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변모하는, 아직 건재하는 단편

red

마동준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6월 9일 (화) 01:43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소개

제 11회 황순원 문학상 수상작품집 '부메랑'에 게재된 소설가 '최윤'의 심사평이다.

총평

"본심에 올라온 후보작들은 다채롭다. 이야기는 재미있고 빨리 읽힌다. 작품 모두 나름의 고유한 강점이 있고, 각자의 영역에서 일정 수준을 갖춘 작품들이다. 동시에 자주 일, 이 프로 부족함도 감지된다. 대체적으로 단편의 기능이 변모해가고 있음을 느낀다. 다소간 사소해지고 또 한편으로는 느슨해진다."

심사평

박형서 『아르판』

"이야기는 신인 소설가의 격앙된 시선으로 탐색 소설의 양상을 띠며 진행된다. 그러나 이 희귀 소설가가 한국의 <제3세계작가축제>에 불려오면서 이 소재에 조금씩 흠이 가기 시작한다. 작품이 이 소재를 원본과 표절의 문제로, 더 나아가 소통을 위한 원본 복사에 대한 정당화의 방향으로 이끌고 가면서 열 부수적인 문제점들을 노정한다. 인물의 형상화, 제3세계와 한국의 관계 설정, 표절과 소통의 문제 등이 서둘러, 표상적으로 다루어진 것이 아쉽다."

윤성희 『부메랑』

"머뭇머뭇 한 줄, 두 줄 뜻 없는 듯 그어지던 선들이 어느새 그림이 되는 것처럼 삶의 사소한 우연이 필연이 되는 순간에 발산되는 경이가 곳곳에 안배되어 있다."

"무의미한 것 같은 밋밋한 일상에 일종의 볼륨을 부여하는 작가 특유의 서술방식이 잘 드러나 있다."

"작은 상처의 기억으로 가득한 진부하고 구차한 현실은 자서전 쓰기라는 지극히 비자서전적인, 상상적이며 보상적인 글쓰기를 통해 퍼즐이 맞추어지듯, 레고 게임을 하듯 체적을 획득한다. 일물의 존재적인 일관성에 다소간의 약점이 드러남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획득된 체적이 흥미로우므로 그 활동에는 무슨 의미가 있을까 자문하게 된다."

조경란 『학습의 生』

"작품의 공간적 배경이나 주인공의 상황 설정에서 삶에 대한 고즈넉한 사유에 닻을 드리운 듯, 고유한 어조와 리듬에 고심한 것이 감지되는 작품이다."

"정석과 상투성의 경계에 있는 상징의 사용, 빈번하게 사용된 도치문이 독서를 때로 불편하게 함에도 불구하고 구성적인 면에서는 매우 고전적인 작품이며 그런 작품이 주는 안정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