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GeumosinhwaAndJeondeungsinhwa

red

이우경 KU2016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1년 6월 6일 (일) 08:43 판 (속성(Attribute))

한문학데이터큐레이션 강의 페이지로 가기


데이터 기반 『금오신화』와 『전등신화』 비교 연구



연구 목적

금오신화와 전등신화 사이의 연관성 시각화

1378년, 구우가 지은 전등신화는 동아시아 각 국에 영향을 주었다.
이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조선의 작품은, 김시습이 저술한 금오신화이다.
금오신화가 전등신화로부터 어떠한 영향을 받았는지, 어떤 점에서 유사한 지에 대해서는 수 많은 연구 논문이 있다.
그러나 이를 시각적으로 나타낸 것은 없다. 또한 논문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품들을 다 읽어보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두 작품 간의 연관성을 시각화하여, 어떤 점들을 공유하고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

2021년 1학기 한문학과 전공 수업인 '한문 소설의 세계'에서, 김정숙 교수님은 다음과 같이 금오신화와, 전등신화 사이의 영향과 관련된 표를 제시하셨다.
금오신화 전등신화.png
단순히 작품들만 읽다 보니, 어떤 점에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았는지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알 수 없었다..
서로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를 시각화해보면 좋을 것 같아서 이번 분석을 진행하게 되었다..

작업을 하다 보니,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는 논문을 읽을 수 있었다. 논문 속에서 나타난 수용 양상을 보면 다음과 같다.

금오신화와 전등신화의 서사와 화소를 수용한 양상 [1]
금오신화 내용 전등신화 내용
만복사저포기 양생의 조실부모와 미혼
여인을 향한 양생의 의심과 머뭇거림
녹의인전 조원의 조실부모와 미혼
녹의인을 향한 조원의 의심
양생의 저포 놀이와 축원 부귀발적사지 하우인의 축원
무덤에서의 연회와 동침
양생과 여인의 이별
양생이 다시 장가들지 않고 입산부지소종함
등목취유취경원기 무덤에서의 연회와 동침
등목과 위방화의 이별
등목이 다시 장가들지 않고 입산부지소종함
양생이 은주발을 선물로 받음
양생이 재를 올리고 여인이 이에 감사함
금봉차기 최흥가가 금비녀를 신물로 받음
최흥가가 재를 올리고 오홍랑이 이에 감사함
여인이 타국에서 남자로 환생함 애경전 애경이 무석 송씨의 남아로 환생함
이생규장전 최씨가 정절을 지키려다 홍건적에게 죽임을 당함
최씨가 이생을 찾아오고 둘이 생시와 다름없이 정을 나눔
애경전 애경이 정절을 지키려고 자결함
애경이 조자를 찾아오고 둘이 생시와 다름없이 정을 나눔
이생과 최씨가 같은 마을에 삶
문벌의 차이로 혼사갈등
이생과 최씨의 혼인
이생이 최씨를 그리워하다가 죽음
취취전 김정과 취취가 같은 마을에 삶
빈부의 차이로 혼사갈등
김정과 취취의 혼인
김정이 취취를 그리워하다 죽음
이생이 담을 넘어가 최씨와 만나 동침함
최씨가 병에 걸리고 최씨의 부모가 이생의 시작을 발견함
연방루기 정생이 난혜연방루에 올라가 난영과 혜왕과 동침함
아버지가 정생의 시작을 발견함
그림 및 사계절을 읊은 시 위당기우기 그림 및 사계절을 읊은 시
최씨가 이승에 오래 머무를 수 없다고 말한 뒤 소멸하여 사라짐 등목취유취경원기 위방화가 이승에 오래 머무를 수 없다고 말한 뒤 소멸하여 사라짐
취유부벽정기 평양의 명승지와 유적 소개
홍생이 평양에서 유흥을 즐김
홍생이 부벽정에서 맥수지탄을 함
홍생이 기씨를 만나 시를 창화함
등목취유취경원기 임안의 명승지와 유적
등목이 임안의 명승지를 유람함
등목이 취경원에서 서리지탄을 함
등목이 위방화를 만나 시를 창화함
홍생이 병듦
홍생의 꿈속에 기씨의 시녀가 나타나 하고의 종사관이 되었다고 알려줌
홍생이 시해함
수문사인전 하안이 병듦
하안의 꿈속에 친구가 나타나 수문사인의 직을 맡아달라고 함
하안이 세상을 떠남
홍생이 풍교야박을 떠올리고 술에 취하여 부벽정으로 감
홍생이 기씨녀로부터 비극적 사연을 들음
감호야범기 성영언이 명하편을 읊고 은하수로 감
성영언이 직녀로부터 억울한 사연을 들음
남염부주지 박생이 염마왕과 문답함
박생이 염마왕으로부터 황당한 일을 일소해달라는 부탁을 받지만 이를 실천하지 않음
감호야범기 성영언이 직녀와 문답함
성영언이 직녀로부터 억울한 사연을 풀어달라는 부탁을 받지만 이를 실천하지 않음
박생이 염마왕으로부터 왕위를 물려 받음
박생이 병을 고치지 않고 세상을 떠남
수문사인전 하안이 친구로부터 수문사인의 직을 물려받음
하안이 병을 고치지 않고 세상을 떠남
박생이 저승 및 인과응보에 대해 의심을 품고 일리론을 지은 뒤 꿈 속에서 남염부주로 감 영호생명몽록 영호선이 저승에서 인과응보가 실현되지 않음에 분개하여 이를 비방하는 시를 짓고 꿈속에서 지옥으로 끌려감
위세에 굴하지 않는 박생
박생이 귀신의 설에 의심을 품음
꿈속에서 신인이 이웃에게 박생이 염라왕이 될 것이라고 말함
태허사법전 오만한 태도를 가진 풍대이
풍대이가 귀신을 불신하고 무시함
풍대이가 관 속에서 태허전사법이 되었다고 말함
용궁부연록 한생의 용궁구경 영호생명몽록 영호선의 저승구경
송도 천마산의 박연 묘사
한생이 용궁으로 감
조강신 낙하신 벽란신의 등장과 시작
용당연회록 소주 오강의 용왕당 묘사
문인자술이 용궁으로 감
범려 장한 육구몽 및 오자서의 등장과 토론
한생이 상량문을 지음
용궁의 연회와 감.
한생의 20운 시작.
한생이 보배를 받아가지고 집으로 돌아옴.
한생의 입산부지소종
수궁경회록 여선문이 상량문을 지음
용궁의 연회와 가무
여선문의 수궁경회시 20운
여선문이 보배를 받아 가지고 집으로 돌아옴
여선문의 입산부지소종
한생이 용궁에서 받은 보배를 상자에 간직하고 남에게 보여주지 않음 감호야범기 성영언이 직녀에게 받은 비단을 상자에 간직하였다가 페르시아 상인에게 보여주지만 그 사연을 이야기하지 않음


여기에 언급되진 않은 전등신화의 나머지 작품들 또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온톨로지 설계

온톨로지 다이어그램

클래스(Class)

클래스명 내용 설정 이유
저자 문헌의 저자이다.(김시습, 구우) 금오신화와 전등신화의 저자를 보이기 위해서 설정하였다.
문헌 분석 대상인 문헌들이다.(김시습이 지은 금오신화, 구우가 지은 전등신화) 금오신화와 전등신화의 작품들을 묶어주기 위해서 설정하였다.
작품 각각의 문헌에 속한 작품(금오신화 - 남염부주지, 이생규장전 등) 본격적으로 분석할 대상들이다.
구성 작품 속에서 이야기가 전개되는 큰 골자이다. (ex 만남-이별, 현실-꿈-현실) 처음에는 작품의 사건들로 큰 골자를 나누려고 했으나, 각각의 구성 단계로 묶을 수 있을 것 같아서 설정하였다. 크게 '현실-꿈-현실'로 구성되거나, '만남-이별'로 구성된다.
사건 작품 속에서 등장인물들이 겪는 사건이다. (ex 염마와의 대화, 저승구경) 행위를 묶기 위해서 설정하였다. 각각의 행위가 어떠한 사건 속에서 나타나는 지를 정리하였다.
행위 해당 사건에서 등장인물이 하는 구체적인 행위이다. (ex 염마와의 대화 - 대화1, 대화2, 대화3 등) 소재를 묶기 위해서 설정하였다. 해당 소재가 어떠한 행위 속에서 나타나는지를 통해, 서로 비교를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등장인물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이다.(ex 남염부주지 - 박생, 수문장 등) 각각의 행위에 등장하는 등장인물들이다. 해당 등장인물이 어떠한 행위를 하는 지 또한 비교해 볼 수 있을 것 같았다.
문학작품 작품 속에서 등장인물들이 짓는 문학작품이다. (ex 남염부주지 - 일리론, 선위문 등) 문학작품 속에서도 어떠한 소재들이 등장하는 지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문학작품 또한 어떠한 영향을 받았을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소재 문학작품, 행위 등에서 사용되는 소재와, 묘사 등이다. (ex 염마와의 대화 속 주공, 공자, 귀신 등) 이번 분석의 가장 기초가 되는 클래스이다. 특정 소재가 각각의 작품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지를 본다면, 두 작품 간의 유사성이 잘 보일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장소 작품 속에서 사건이 일어나는 장소이다. (ex 남염부주지 - 경주, 남염부주 등) 행위가 일어나는 장소이다. 장소별 유사성 또한 비교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였다.
속성 각각의 노드가 가지는 속성이다. 속성 부분에서 상세히 서술

관계(Relation)

명칭 명령어 내용
저자이다 writer 문헌과 저자, 문학작품과 등장인물 사이의 관계이다. 해당 문헌 혹은 문학작품을 지은 사람
수록하다 contains 작품과 문헌과의 관계이다. 문헌 속에 수록된 작품들
구성되다 isComposed 작품과 구성과의 관계이다. 작품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살피는 것이다.
부분이다 isMadeUp 구성과 사건과의 관계이다. 해당 구성에 어떠한 사건이 들어가 있는지를 살핀다.
포함되다 covers 행위와 사건과의 관계이다. 해당 사건에 어떤 행위가 들어가 있는지를 살핀다.
에서_일어나다 takesPlaceIn 행위와 장소와의 관계이다. 해당 행위가 어떤 장소에서 위치하는 지 살핀다.
에_위치하다 isLocateAt 장소와 장소 간의 관계이다.
등장한다 appears 등장인물과 행위 간의 관계이다.
들어가_있다 accommodates 문학작품과 행위 사이의 관계이다.
가지고_있다 includes 문학작품과 소재와의 관계이다.
언급하다 mentions 문학작품 속에서 장소, 인물 등이 언급되는 경우이다.
가지다 has 행위와 소재와의 관계이다. 행위 속에 어떠한 소재들이 나오는 지 살핀다.
묘사되다 isDescribed 소재와 등장인물 간의 관계이다. 등장인물을 묘사하는 말들이다.
속성을가지다 hasAttribute 각각의 노드들이 가지는 속성과 잇는 관계어이다.

속성(Attribute)

클래스 명칭 속성값 내용 설정이유
저자 chiname 한자 명 저자인 김시습, 구우에 대한 자료를 정리해두기 위해서 집어 넣은 값들이다.
alias 다른 이름 저자인 김시습, 구우에 대한 자료를 정리해두기 위해서 집어 넣은 값들이다.
sex 성별 저자인 김시습, 구우에 대한 자료를 정리해두기 위해서 집어 넣은 값들이다.
nationality 국적 저자인 김시습, 구우에 대한 자료를 정리해두기 위해서 집어 넣은 값들이다.
birthyear 생년 저자인 김시습, 구우에 대한 자료를 정리해두기 위해서 집어 넣은 값들이다.
deathyear 몰년 저자인 김시습, 구우에 대한 자료를 정리해두기 위해서 집어 넣은 값들이다.
middlename 저자인 김시습, 구우에 대한 자료를 정리해두기 위해서 집어 넣은 값들이다.
courtesyname 저자인 김시습, 구우에 대한 자료를 정리해두기 위해서 집어 넣은 값들이다.
문헌 chiname 한자명 문헌의 한자 명칭을 정리한 값이다.
작품 chiname 한자명 작품의 한자 명칭을 정리한 값이다.
구성 sort 분류 구성에 부여한 속성이다. 각각의 구성이 현실-꿈-현실 혹은 만남-이별 중에서 무엇에 속하는 지를 정리하고자 설정하였다.
행위 form 형태 해당 행위가 크게 어떠한 행동인지를 정리하였다. 행동, 대화, 묘사의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행동의 경우엔 해당 부분에서 행동을 하는 게 우세한 경우, 대화의 경우에는 대화가 우세한 경우, 묘사는 인물이 등장하지 않고 주변을 묘사한 경우이다.
sort 분류 행위에 대해서 크게 행동, 대화, 묘사로 구분하였는데, 해당 형태가 구체적으로 어떠한 양상인지를 정리한 것이다.
등장인물 chiname 한자명 해당 인물의 한자 명칭이다.
sex 성별 명시적으로 성별이 나타난 경우에만 m과 f 값을 부여하였다. 성별에 따라 하는 행동, 혹은 문학작품 속 소재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status 신분 해당 인물의 신분을 정리하였다. 대개 남자주인공들이 선비인 경우가 많지만, 상인이기도 하고, 혹은 등장인물과 대화하는 존재들이 임금일 때도 있고 하여, 그러한 것들을 정리해보았다.
dimension 출신 해당 인물이 현실출신인지, 저승이나 용궁 등 기타 다른 곳의 존재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sort 분류 가상인물과 실존인물로 정리하였는데, 전등신화에서는 실존인물을 작품 속에 슬쩍 집어 넣어 구성하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이다.
장소 chiname 한자명 장소의 한자 명칭이다.
sort 분류 현실의 장소인지, 아니면 현실이 아닌 장소인지를 분류하고자 정리하였다.
category 구분 분류에서 현실과 비현실을 구분하여 정리하였고, 구분에서는 해당 장소가 궁궐인지, 지역을 가리키는지 등을 정리하였다.
latitude 위도 현실 장소인 경우 이를 정리해두려고 하였다. 그러나 크게 의미가 없을 것 같아서 데이터를 다 집어넣지 않았다.
longitude 경도 현실 장소인 경우 이를 정리해두려고 하였다. 그러나 크게 의미가 없을 것 같아서 데이터를 다 집어넣지 않았다.
문학작품 chiname 한자명
sort 분류 문학작품의 문체들을 정리하였다. 어떠한 상황에서 어떠한 문체가 쓰였는지를 살피는 것도 비교할 수 있을 것 같았다.
orginText 원문 문학작품의 원문이다. 정리해두고자 설정하였다.
transText 번역문 문학작품의 번역문이다. 정리해두고자 설정하였다.
소재 chiname 한자명
category 구분 해당 소재의 큰 범위를 구분하고자 하였다. 해당 행위에서 해당 소재가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 지에 대해서 부여한 것이다.
sort 분류 크게 범위를 나눈 이후, 그 속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인지 살피고자 하였다. 예를 들어, '인용'으로 구분한 경우, 해당 문구가 시경의 구분인지, 주역의 인용 구절인지를 정리한 것이다.

데이터 샘플링

샘플 데이터 적용 네트워크 그래프

데이터 샘플링 결과 분석

전등신화-영호생명몽록과 금오신화-남염부주지를 데이터 샘플링을 해보았다.
영호생명몽록의 경우, 사건과 장소 등 큰 구조와, 도입부와 결말부 부분을 분석하였다.
남염부주지의 경우, 중반부에 박생이 불교에서 말하는 천당, 지옥, 천도재 등의 일을 물어보는 부분까지 분석하였다.
데이터 샘플링 결과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언급하다'의 세분화 필요성
현재 작품에서 질문과 답변 모두, 그 성격을 세분화하지 않고 '언급하다'라고 표현하였다.
그러나 자세히 살펴보면 질문하는 경우가 있고, 이에 대해서 답변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어떤 대상에 대해서 언급하는 경우에, 긍정적인 인식/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언급하다'라고 처리하였기 때문에 그 관계가 잘 보이지 않는다.
또한 지금은 질문하다/대답하다가 들어가지 않아서, 각각의 소재들에 대해서 모두 등장인물이 '언급하다'는 관계망을 설정하였다.
그러다 보니, 난잡해졌다. '질문하다/대답하다'라는 관계망을 설정한 이후에는 이를 정리하고자 한다.

2. 클래스 '저자' 변경 필요.
현재, 클래스 상으로 인물을 '저자'와 '등장인물' 두 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남염부주지의 대화를 살펴보다 보면, 역사인물을 언급하는 경우가 있다.
현재는 이를 단순히 '소재'로 정리하였으나, 이를 구별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클래스에서 '저자'를 '실존인물'로 변경하여, 작품 속에서 등장인물이 현실의 어떠한 인물을 언급하는지를 보이는 것으로 바꾸고자 한다.

3. 클래스 '공간'
현재 클래스 '장소'의 상위 요소로 클래스 '공간'을 설정하였다.
그러나 클래스 '장소'만 해당 요소를 사용하고 있다.
데이터 샘플링을 하다보니, 등장인물의 유형으로도 공통점을 설정할 수 있을 것 같고, 사건 또한 유형화할 수 있을 것 같다.
또한 현재 일리론의 문체인 論을 '소재'로 정리하였는데, 이 또한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영호생명몽록 초반부에서 오로의 말 중 '지전을 태우다'는 것은 남염부주지에 등장하는 '지전을 태워 염라를 만족시키다' 이것과 겹친다.
'공간'이라고 하기 보다는 '유형'이라고 하여, 좀 더 여러 곳에서 활용할 수 있는 클래스로 만들 수 있지 않을까 싶다.

4. 관계 '요소이다'
현재는 '행위와 사건 간의 관계, 혹은 소재와 소재 간의 관계'로 정리하였습니다.
남염부주지의 경우, 귀신과 관련해서 여, 매 등... 다양한 이야기를 합니다.
이를 단순히 '요소이다'라고 분리하기 보다는, '속하다'라고 관계를 지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5. 관계 '등장한다'
지금 이 관계는
인물이 사건이나 행위에 등장하는 경우(해당 사건에 속한 행위에 모두 등장하는 경우, 상위인 '사건'으로 연결함),
소재가 문학작품이나 행위에 등장하는 경우,
문학작품이 행위에 등장하는 경우이다.
의 세 가지 상황에서 사용하고 있는데, 이를 분리할 필요가 있다.


샘플링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정하였다.

연구 데이터

(내용 서술)

연구 결과

Cypher Query 작성

● 문제의식1: 등장인물이 지은 문학 작품에 등장하는 소재 중에서, 어떤 고사가 많이 사용되었는가?
질문 수정 : 이생(Character)이 지은 문학작품(Literature)에 등장하는 소재(Material) 중에서 고사(Catergory)들은 무엇인가?
○ 질의어(문제의식1) 작성
- 이생을 선택해서 출력 : match (a:Character {name:'이생'}) return a
- 인물이 작성한 문학작품을 출력 : match (a:Character) - [r:writer] -> (b:Literature) return a, r, b
- 문학작품에 등장하는 소재를 출력 : match (b:Literature) - [q:include] -> (c:Material) return b, q, c
- 소재 중에서 '고사'를 속성으로 가지는 것을 출력 : match (c:Material{category:'고사'}) return c
- 최종 정리 : match (a:Character {name:'이생'}) - [r:writer] -> (b:Literature) - [q:include] -> (c:Material{category:'고사'}) return c

● 문제의식2: 사건 중에서 대화 유형의 행위에서 나타나는, 책들을 인용한 소재들은 무엇인가?
질문 수정 : 사건(Event) 중에서 대화 유형의 행위(Action_2})에 나타나는 '시경'을 인용한 소재들(Material{sort'시경'})
○ 질의어(문제의식2) 작성
- 사건에 속하는 대화 유형의 행위를 출력 : match (a:Event) - [r:covers] -> (b:Action_2) return a, r, b
- 대화유형의 행위에 나타나는 소재를 출력 : match (b:Action_2) - [q:have] -> (c:Material) return b, q, c
- 소재 중에서 '시경'을 속성으로 가지는 것을 출력 : match (c:Material{sort:'시경'}) return c
- 최종정리 : match (a:Event) - [r:covers] -> (b:Action_2) - [q:have] -> (c:Material{sort:'시경'}) return c

● 문제의식3: 어떤 행위에서 등장하는 문학작품 중, 제재로 사용된 것들의 특징은 무엇인가?
질문 수정 : 행동 유형의 행위(Action_1)에 등장하는 칠언절구 문학작품(Literature{sort:'칠언절구'}) 중에서, 제재라는 속성을 가지는 소재들(Material{category:'제재'})을 본다.
○ 질의어(문제의식3) 작성
- 행동 유형의 행위에 등장하는 문학작품을 출력 : match (b:Action_1) - [q:accommodate] -> (c:Literature) return b, q, c
- 칠언절구를 속성으로 가지는 문학작품을 출력 : match (c:Literature{sort:'칠언절구'}) return c
- 문학작품에 등장하는 소재들을 출력 : match (b:Literature) - [q:include] -> (c:Material) return b, q, c
- '제재'를 속성으로 가지는 소재들을 출력 : match (c:Material{category:'제재'}) return c
- 최종 정리 : match (a:Action_1) - [r:accommodate] -> (b:Literature{sort:'칠언절구'}) - [q:include] -> (c:Material{category:'제재'}) return c


분석 결과

(내용 서술)

참고 자료

김수연 외 편역, 『금오신화 전등신화』, 미다스북스, 2010.
최용철 역, 『전등삼종(剪燈三種)』, 소명출판, 2012.
엄태식, 「한국 고전소설의 『전등신화』 수용 연구 -전기소설과 몽유록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제167집. 2014.

주석

  1. 엄태식, 「한국 고전소설의 『전등신화』 수용 연구 -전기소설과 몽유록을 중심으로-」, 동방학지 제167집. 2014. pp. 159 ~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