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GeumosinhwaAndJeondeungsinhwa

red

이우경 KU2016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4월 21일 (수) 11:04 판 (관계(Relation))

한문학데이터큐레이션 강의 페이지로 가기


데이터 기반 『금오신화』와 『전등신화』 비교 연구



연구 목적

금오신화와 전등신화 사이의 연관성 시각화

1378년, 구우가 지은 전등신화는 동아시아 각 국에 영향을 주었다.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조선의 작품은, 김시습이 저술한 금오신화이다.
금오신화가 전등신화로부터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지, 어떤 점에서 유사한 지에 대해서는 수 많은 연구 논문이 있다.
그러나 이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것은 없다. 또한 논문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품들을 다 읽어보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작품 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여, 어떤 점들을 공유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

금오신화 전등신화.png
각각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장소, 문학작품 등

연구 방법

온톨로지 설계

온톨로지 다이어그램

클래스(Class)

문헌: 책(김시습이 지은 금오신화, 구우가 지은 전등신화)
작품: 각각의 문헌에 속한 작품(금오신화 - 남염부주지, 이생규장전 등)
저자: 문헌의 저자이다.(김시습, 구우)
사건: 작품 속에서 등장인물들이 겪는 사건이다. (ex 염마와의 대화, 저승구경)
행위: 해당 사건에서 등장인물이 하는 구체적인 행위이다. (ex 염마와의 대화 - 대화1, 대화2, 대화3 등)
등장인물: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이다.(ex 남염부주지 - 박생, 수문장 등)
문학작품: 작품 속에서 등장인물들이 짓는 작품이다. (ex 남염부주지 - 일리론, 선위문 등)
소재: 문학작품, 대화 등에서 사용되는 소재이다. (ex 염마와의 대화 속 주공, 공자, 귀신 등)
장소: 작품 속에서 사건이 일어나는 장소이다. (ex 남염부주지 - 경주, 남염부주 등)
공간: 장소가 가지는 성격이다. (ex 남염부주지 - 경주 -> 현실의 공간)
속성


관계(Relation)

writer 저자이다  : 문학작품 등을 지은 사람이다.
contains 수록하다  : 문헌 속에 작품이 수록되어 있는 관계이다.
appear 등장한다  : 작품 속에서 소재가 등장하거나, 인물이 등장하거나, 행위가 등장하는 것이다.
isElementOf 요소이다  : 소재가 해당 문학작품, 대화 등에 속하는 관계
takePlaceIn 에서_일어나다  : 사건이 어떤 작품에서 일어나거나, 사건이 어떤 장소에서 일어나거나.
isATypeOf 유형이다  : 장소가 어떠한 유형을 가지는 지에 대해서
mentions 언급하다 : 대화 속에서 등장인물이 해당 소재를 언급함
hasAttribute 속성을가지다  :

속성(Attribute)

(내용 서술)

데이터 샘플링

샘플 데이터 적용 네트워크 그래프

데이터 샘플링 결과 분석

(내용 서술)

연구 데이터

(내용 서술)

연구 결과

(내용 서술)

참고 자료

(내용 서술)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