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신문 제목의 구어성

red

길혜빈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6월 23일 (화) 16:21 판 (방법 및 과정)

〈인문학과 인공지능〉 강의 페이지로 돌아가기


신문 제목에 나타나는 구어성 차이


방법 및 과정



  • 궁금증 : 지면 기사와 인터넷 기사 제목에서의 구어성 차이가 있을까?
  • 배경 이론 : 페어클로(Fairclough)에 따르면 매체에 따라 신문의 구어성에 차이를 보인다고 한다.[1] [2]
  • 실습URL :
  • 방법
    • 데이터 구축
      • 주제 : 이태원발 코로나 감염 사태 관련 이슈 (이태원의 2030세대의 문화, 성소수자 문제, 등교 연기, 학원 강사의 거짓말로 인한 n차 감염)
      • 수집 기간 : 5/7~5/25 중 주제 관련 기사 수집[3]
    • 실험 데이터
      • 신문 기사 내 구어성의 차이 확인을 위해 5/25 이후 관련 주제(코로나) 지면, 인터넷 기사의 데이터를 각 20건 수집해 실험에 활용


기사 정리 수정.PNG


  • 순서
    • 신문사 선정 : 조선일보, 중앙일보, 경향신문, 한겨례신문 기사 수집[4]
    • 신문사별 지면 기사, 인터넷 기사로 분리해 데이터 수집[5]
    • IBM의 Machine learning for kids 프로그램으로 언론사별, 매체별 데이터 분류
    • 실험 데이터로 수집한 무작위의 지면 및 인터넷 기사의 텍스트를 활용해 결과값을 추출



결론



  • 구어성 관련
    • 신문별 결과 제시



주석


  1. 페어클로는 썬지(The sun)와
  2. 사실상 정밀한 조사를 위해서는 지문 내용을 모두 살펴 보는 것이 맞겠지만 본 연구는 약식으로 제목에서 나타나는 차이만 살펴 보고자 한다.
  3. 5/25 이후에는 이태원발 코로나 감염에서 쿠팡 물류센터로 화두가 넘어간다. 본 연구는 '이태원발 코로나 감염'에 초점을 맞추고자 다음과 같이 기한을 설정했다.
  4. 기사 수는 임의적으로 유사하게 맞추었다. 특정 일자의 기사를 추출하기 보다는 2-3개마다 하나씩 데이터에 반영하는 방식으로 기사를 수집했다.
  5. 인터넷 기사의 경우 네이버에서 pick으로 제시되어 있는 기사를 수집했다. 네이버에 따르면 pick이 표시된 기사는 각 언론사가 자신의 '주요 기사'로 선정한 인터넷 기사라고 한다. 네이버 pick 관련 도움말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