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otionAndAffectFromAnalects
red
탐구의 목적
영어 affect는 접촉해서 흔적을 남긴다는 의미의 라틴어 Affectus에서 나온 말로서, 타인에 의해 객관적으로 관찰 가능한 감정 상태를 가리킨다. 외부 관찰자는 추론을 통해 당사자가 느낀다고 말하는 감정상태보다 더 정확하게 그 당사자의 감정 상태를 평가할 수도 있다. 예컨대 어떤 사람이 화가 났다고 말했을 때, 외부 관찰자는 상황 맥락 속에서 분노 이외의 두려움, 질투 등의 감정을 관찰할 수 있는 것과 같다. 이와 같이 ‘정동(情動, affect)은 직접적으로 나타나거나 혹은 겉으로 드러나지 않지만 이미 실재하고 있는 정서적 상태를 종합적으로 포괄하는 개념이다.
공자의 가르침은 수 천 년 간 이어져오며, 동아시아 여러 국가들의 경제, 사회, 정치적 이념에 반영되어 실천되었다. 시대를 관통하는 깨달음을 주는 스승, 공자의 가르침이 담겨있는 『논어』는 공자가 생전에 제자들과 나누었던 대화 중 일부를 발췌하여 엮은 책이다. 위대한 스승이기 이전에 공자 역시 사람이었으므로, 『논어』 속 그의 발화 중에는 직, 간접적으로 그의 감정이 드러나는 경우가 있다. 『논어』의 구절 가운데에는 공자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출하는 한자어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지만, 반대로 감정을 나타내는 한자어가 사용되지 않았음에도 공자의 정서가 직접적으로 느껴지는 경우 역시 발견된다.
따라서 『논어』에서 드러나는 공자의 정동을 데이터로 편찬하여 분석한다면, 그의 인간적 면모에 더욱 가까이 다가간다는 측면에서 『논어』를 더욱 흥미롭게 읽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탐구에서는 『논어』 중 특히 공자의 정동을 데이터로 편찬 및 분석하고 ‘공자의 정동’을 기준으로 논어를 새롭게 살펴보고자 한다.
탐구의 대상
동양고전종합DB 중 『논어집주』에서 드러나는 공자의 정동(affect)에 대하여 탐구한다. 샘플 데이터의 수집 범위는 『논어집주』 1-12편이며, 추후 13-20장의 데이터를 추가하여 최종적으로는 『논어집주』 전편을 탐구 대상으로 한다.
본 탐구에서 수집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발화에서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감정(emotion)외에도 발화 맥락에서 드러나는 공자의 정동(affect) 데이터이다. 『논어』에는 공자 이외의 인물의 정동 역시 표현되어 있으나, 『논어』가 공자의 가르침을 주요한 내용으로 하고 있음을 고려하여, 대상을 공자로 한정하였다.
탐구의 방법
자료의 수집
동양고전종합DB 중 『논어』에서 발화 맥락에서 드러나는 공자의 정동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惡(싫어하다)’, ‘好(좋아하다)’처럼 직접적으로 감정이 드러나는 구절 이외에도, ‘사위 삼을 만함’, ‘군자와 같음’ 등 감정에 기반한 정동을 표현한 구절 역시 데이터로 포함한다. 맥락에서 드러나는 정동 데이터의 경우, 주관적인 판단에 의하여 데이터로 수집되므로 크로스체크 과정을 통해 데이터의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샘플 데이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논어집주』 1~12편를 범위로 하였으며, 본격적인 연구 과정에서는 『논어집주』 1~20편 전체를 범위로 한다.
자료의 구성
변수명 | 세부 사항 |
---|---|
편 | 『논어』 중 해당 구절이 포함되는 편 |
장 | 『논어』 중 해당 구절이 포함되는 장 |
인물 | 정동을 느끼는 주체. 본 연구에서는 공자로 한정된다. |
대상 | 정동을 느끼게 되는 대상. ‘공자가 A를 보고 B의 감정을 느꼈다’의 경우, A가 대상이 된다. 한편 ‘공자가 A가 B하는 것을 보고 C의 감정을 느꼈다’의 경우, ‘A가 B하는 것’을 대상으로 구분하였다. |
감정 | 해당 맥락에서 파악되는 감정을 한글로 명시하였다. 동양고전종합DB 『논어집주』 해석과 원문 표현을 참고하였다. |
Affection/Emotion | 감정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 경우와 발화 맥락에서 파악되는 정동을 구분하여 표현하였다. |
긍정, 부정 | 감정의 범주가 매우 넓기 때문에 이를 일차적으로 구분하는 기준으로 긍정, 부정을 설정하였다. 호감, 기쁨 등의 단어는 긍정으로, 비호감, 걱정 등의 감정은 부정으로 분류하였다. |
원문 구절 | 추출한 데이터 중 ‘대상’과 ‘감정’은 『논어』의 구절을 한글로 번역하여 작성한 것이다. 따라서 해당 『논어』 구절을 원문으로 표기하여 데이터의 정확도를 높였다. |
표현 | Affect에 비해 emotion은 구절에 감정이 명시되어 나타나는 것이므로, 어떠한 한자어에서 그러한 감정이 직접적으로 드러나는지 표시하였다. |
편찬 데이터
편 | 장 | 인물 | 대상 | 감정 | Affection, Emotion | 긍정, 부정 | 원문 구절 | 표현 |
---|---|---|---|---|---|---|---|---|
1 | 1 | 공자 | 배우고 수시로 익히는 것 | 기쁨 | Emotion | 긍정 |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 說 |
1 | 1 | 공자 | 벗이 먼 곳에서 찾아오는 것 | 즐거움 | Emotion | 긍정 | 有朋 自遠方來 不亦樂乎 | 樂 |
1 | 8 | 공자 | 군자가 중후하지 않은 것 | 비호감 | Affection | 부정 | 君子 不重則不威 學則不固 | |
1 | 15 | 공자 | 가난하면서도 즐거워하고 예를 좋아함 | 호감 | Affection | 긍정 | 未若貧而樂 富而好禮者也 | |
1 | 16 | 공자 | 내가 남을 알아주지 못함 | 걱정 | Emotion | 부정 | 不患人之不己知 患不知人也 | 患 |
2 | 1 | 공자 | 덕으로 하는 정치 | 호감 | Affection | 긍정 | 爲政以德 譬如北辰 居其所 而衆星 共之 | |
2 | 3 | 공자 | 백성을 법령과 형벌로 다스리는 것 | 비호감 | Affection | 부정 | 道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無恥 | |
2 | 3 | 공자 | 백성을 덕과 예로 다스리는 것 | 호감 | Affection | 긍정 | 道之以德 齊之以禮 有恥且格 | |
2 | 7 | 공자 | 부모를 공경하지 않는 것 | 비호감 | Affection | 부정 | 至於犬馬 皆能有養 不敬 何以別乎 | |
2 | 14 | 공자 | 두루 조화를 이루고 당파를 형성하지 않는 것 | 호감 | Affection | 긍정 | 君子 周而不比 小人 比而不周 | |
2 | 16 | 공자 | 이단을 전공하는 것 | 해로움 | Emotion | 부정 | 攻乎異端 斯害也已 | 害 |
2 | 20 | 공자 | 백성을 장엄하게 대하는 것 | 호감 | Affection | 긍정 | 臨之以莊則敬 孝慈則忠 擧善而敎不能則勸 | |
2 | 20 | 공자 | 효도와 사랑을 베푸는 것 | 호감 | Affection | 긍정 | 臨之以莊則敬 孝慈則忠 擧善而敎不能則勸 | |
2 | 22 | 공자 | 성실성이 없는 것 | 비호감 | Affection | 부정 | 人而無信 不知其可也 | |
2 | 24 | 공자 | 의로운 일을 보고도 하지 않는 것 | 비호감 | Affection | 부정 | 見義不爲 無勇也 | |
3 | 4 | 공자 | 임방의 예의 근본에 대한 질문 | 기쁨 | Affection | 긍정 | 大哉 問 | |
3 | 8 | 공자 | 자하의 깨달음 | 기쁨 | Affection | 긍정 | 起予者 商也 始可與言詩已矣 | |
3 | 10 | 공자 | 노나라의 체제사가 강신주를 따르는 것 | 비호감 | Affection | 부정 | 禘 自旣灌而往者 吾不欲觀之矣 | |
3 | 14 | 공자 | 주나라가 하, 은, 이대의 예를 본보기로 삼은 것 | 호감 | Affection | 긍정 | 周監於二代 郁郁乎文哉 吾從周 | |
3 | 17 | 공자 | 예 | 호감 | Affection | 긍정 | 賜也 爾愛其羊 我愛其禮 | |
3 | 25 | 공자 | 순 임금의 음악인 소 | 좋음 | Emotion | 긍정 | 謂韶 盡美矣 又盡善也 | 善 |
3 | 25 | 공자 | 무 왕의 음악인 무 | 좋지 않음 | Emotion | 부정 | 謂武 盡美矣 未盡善也 | 未盡善 |
4 | 1 | 공자 | 마을의 인심이 인후한 것 | 호감 | Affection | 긍정 | 里仁 爲美 擇不處仁 焉得知 | |
4 | 16 | 공자 | 의에 밝은 것 | 호감 | Affection | 긍정 | 君子 喩於義 小人 喩於利 | |
4 | 21 | 공자 | 부모의 나이를 기억하는 것 | 기쁨 | Affection | 긍정 | 父母之年 不可不知也 一則以喜 一則以懼 | |
4 | 21 | 공자 | 부모의 나이를 기억하는 것 | 두려움 | Emotion | 부정 | 父母之年 不可不知也 一則以喜 一則以懼 | 喜 |
4 | 22 | 공자 | 실천이 미치지 못하는 것 | 부끄러움 | Emotion | 부정 | 古者 言之不出 恥躬之不逮也 | 恥 |
5 | 1 | 공자 | 공야장 | 사위 삼을 만함 | Affection | 긍정 | 謂公冶長 可妻也 雖在縲絏之中 非其罪也 以其子 妻之 | |
5 | 2 | 공자 | 자천의 군자다움 | 기뻐함 | Affection | 긍정 | 謂子賤 君子哉 若人 魯無君子者 斯焉取斯 | |
5 | 5 | 공자 | 칠조개의 대답 | 기뻐함 | Emotion | 긍정 | 使漆雕開 仕 對曰 吾斯之未能信 子 說 | 說 |
5 | 15 | 공자 | 자산(군자의 도 4가지가 있음) | 호감 | Affection | 긍정 | 謂子産 有君子之道 四焉 其行己也 恭 其事上也 敬 其養民也 惠 其使民也 義 | |
5 | 16 | 공자 | 안평중이 남과 사귀기를 잘하는 것 | 공경 | Emotion | 긍정 | 晏平仲 善與人交 久而敬之 | 敬 |
5 | 21 | 공자 | 진나라의 문인이 정치에 소략한 것 | 안타까움 | Affection | 부정 | 歸與歸與 吾黨之小子 狂簡 斐然成章 不知所以裁之 | |
5 | 24 | 공자 | 듣기 좋은 말만 하고 지나치게 공손한 것 | 부끄러움 | Emotion | 부정 | 巧言令色足恭 左丘明 恥之 丘亦恥之 | 恥 |
5 | 24 | 공자 | 원망하면서도 그 사람과 사귀는 것 | 부끄러움 | Emotion | 부정 | 匿怨而友其人 左丘明 恥之 丘亦恥之 | 恥 |
5 | 25 | 공자 | 늙은이를 편안하게 해주고, 벗에게는 미덥게 하고 젊은이를 감싸주는 것 | 호감 | Affection | 긍정 | 老者 安之 朋友 信之 少者 懷之 | |
5 | 26 | 공자 | 자신의 허물을 보고 진심으로 자책하는 것 | 호감 | Affection | 긍정 | 已矣乎 吾未見能見其過而內自訟者也 | |
5 | 27 | 공자 | 배우는 것 | 좋음 | Emotion | 긍정 | 十室之邑 必有忠信 如丘者焉 不如丘之好學也 | 好 |
6 | 9 | 공자 | 안회 | 어짊 | Emotion | 긍정 | 子 曰 賢哉 回也 | 賢 |
6 | 11 | 공자 | 군자다운 학자 | 호감 | Affection | 긍정 | 謂子夏曰 女爲君子儒 無爲小人儒 | |
6 | 11 | 공자 | 소인 같은 학자 | 비호감 | Affection | 부정 | 謂子夏曰 女爲君子儒 無爲小人儒 | |
6 | 15 | 공자 | 도를 따르는 것 | 기쁨 | Affection | 긍정 | 誰能出不由戶 何莫由斯道也 | |
6 | 15 | 공자 | 도를 따르지 않는 것 | 슬픔 | Affection | 부정 | 誰能出不由戶 何莫由斯道也 | |
6 | 16 | 공자 | 문채와 질박함이 적절히 조화를 이룬 것 | 군자와 같음 | Affection | 긍정 | 文質 彬彬 然後 君子 | |
6 | 17 | 공자 | 정직하지 않음 | 화남 | Affection | 부정 | 人之生也 直 罔之生也 幸而免 | |
6 | 27 | 공자 | 중용의 덕을 실천하는 이가 적은 것 | 슬픔 | Affection | 부정 | 中庸之爲德也 其至矣乎 民鮮 久矣 | |
6 | 28 | 공자 | 백성에게 은혜를 베풀어 많은 사람을 구제하는 것 | 호감 | Affection | 긍정 | 如有博施於民 而能濟衆 何如 可謂仁乎 子 曰 何事於仁 必也聖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