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논어 구절로 알아보는 정치인의 겉과 속

red

Snu전수빈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11월 29일 (일) 18:19 판 (Statement)

탐구의 목적

탐구의 대상

탐구 방법

데이터 수집

데이터 분석

변수 설명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였다. Statement(발언), Section(구절), Person(정치인), Month(월), Year(년), Expression(인용구), Chapter(장), Event(사건), Party(정당)을 노드로 삼았다. 각 노드별 속성 중 주목할 만한 부분은 다음과 같다.


Statement
노드 명 속성 설명
Statement (발언) contentcontext (내용 맥락) 발화 내용에 따라 선거, 비선거 - 사회적 문제, 비선거 - 정책적 대립, 비선거 - 개인 신변 논란, 비선거 - 국회 활동, 격려 / 각오 / 방향제시, 행태 비판으로 구분함.
formcontext (형식 맥락) 발화 형식에 따라 SNS, 논평 / 보도자료, 즉석발언, 연설 / 브리핑 / 기자회견, 기념사 / 축사, 인터뷰로 구분함.

기존 Event 노드의 속성이었던 context(맥락)를 내용 맥락과 형식 맥락으로 구분하는 과정에서 같은 사건에 대한 발언이라도 형식이 다를 수 있다는 점으로부터 내용 맥락, 형식 맥락이 Event 노드가 아닌 Statement 노드에 위치해야 한다고 판단하여 Event 노드의 context 속성을 삭제하고 Statement 노드에 contentcontext, formcontext 속성을 추가하였다.

내용 맥락의 분류


우선 내용 맥락의 경우, 실질적이거나 구체적인 사건, 정책에 관한 내용인지 여부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구체적인 사건, 정책에 관한 내용일 경우 선거와 비선거로 분류하였으며, 비선거 내에서도 그 내용에 따라 사회적 문제, 정책적 대립, 개인 신변 논란, 국회활동으로 구분하였다. 이때 추미애 장관 아들 병역 문제나 최순실 게이트 등의 사건들을 개인 신변 논란과 사회적 문제로 구분할 때 단순히 물의를 일으킨 것은 개인 신변 논란, 물의를 넘어 쟁점이 될 만큼 큰 이슈가 되었을 경우 사회적 문제로 분류하였다. 구체적인 사건, 정책에 관한 내용이 아닐 경우 그 내용이 긍정적인지 여부에 따라 격려 / 각오 / 방향제시와 행태 비판으로 구분하였다.

형식 맥락의 경우, 크게 전달 매체에 따라 말과 글, 두 가지로 분류하였다. 글의 경우 정식 문서 여부에 따라 논평 / 보도 자료와 SNS로 나누었고, 말의 경우 원고가 준비된 발언과 그렇지 않은 즉석 발언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원고가 준비된 발언들을 발언 기회나 환경과 발언 내용의 선후 관계에 따라 환경이 우선일 경우와 내용이 우선일 경우로 구분하였다. 전자의 경우 그 내용에 따라 기념사 / 축사와 인터뷰로 구분하였고, 후자는 연설 / 브리핑 / 기자회견이라는 하나의 분류로 묶었다.

Section
노드 명 속성 설명
Section (구절) name 논어의 원문 구절을 노드의 이름으로 사용하였다.
korname (한글 독음) Neo4j에서 검색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한글 독음 속성을 추가하였다.


Person
노드 명 속성 설명
Person (정치인) name 발언자의 이름


Month
노드 명 속성 설명
Month (월) name N월의 형태로 이름을 정하였다.
yearname (연월) 2019년 1월과 2020년 1월이 혼동되는 것을 막기 위해, NNNN년 M월의 형태로 연월 속성을 추가하였다.


Year
노드 명 속성 설명
Year (년) name 년도


Expression
노드 명 속성 설명
Expression (인용구) name 인용된 구절을 그대로 name으로 사용하였다. (ex.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


Chapter
노드 명 속성 설명
Chapter (장) name 장의 이름


Event
노드 명 속성 설명
Event (사건) name 사건 이름


Party
노드 명 속성 설명
Party (정당) name 정당의 이름

진보, 보수로 구분하는 것은 자의적이라는 코멘트에 따라 그러한 구분 대신 당의 이름만을 속성으로 추가하였다.

온톨로지

이러한 기준을 바탕으로 온톨로지(논어 구절로 알아보는 정치인이 겉과 속 Ontology)를 구성하였다. 온톨로지의 데이터는 본 데이터 중 가장 먼저 수집된 7개로 이루어졌으며,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번호
Statement
Section
Person
Month
Year
Expression
Chapter
Event
Party
1
발언1
自古皆有死 民無信不立
이낙연
8월
2017년
무신불립
자공문정章
살충제 계란파동
더불어민주당
2
발언2
述而不作 信而好古 竊比於我老彭
이낙연
12월
2017년
술이부작
술이부작章
기자생활 회고
더불어민주당
3
발언3
回也 聞一以知十 賜也 聞一以知二
이재명
1월
2017년
하나를 보면 열을 안다
술여여회야章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4
발언4
國有家者 不患寡而患不均 不患貧而患不安
이재명
9월
2020년
불환빈 환불균
계씨장벌전유章
신년사
더불어민주당
5
발언5
政者正也 子帥以正 孰敢不正
유승민
1월
2019년
정자정야
문정어공자章
좌우명
바른미래당
6
발언6
自古皆有死 民無信不立
나경원
7월
2017년
무신불립
자공문정章
좌우명
자유한국당
7
발언7
夫子 莞爾而笑曰 割鷄 焉用牛刀
이준석
2월
2020년
닭 잡는 데 소 잡는 칼
지무성章
제17대 대선후보 경선
미래통합당

Cypher Query

탐구 결과

발화 내용별 분석

발화 형식별 분석

정당별 분석

결론 및 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