〔다루다〕 |
- | 일사집략(日槎集略) | - | 이헌영(李𨯶永) | writer 〔저자이다〕 |
- | 사화기략(使和記略) | - | 박영효(朴泳孝) | writer 〔저자이다〕 |
- | 동사만록(東槎漫錄) | - | 박대양(朴戴陽) | writer 〔저자이다〕 |
A004 | 1881년 朝士視察團의 明治 日本政治制度 理解 -朴定陽의 外務省 『視察記』와 『見聞事件』類 등을 중심으로- |
- |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 | covers 〔다루다〕 |
A004 | 1881년 朝士視察團의 明治 日本政治制度 理解 -朴定陽의 外務省 『視察記』와 『見聞事件』類 등을 중심으로- |
- | 박정양(朴定陽) | covers 〔다루다〕 |
A004 | 1881년 朝士視察團의 明治 日本政治制度 理解 -朴定陽의 外務省 『視察記』와 『見聞事件』類 등을 중심으로- |
- | 민종묵(閔種默) | covers 〔다루다〕 |
A004 | 1881년 朝士視察團의 明治 日本政治制度 理解 -朴定陽의 外務省 『視察記』와 『見聞事件』類 등을 중심으로- |
- | 어윤중(魚允中) | covers 〔다루다〕 |
A004 | 1881년 朝士視察團의 明治 日本政治制度 理解 -朴定陽의 外務省 『視察記』와 『見聞事件』類 등을 중심으로- |
- | 일본국내무성직장사무(日本國內務省職掌事務) | covers 〔다루다〕 |
A004 | 1881년 朝士視察團의 明治 日本政治制度 理解 -朴定陽의 外務省 『視察記』와 『見聞事件』類 등을 중심으로- |
- | 일본국내무성각국규칙(日本國內務省各局規則) | covers 〔다루다〕 |
- | 일본국내무성직장사무(日本國內務省職掌事務) | - | 박정양(朴定陽) | writer 〔저자이다〕 |
- | 일본국내무성각국규칙(日本國內務省各局規則) | - | 박정양(朴定陽) | writer 〔저자이다〕 |
A005 | 1881年 朝士視察團의 日本 軍事制度 認識 -洪英植의 『日本陸軍總制』와 李元會의 『日本陸軍操典』을 中心으로- |
- |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 | covers 〔다루다〕 |
A005 | 1881年 朝士視察團의 日本 軍事制度 認識 -洪英植의 『日本陸軍總制』와 李元會의 『日本陸軍操典』을 中心으로- |
- | 일본육군총제(日本陸軍總制) | covers 〔다루다〕 |
A005 | 1881年 朝士視察團의 日本 軍事制度 認識 -洪英植의 『日本陸軍總制』와 李元會의 『日本陸軍操典』을 中心으로- |
- | 일본육군조전(日本陸軍操典) | covers 〔다루다〕 |
A005 | 1881年 朝士視察團의 日本 軍事制度 認識 -洪英植의 『日本陸軍總制』와 李元會의 『日本陸軍操典』을 中心으로- |
- | 홍영식(洪英植) | covers 〔다루다〕 |
A005 | 1881年 朝士視察團의 日本 軍事制度 認識 -洪英植의 『日本陸軍總制』와 李元會의 『日本陸軍操典』을 中心으로- |
- | 이원회(李元會) | covers 〔다루다〕 |
- | 일본육군총제(日本陸軍總制) | - | 홍영식(洪英植) | writer 〔저자이다〕 |
- | 일본육군조전(日本陸軍操典) | - | 이원회(李元會) | writer 〔저자이다〕 |
A006 | 1881年 朝士 魚允中의 日本 經濟政策 認識 -『財政見聞』등을 중심으로- |
- |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 | covers 〔다루다〕 |
A006 | 1881年 朝士 魚允中의 日本 經濟政策 認識 -『財政見聞』등을 중심으로- |
- | 재정견문(財政見聞) | covers 〔다루다〕 |
A006 | 1881年 朝士 魚允中의 日本 經濟政策 認識 -『財政見聞』등을 중심으로- |
- | 수문록(隨聞錄) | covers 〔다루다〕 |
A006 | 1881年 朝士 魚允中의 日本 經濟政策 認識 -『財政見聞』등을 중심으로- |
- | 종정연표(從政年表) | covers 〔다루다〕 |
A006 | 1881年 朝士 魚允中의 日本 經濟政策 認識 -『財政見聞』등을 중심으로- |
- | 어윤중(魚允中) | covers 〔다루다〕 |
- | 재정견문(財政見聞) | - | 어윤중(魚允中) | writer 〔저자이다〕 |
- | 수문록(隨聞錄) | - | 어윤중(魚允中) | writer 〔저자이다〕 |
- | 종정연표(從政年表) | - | 어윤중(魚允中) | writer 〔저자이다〕 |
A007 | 『사화기략』(1882) 연구 | - | 사화기략(使和記略) | covers 〔다루다〕 |
A007 | 『사화기략』(1882) 연구 | - | 박영효(朴泳孝) | covers 〔다루다〕 |
A008 | 조선의 近代使節制度 수용 -公使의 서울주재와 全權委任을 중심으로- |
- | 수신사(修信使) | covers 〔다루다〕 |
A008 | 조선의 近代使節制度 수용 -公使의 서울주재와 全權委任을 중심으로- |
- |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 | covers 〔다루다〕 |
A008 | 조선의 近代使節制度 수용 -公使의 서울주재와 全權委任을 중심으로- |
- | 조선책략(朝鮮策略) | covers 〔다루다〕 |
A008 | 조선의 近代使節制度 수용 -公使의 서울주재와 全權委任을 중심으로- |
- | 김홍집(金弘集) | covers 〔다루다〕 |
A008 | 조선의 近代使節制度 수용 -公使의 서울주재와 全權委任을 중심으로- |
- | 하나부사 요시모토(花房義質) | covers 〔다루다〕 |
A007 | 조선책략(朝鮮策略) | - | 황준헌(黃遵憲) | writer 〔저자이다〕 |
시맨틱 데이터
노드 데이터 목록
인물(Person)
공간(Location)
링크 데이터 목록
연구 결과물
</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