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Hull Domesday Project

red

곽지은 SKKU2021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3월 25일 (목) 00:02 판 (What 무엇을)

Hull Domesday Project

Who 누가

  • Project leader
    • John Palmer
      둠즈데이인간.jpg
      • 1965-2002년에 잉글랜드 Hull 대학 역사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현재는 퇴직 후 명예교수를 역임하고 있다.
      • AHRC(Arts&Humanities Research Council) Project leader
      • Hull 대학 임용 초기에는 리처드 2세와 백년전쟁을 연구하였다.
      • 1980년대 이후 학부 학생에 적합한 강의 주제를 고려한 끝에 Domesday Book을 주로 연구.
      • Hull Domesday Project Team을 구성해 둠스데이 북 관련 데이터베이스 제작.
  • Programming Consultant
    • George Slater (Program Manager)
      • 프로젝트 당시 Hull 대학 Computer center에서 재직하였으며, 2014년 은퇴하였다.
      • Hull Domesday Project에 초기부터 25년간 참여하였다.
      • Hull Domesday Project의 백앤드 기술, 소프트웨어 제작, 데이터베이스와 텍스트 코딩 지식 제공 등 핵심적인 기술을 담당하였다.
      • 해당 웹사이트에 쓰인 백앤드 기술을 'The Hull Domesday textbase: a programmer's view', University Computing, vol. 10 (1988), 2-8.에서 공개하였다.
    • Matt Palmer
      • 초기에 UI 제작으로 참여하다, 후에 정식 인원으로 합류
      • Hull Domesday Project에 사용된 UI, 검색 엔진, 데이터 처리 유틸리티 등을 제작하였다.
  • AHRC research assistants
    • Frank Thorn
      • 라틴어와 중세학 학위 보유
      • Hull Domesday Project에 번역으로 참여
    • Caroline Thorn
      • 라틴어와 프랑스어 학위 보유
      • 지도 제작, Index 제작으로 참여
    • Dr. Natasha Hodgson
      • Hull 대학에서 박사학위 수여
      • 현재 London 대학에서 MA 과정 운영 중
      • 본문 인코딩, 진행 사항 문서화
  • Website Designer
    • Neil Goforth
      • 2003년 Hull 대학에서 Historical Computation 학위 수여
      • Domesday 웹사이트의 유지와 관리
  • Assistants
    • Peter Thorn
      • 당시 Oxford 대학에서 현대사 학위 수여
      • 현재 Guildford에서 Law Conversion course 수행
      • 노트 스캔, 문서 변환, 스캔 오류 삭제 등
    • Ellen Morgan
      • 당시 Warwick University에서 영문학 전공
      • 현재 Royal Albert Hall에서 Art management 관련 업무
      • 텍스트 인코딩, 통계 데이터베이스 입력 및 편집, 출처와 데이터 대조 등
    • Gary Baker
      • 당시 Hull 대학에서 역사학 박사 과정
      • 현재 Southampton 대학에서 연구 프로젝트 진행
      • 데이터 입력, 기존 통계 확인 (주로 Little Domesday book)

When 언제

Timeline of Hull Domesday Project
년도 내용 비고
1979 Domesday Book에 대한 학부생 강의 개설
1980년대 중반 Domesday Book 본문 필사 Phillimore 번역본 사용
1992 Domesday Book의 인덱스 제작 런던 King's College의 John McNeal Dodgson과 공동제작
2000 Domesday Explorer 출시 Hull 대학의 자금 지원
2002 IT 우수상 영국 컴퓨터 협회
2004 보조금 지원 Arts and Humanities Research Board
2007 자료 보완 전자 텍스트, 코멘트, 통계 데이터 추가
2010 사이트 업데이트

Where 어디서

  • Project

이 프로젝트는 잉글랜드의 국립 대학교인 Hull University에서 진행되었다.

지도를 불러오는 중...


  • Domesday Book

현재 Domesday Book은 영국 국립 문서 보관소(The National Archives)에 보관되어 있다.

지도를 불러오는 중...

What 무엇을

Domesday Book
[1] 이 책은 11세기 영국의 토지 조사서로, 당시 티스 강 이남의 영국 토지 상태를 종합적으로 조사한 책이다. 최후의 심판처럼 꼼꼼하게 모든 것을 기록했다고 해서 Domesday book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당시 영국 지역의 생활상을 잘 보여주는 서적이다.

How 어떻게

  • Home
    • Domesday Book과 웹사이트에 구현된 여러 기능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는 페이지이다.
  • AHRC Project
    • 프로젝트의 목표, 내용, 지원 액수와 인력, 접근 경로 등에 대해 설명하는 페이지이다.
  • Bibliography : Domesday Book과 연관된 여러 출판물을 소개하고 있다. 크게 세 가지의 서브 페이지로 이루어져 있다.
    • Alphabetical list of works : Domesday Book과 관련된 다양한 카테고리의 작업물을 소개한다.
    • Historical background : Domesday book의 역사적 자료에 대한 소개이다.
    • Domesday Book : Domesday Book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설명하였으며, 이를 하이퍼링크 형식으로 구성하였다.
  • Domesday Book
    • Domesday Book 자체에 대한 설명이 있으며, 이 책에 등장하는 여러 용어들을 설명한 페이지로 연결된다.
  • Domesday Explorer
    • Great Domesday Book의 전자 버전 프로그램이다. CD-ROM으로도 제공되고 있다.
    • 단어 및 지도 검색, 원하는 배율로 표나 텍스트 열람 가능
    • FAQ, 도움말 등도 포함되어 있다.
    • 제공하는 것들
      • 라틴어 원본의 고해상도 이미지
      • 현대어 번역 서적
      • Index(검색 가능)
      • 용어와 개념 관련 설명
  • Links
    • Domesday Book, 노르만 정복 등과 관련된 여러 링크로 연결되는 페이지이다.
  • News
    • 프로젝트의 업데이트 등을 공지하는 페이지이다.

Why 왜

  • 연구 소재의 중요성
    • Domesday Book은 11세기 영국의 사회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고, 따라서 역사학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이용된다.
    • 이미 완역이 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학생들을 위한 교육 교재로도 많이 사용되었다.
  • 방법론의 중요성
    • 프로젝트의 주제로 삼은 Domesday book은 축약 필기 라틴어로 작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경제적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해당 텍스트 내의 단어와 배경에 대한 기초지식이 필요하다. Wiki 형태로 구현하였을 때 이러한 필요를 잘 충족시킬 수 있다.
    • 프로젝트에서 제공하는 Web 형태의 Domesday Book은 접근성이 좋다. 따라서 일반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학생들도 이용하기가 편리하다.
    • Domesday Book에 대한 여러 정보들을 한 번에 모아놓았기 때문에 연구용과 교육용 양 쪽의 필요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Comment 논평

  • 이 프로젝트는 홈페이지에서 프로젝트의 진행 과정과 핵심적인 문제의식에 대해 비교적 상세하게 밝히고 있으며, 참고문헌 역시 충분히 제공한다. 따라서 자료 자체를 활용하기에도 용이하지만 디지털 인문학의 양상 자체를 탐구하기에도 좋은 모델이다. 다만, 이러한 문제의식이 홈페이지의 한 공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 군데에 흩어져 있는 점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 이 프로젝트에서 나타나는 디지털 인문학의 성격은 크게 두 가지(① 아카이브 ② 하이퍼텍스트)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 아카이브는 위키 형태로 모든 텍스트를 제공하지 않는다. 텍스트 해석에 필요한 정보, 텍스트 자체에 대한 정보는 위키와 하이퍼텍스트 형태로 제공하지만 텍스트 원문은 별도의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하고, 여기에서 이 사이트는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플랫폼(드롭박스)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점은 Web 환경 밖에서도 텍스트를 볼 수 있으며 자료의 편집을 보다 자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만, 별도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사용자에게 불편함과 부담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 특히, 2014년 이후로 홈페이지 업데이트 자체가 되지 않고 있으며 최초의 Explorer 파일이 2002년에 제작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최신 버전의 컴퓨터에서 해당 프로그램이 잘 구동되지 않는다.
  • 텍스트 자체를 디지털 환경에 구현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수록하였지만, 이러한 정보의 양은 다소 아쉽고 간략하다. 또한 지나치게 짧은 내용을 모두 별개의 문서로 제공하다 보니 사용자 편의성의 면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 이 프로젝트에는 30년의 시간이 걸렸으며 프로젝트 매니저 이외 2명의 기술 팀, 추가적인 연구보조원 이외에도 많은 타이핑 용역이 투입되었다. 이러한 점으로 보았을 때 온톨로지 설계 기반의 디지털 연구는 많은 인원과 비용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팀 기반의 디지털 연구 이외 개인 단위로 가능한 디지털 연구(주로 데이터의 2차 가공 혹은 메타데이터 제작)를 추가적으로 고민할 필요성을 느꼈다.

각주

  1. Hull Domesday Project Webpage를 참고하여 작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