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일상성에 대한 새로운 서사적 탐문

red

마동준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6월 8일 (월) 23:02 판 (새 문서: ====소개==== 제 10회 황순원 문학상 수상작품집 '칼'에 게재된 문학평론가 '우찬제'의 심사평이다. ====총평====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소개

제 10회 황순원 문학상 수상작품집 '칼'에 게재된 문학평론가 '우찬제'의 심사평이다.

총평

"2010년의 한국 소설은 반복되는 일상의 지루함 속에서도 의미 있는 발상법과 역동적인 탈주의 상상력으로 다채롭게 '어떤 싸움'을 벌이고 있는 형국이었다. 글을 쓴다는 것, 그 자체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에서 재난의 상상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설적 세목들로 독자들과 소통을 시도하면서, 소통보다는 불통이 대세인 시대에 역설적으로나마 이야기의 소통 가능성을 열어나가려는 시도들이 돋보였다."

심사평

박성원 『하루』

"그의 장기 중의 하나인 일상성에 대한 날카로운 해부의 시선을 보인다. 무수히 반복되고 의미 없이 잊혀지는 나날의 삶을 미분하여 사건으로 형상화하면서, 일상의 심연에서 얼마나 비극적이고 고통스런 일이 일어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집요한 성찰의 서사이다. 일상성에 대한 일종의 심리학적 탐문기라고 할 수 있을 텐데, 그 분석의 세목들을 더 미분하고 유기적으로 스며들게 했더라면 더욱 인상적인 이야기가 되었을 것이다."

김애란 『물속 골리앗』

"강렬한 인상으로 일상성의 안일에 사로잡혀 있는 독자들에게 충격을 가한다."

"비일상적인 상황과 일상적인 정서를 대비하면서, 재난을 인식하는 새로운 발상법을 보여준다. 아버지의 죽음 이후 큰물이 진다. 대홍수라는 재난 상황은 매우 극적으로 환기된다. 그런 상황에 처한 인간 삶의 구체적 세목들에 대한 형상화도 어지간하다. 더욱 주목되는 것은 그런 상황에 대처하는 주인공의 정동이다. 그야말로 쿨하게 재난 상황에 대처하는 주인공의 감정의 리듬이 매우 인상적이다."

한강 『훈자』

"에피그램 같은 시적 농축에 담은 실존적 고뇌의 파동을 느끼게 하는 소설이다."

"이 소설의 호흡이 줄곧 끊어질 듯 이어지고 이어질 듯 끊어지는 것은, 주인공의 처지와 심리가 그토록 단속적일 수밖에 없었던 까닭일 터이다. 육아 문제의 현실성에서 불안의 근원성에 이르기까지 작가의 서사적 탐문의 깊이를 헤아리게 하는 이야기이다.

이승우 『칼』

"인간존재에 대한 근원적인 문제를 관념적 성찰의 형식으로 탐문해온 작가답게 심리적 현실의 심연을 웅숭깊게 다루었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와 불안의 정동을 바탕으로 불안한 현대인의 실존적 둥지를 파고들었다. 특히 불안, 두려움, 증오 같은 정동들의 반동적 성격을, 문제적인 부자 관계를 바탕으로 미장아빔의 형식으로 구성한 것이 인상적이었다. 관념적 문제틀에 소설적 육체성을 더욱 보강하려는 서사적 수고가 이전의 이승우 소설에 비해 가독성을 높이고 독자들에게 조금 더 다가서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