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해방직후 김수영 인물 관계도

red

Red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5월 27일 (수) 00:09 판 (데이터 네트워크)

데이터 목록

노드 데이터

1. 작가

  • 김수영(1921-1968)
    • 1945년 <묘정의 노래>를 <<예술부락>>에 발표하며 문단에 나옴.
    • 종로에서 주로 생활했으며, 그의 자택은 종로 6가에 위치했음.
    • 어머니가 운영하던 식당 <유명옥>, 박인환이 운영하던 책방 <마리서사>에서 자주 보임.
    • <마리서사>에 대한 기록을 살펴보면, 박인환과 김수영은 라이벌 관계였으며 김수영은 박인환보다 화가 박일영을 더 따랐음.
  • 박인환(1926-1956)
    • <목마와 숙녀>라는 작품으로 유명한 모더니스트 시인.
    • 1946년 <거리>라는 시를 <<국제신보>>에 발표하면서 문단에 등장.
    • 김수영의 <묘정의 노래> 창작 시기 및 <<예술부락>> 편집 시기를 보면 김수영이 1년 일찍 등단한 것으로 보지만, 실제 <<예술부락>> 발표시기는 1946.1이기 때문에 등단 시기를 같게 보는 관점도 있음.
    • 김수영의 등단작을 박인환이 "낡았다"고 직설적으로 비판한 일화는 유명함. 김수영도 산문 <박인환>뿐만 아니라 다양한 글을 통해서 이에 대해 회고하고 있음.
  • 박일영(미상)
    • 해방직후 초현실주의 화가로 김수영과 간판 작업일을 했음.
    • 김수영이 그를 따라 다니면서, '복쌍'이라고 칭했음.
    • 김수영의 산문 <여배우와 사랑 - 나와 가극단>에 처음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김수영의 예술가로서의 양심이나 윤리에 대한 영향을 끼쳤던 인물로 재평가 됨(유성호).
  • 임화
    • 1920년대~1930년대 프롤레타리아 문학을 주도했던 KAPF(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의 서기장 출신.
    • 시인이자, 소설, 평론, 문학사 등 광범위한 문학적 작업을 시도했고 영화 출연 및 제작 등도 겸해 조선의 발렌티노라 불렸음.
    • 본명은 임인식이며, 보성고보 중퇴였지만 1930년대 그가 남긴 집필활동은 문학사에서 상당히 문제적임.
    • 해방 직후에는 해방운동기념시집에 참여했으나, 뒤늦게 월북하게 되고 미제 스파이 사건으로 처형 당함.
  • 박상진
  • 김병욱
  • 김경린
  • 김경희
  • 임호권
  • 양병식
  • 정인보
  • 홍명희
  • 안재홍
  • 정지용
  • 김기림
  • 김광균
  • 김광섭
  • 이용악
  • 박종화
  • 오장환
  • 조지훈
  • 이한직
  • 이시우
  • 조우식
  • 이활
  • 배인철
  • 장만영
  • 전봉래
  • 박태진


2. 공간

  • 마리서사
    • 해방 직후 박인환이 만든 책방(1946~1948로 추정)
    • 이 책방에는 박인환이 경도되어 있던 모더니즘 문학이 주 서적이었음.
    • 이곳에 해방 직후 모더니스트, 리버럴리스트, 리얼리스트 할 것 없이 젊은 예술가들이 많이 모였음. 이러한 관점에서 <마리서사> 공간을 유럽의 근대적 살롱의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음(김웅기).
  • 휘가로
  • 청포도
  • 하루방

3. 작품

  •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
    • 박인환, 김경린 등이 주도하고 김수영이 참여한 신시론 동인의 엔솔로지 차원의 제 2시집.
  • 신시론
  • 해방기념시집
    • 해방기념시집이 나왔을 당시에는 정지용, 임화, 조지훈, 김광섭, 김기림 등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데올로기적 갈등에 사로잡히지 않은 작품집이라 할 수 있음. 비슷한 맥락으로 <횃불>아나 <연간조선시집> 등도 있음. 이 이후 좌익문학의 선봉장이었던 임화가 조선문학건설본부를 결성하였고, 김태준의 주도 아래 조선문학가동맹으로 통합됨. 이에 맞추어 우익에서 양주동 이헌구, 유치진 등이 중심이 되어 중앙문화협회를 결성하면서 본격적으로 문학장의 좌우대립이 가시화됨(최하림).

링크 데이터

데이터 네트워크

lst 페이지로 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