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oqidaAndPiaotongshi
red
목차
연구 목적
문헌 『노걸대』와 『박통사』는 각 조목마다 회화체, 즉 대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인물간의 대화를 중심으로 스토리가 전개되는 서사적 형식을 갖추고 있다. 동시에 중국어 교육을 목적으로 쓰여진 작품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서로 공유하고 있다. 문학적인 관점에서 비교한 연구들은 진행중이거나 이미 완료된 것들도 흔히 찾아 볼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 사례들에서 더 나아가 언어학적인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한다. 두 작품의 대화에서 주로 사용된 단어와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단어가 무엇인지, 그 단어 사용의 빈도수는 어떻게 되는지 텍스트 분석을 통해 분석해보고, 어법 관점에서의 서술 방식 차이, 그리고 대화 속에서 찾을 수 있는 언어 구사 수준의 차이를 연구해보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두 문헌의 목적은 중국어 회화, 언어 교육이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지만, 문헌 내에서의 언어 체계역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언어 체계 차이를 밝히고 같은 외국어 교육서이지만, 어떠한 계층, 연령대를 타겟으로 책이 쓰여진 것인지, 가능하다면 비슷한 시기에 나온 문헌임에도 불구하고 왜 타겟을 다르게 정한 것인지에 대해 추가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
이번 연구에서는 『노걸대』와 『박통사』를 중심으로 그 외 어법자료와 관련 논문, 그리고 언어학과 관련된 도서들을 참고하여 비교 연구할 것이다.
1. 『노걸대』 : 연구의 중심 자료이다.
2. 『박통사』 : 『노걸대』와 비교할 자료이다.
3. 『번역노걸대』 : 『노걸대언해』와 공통점이 많다. 번역본과 『노걸대』의 차이를 비교해보며 연구할 자료이다.
4. 『번역박통사』 : 번역본과 『박통사』의 차이를 비교해보며 연구할 자료이다.
5. 관련 논문 : 여러 관점에서 비교한 논문들을 최대한 참고하여 언어학적 관점에서 바라 본 논문을 위주로 연구할 것이다.
6. 『언어지리유형학』 : 언어 체계와 관련해서 참고할 자료이다.
7. 중국어 어법교재 : 현대 중국어와 두 문헌 속의 대화들의 차이를 비교연구할 것이다.
연구 방법
온톨로지 설계
온톨로지 다이어그램
클래스(Class)
문헌 : 노걸대와 박통사는 중국어 학습 및 교육서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비교연구가 용이하고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나올 것으로 판단되어 두 문헌을 넣게 되었다. 두 문헌을 비교연구하여, 각 문헌의 언어체계, 서술방식, 주로 쓰이는 단어, 그 단어의 빈도수를 분석하고, 두 문헌의 차이를 밝혀 문헌의 발간 목적을 연구할 것이다.
체계 : 두 문헌의 언어 서술 시스템, 즉 서술 체계와 주어 동사 목적어와 같은 어법적 체계를 비교분석하기 위함이다.
조목 : 대표적인 조목의 주요내용을 밝히기 위해 지정하였다. 서로 대화를 나누며 이야기가 전개되는 형식의 문헌이고, 조목마다 대화의 내용이 달라지므로, 조목과 공간, 대화 내용을 분석하기 위함이다.
단어 : 특정 공간에서 각 대화마다 자주 사용하는 특정단어가 존재한다. 그리고 각 문헌마다 사용되는 단어와 사용되지 않는 단어가 존재한다. 주로 공통된 단어들과 공통적이지 않은 독자적인 단어들을 분류할 것이다. 텍스트 분석의 마중물 역할을 한다.
인물 : 인물들이 다양하지는 않지만, 조목마다 계속해서 공간의 이동이 발생한다. 그 때마다 대화하는 대상도 달라질 수도 있고, 혼동이 생길 가능성이 있으므로 지정하였다.
공간 : 조목마다 다양한 공간에서의 대화가 존재한다. 공간 이동이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특정 공간에서 대화하는 어투와 단어사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함이다. 주로 어떠한 상황에서의 대화를 하고 있는 것인지에 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대화 : 위에서 조목에 대한 언급을 하였다. 조목은 큰 틀의 주제를 보여주기 위함이었고, 대화는 더 세부적이고 긴 대화 내용을 삽입하여 분석하기 위함이다.
단어분석 : 본격적으로 텍스트 분석의 결과를 도출하는 부분이다. 단어의 빈도수와 가장 많이 사용된 단어나 어법적 표현을 상위 5개를 뽑아 그 중에서 가장 많은 단어 2개를 선정할 예정이다.
속성 :
관계(Relation)
(내용 서술)
속성(Attribute)
(내용 서술)
데이터 샘플링
샘플 데이터 적용 네트워크 그래프
데이터 샘플링 결과 분석
(내용 서술)
연구 데이터
(내용 서술)
연구 결과
(내용 서술)
참고 자료
(내용 서술)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