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TrendsForKoreanLiteratureInHanmun"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157번째 줄: | 157번째 줄: | ||
|- | |- | ||
| A03004 || [http://www.riss.kr/link?id=A19762237 朝鮮後期 御製 祭文의 規範性과 抒情性 : 肅宗·英組·正祖의 祭文을 中心으로 ] || 103-143<small>(41)</small> || 30 || 2002 || 이은영 | | A03004 || [http://www.riss.kr/link?id=A19762237 朝鮮後期 御製 祭文의 規範性과 抒情性 : 肅宗·英組·正祖의 祭文을 中心으로 ] || 103-143<small>(41)</small> || 30 || 2002 || 이은영 | ||
+ | |- | ||
+ | | A03005 || [http://www.riss.kr/link?id=A19762238 館閣文學의 槪念과 그 類型 및 特性 ] || 145-186<small>(42)</small> || 30 || 2002 || 신복호 | ||
+ | |- | ||
+ | | A03006 || [http://www.riss.kr/link?id=A19762239 金九容 詩의 淸淨 意象에 내포된 정신적 의미 ] || 187-219<small>(33)</small> || 30 || 2002 || 유호진 | ||
+ | |- | ||
+ | | A03007 || [http://www.riss.kr/link?id=A19762240 栗谷 李珥의 古文觀과 그 표현 특성 ] || 221-252<small>(32)</small> || 30 || 2002 || 홍학희 | ||
+ | |- | ||
+ | | A03008 || [http://www.riss.kr/link?id=A19762241 鳴皐 任鐄 詩 硏究 ] || 253-285<small>(33)</small> || 30 || 2002 || 이창호 | ||
+ | |- | ||
+ | | A03009 || [http://www.riss.kr/link?id=A19762242 조선후기 漢詩와 繪畵의 교섭 : 풍속화와 기속시를 중심으로 ] || 287-317<small>(31)</small> || 30 || 2002 || 강명관 | ||
+ | |- | ||
+ | | A03010 || [http://www.riss.kr/link?id=A19762243 조선후기 文學과 繪畵의 상호조명 : 상호 친연성 및 천기를 중심으로 ] || 319-351<small>(33)</small> || 30 || 2002 || 박수밀 | ||
+ | |- | ||
+ | | A03011 || [http://www.riss.kr/link?id=A19762244 傳奇小說의 전통과 『九雲夢』 ] || 353-379<small>(27)</small> || 30 || 2002 || 정길수 | ||
+ | |- | ||
+ | | A03012 || [http://www.riss.kr/link?id=A19762245 조선후기 바둑의 유행과 그 문학적 형상 ] || 381-407<small>(27)</small> || 30 || 2002 || 김윤조 | ||
+ | |- | ||
+ | | A03013 || [http://www.riss.kr/link?id=A19762246 成海應과 申綽의 考證的 詩經學 硏究 ] || 409-434<small>(26)</small> || 30 || 2002 || 이병찬 | ||
+ | |- | ||
+ | | A03014 || [http://www.riss.kr/link?id=A19762247 침계 윤정현의 문학활동 : 여항·서얼·서북지역 문인과의 교유를 중심으로 ] || 435-469<small>(35)</small> || 30 || 2002 || 김용태 | ||
|} | |} | ||
</font> | </font> | ||
</div> | </div> |
2022년 2월 3일 (목) 05:07 판
:최근 20년간의 『한국한문학연구』 게재 논문(2000-2021)을 중심으로
연구 개요
연구 데이터
논문 데이터
연번 | 논문명 | 수록면(쪽수) | 권호 | 발표연도 | 연구자 |
---|---|---|---|---|---|
A02501 | 원천석 한시 연구 | 007-042(36) | 25 | 2000 | 변종현 |
A02502 | 권벽 시 연구 : 유울의 삶과 독백의 시세계 | 043-077(35) | 25 | 2000 | 김창호 |
A02503 | 구용의 시세계 | 079-114(36) | 25 | 2000 | 김상일 |
A02504 | 『노가재연행일기 (老稼齋燕行日記)』 의 글쓰기 방식 :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 115-142(28) | 25 | 2000 | 김아리 |
A02505 | 서암 신정하의 문학론에 대한 연구 | 143-171(29) | 25 | 2000 | 강민구 |
A02506 | 『청구야담』 에 대한 문헌학적 연구 | 173-204(32) | 25 | 2000 | 임완혁 |
A02507 | 추사의 『동고문존 (東古文存)』에 대하여 | 205-232(28) | 25 | 2000 | 윤호진 |
A02508 | 『독서기 대학』을 통해 본 백호 윤휴의 경학사상 | 233-253(21) | 25 | 2000 | 이영호 |
A02509 | 정약용의 경학관과 경세학의 기저 : '공평사상'을 중심으로 | 255-286(32) | 25 | 2000 | 장병한 |
A02510 | 18세기 안산과 여주이씨가의 문학활동 : 『섬사편』을 중심으로 | 289-316(28) | 25 | 2000 | 박용만 |
A02511 | 18세기 안산의 풍광과 제영 : 시로 읽는 안산의 옛노래 | 317-365(49) | 25 | 2000 | 강경훈 |
A02512 | 강세황의 안산생활과 문예활동 : 유경종과의 교유를 중심으로 | 367-396(30) | 25 | 2000 | 정은진 |
A02513 | 해암 류경종의 시문학 연구 | 397-427(31) | 25 | 2000 | 김동준 |
A02601 | 주자와 이규보의 시어에 대하여 | 9-35(27) | 26 | 2000 | 김경수 |
A02602 | 이곡의 「영사시」연구 | 37-57(21) | 26 | 2000 | 박성규 |
A02603 | 『매월당시사유록』에 관한 고찰 | 59-85(27) | 26 | 2000 | 임형택 |
A02604 | 허난설헌의 또 하나의 중국 간행본 『취사원창』 | 87-113(27) | 26 | 2000 | 박현규 |
A02605 | 18 세기의 백두산과 그 문학 | 115-154(40) | 26 | 2000 | 진재교 |
A02606 | 이곡 시에 있어서의 반성적 시선과 자유에의 지향 | 157-187(31) | 26 | 2000 | 유호진 |
A02607 | 둔촌 이집 시의 품격 연구 | 189-212(24) | 26 | 2000 | 하정승 |
A02608 | 목은 시에 있어서 역리의 형상화 | 213-236(24) | 26 | 2000 | 정재철 |
A02609 | 조선 중기 사대부들의 지리산유람과 그 성향 | 237-270(34) | 26 | 2000 | 최석기 |
A02610 | 이수광 유선시의 환상과 초월 | 271-294(24) | 26 | 2000 | 강민경 |
A02611 | 「관내정사」의 ' 교직 ' 지법과 「호질」 | 295-324(30) | 26 | 2000 | 이강엽 |
A02612 | 실학파 문학관 일고찰 | 325-357(33) | 26 | 2000 | 송재소 |
A02613 | 18세기 회화론과 문학론의 접점 | 359-390(31) | 26 | 2000 | 박수밀 |
A02614 | 동문황의 『한객시존』과 한중문학교유 | 391-418(28) | 26 | 2000 | 김명호 |
A02615 | 조선의 매화시 | 419-449(31) | 26 | 2000 | 박혜숙 |
A02701 | 한시 분석의 틀로서 허 (虛)와 실 (實)의 문제 : 조선 전기 ' 누정시 ' 를 중심으로 | 5-30(26) | 27 | 2001 | 이종묵 |
A02702 | 한시 번역문체 연구 (1) : 한시 번역문체의 사적 검토 | 31-63(33) | 27 | 2001 | 고순희 |
A02703 | 금언체시 (禽言體詩) 연구 | 65-103(39) | 27 | 2001 | 정민 |
A02704 | 조선문사와 명사신의 수창 (酬唱)과 그 양상 | 105-137(33) | 27 | 2001 | 김덕수 |
A02705 | 황정욱(黃廷彧) 시에 나타난 대인(大人)의 인격이상 | 139-164(26) | 27 | 2001 | 신향림 |
A02706 | 차식의 『봉래록』 에 대하여 | 165-194(30) | 27 | 2001 | 정환국 |
A02707 | 수은 (睡隱) 강항 (姜沆)의 시적 상유와 그 의미 : 귀환 이후의 시작을 중심으로 | 195-226(32) | 27 | 2001 | 이혜순 |
A02708 | 우암 (尤菴)의 장기 유배생활 실상과 저작활동 | 227-257(31) | 27 | 2001 | 이민홍 |
A02709 | 노이점(盧以漸)의 『수사록』 에 관한 연구 : 『열하일기』 와 비교의 관점에서 | 259-302(44) | 27 | 2001 | 김동석 |
A02710 | 김정희 (金正喜) 문예이론의 인식론적 기반과 미학적 성격 | 303-334(32) | 27 | 2001 | 금동현 |
A02711 | 오효원 한시의 현실의식 및 여성정감의 특징 | 335-361(27) | 27 | 2001 | 이성호 |
A02801 | 우언 글쓰기와 원리와 적용 자료의 범위 연구 | 5-35(31) | 28 | 2001 | 윤주필 |
A02802 | 조선시대 유행 두시집 『 두율우주 』 의 문헌학적 연구 | 37-62(26) | 28 | 2001 | 이의강 |
A02803 | 『 정언묘선 』 의 풍격 연구 - 충담소산 , 한미청적 , 청신여락을 중심으로 - | 63-94(32) | 28 | 2001 | 정재철 |
A02804 | 조선후기 소품문의 성행과 글쓰기의 변모 | 95-121(27) | 28 | 2001 | 안대회 |
A02805 | 조선후기 " 천기론 " 의 개념 및 미학이념과 그 문예 , 사상사적 연관 | 123-146(24) | 28 | 2001 | 이동환 |
A02806 | 김도수 한시 연구 : 외척과 서얼의 이중적 자아 | 147-185(39) | 28 | 2001 | 김경숙 |
A02807 | 17 세기후반 사대부의 김시습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187-215(29) | 28 | 2001 | 이승수 |
A02808 | 박제가의 제의 시론 | 217-245(29) | 28 | 2001 | 정일남 |
A02809 | 정약용의 변 『 고문상서원사 』 에 대해서 | 247-288(42) | 28 | 2001 | 장병한 |
A02810 | 풍석 서유구와 『 번계시고 』 - 자료 소개를 겸하여 | 289-313(25) | 28 | 2001 | 조창록 |
A02811 | 『 기리총화 』 에 대한 일고찰 - 편찬자 확정과 후대 야담집과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 | 315-348(34) | 28 | 2001 | 김영진 |
A02901 | 특집 - 한국한문학의 미학적 특성과 전통 : 한문산문에서의 미학적 특성 - 그 전체적 이해를 위한 하나의 관견 | 7-40(34) | 29 | 2002 | 장원철 |
A02902 | 특집 - 한국한문학의 미학적 특성과 전통 : 한문소설의 미적 특성과 그 구현 양상에 대한 검토 - 초기 한문소설에서의 몇몇 국면을 중심으로 - | 41-73(33) | 29 | 2002 | 정출헌 |
A02903 | 특집 - 한국한문학의 미학적 특성과 전통 : 한문학 , 고지도 , 회화의 미적 교감 - 이조후기 문화사 이해의 한 국면 - | 74-118(44) | 29 | 2002 | 진재교 |
A02904 | 특집 - 한국한문학의 미학적 특성과 전통 : 조선시대 진환론의 전개 - 산수미와 산수화에 관한 담론 - | 119-148(30) | 29 | 2002 | 고연희 |
A02905 | 특집 - 한국한문학의 미학적 특성과 전통 : 국포 강박의 시학 - 18 세기 남인계열의 미적 동향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 149-177(29) | 29 | 2002 | 박무영 |
A02906 | 무한성의 추구와 무애미학 - 한국 불가시의 미학 전통 ( 1 ) - | 179-211(33) | 29 | 2002 | 이진오 |
A02907 | 서거정의 문장론 연구 | 213-255(43) | 29 | 2002 | 조영호 |
A02908 | 16 세기 호남 사대부 한시의 특성에 대한 일고찰 - 박상 , 임억령 , 고경명을 중심으로 - | 257-289(33) | 29 | 2002 | 박은숙 |
A02909 | 조선후기 인물기사의 전개와 그 성격 | 291-320(30) | 29 | 2002 | 정환국 |
A02910 | 유몽인의 명실론과 그 문학적 수용 | 321-354(34) | 29 | 2002 | 이월영 |
A02911 | 『 어우야담 (於于野譚) 』 의 비판적 정본 연구 | 355-408(54) | 29 | 2002 | 신익철, 이형대 |
A02912 | 박지원의 『 발승암기 (髮僧菴記) 』 연구 - 파격의 형식과 우의를 중심으로 | 409-432(24) | 29 | 2002 | 박경남 |
A02913 | 이옥 (李鈺)의 문학에서 " 남녀 진정 (眞情) " 과 " 열절 (烈節) " 의 문제 | 433-462(30) | 29 | 2002 | 이지양 |
A03001 | 조선후기 女性 墓主 墓誌銘의 문학성에 대한 연구 | 7-36(30) | 30 | 2002 | 강혜선 |
A03002 | 17세기 '祭亡室文'과 '祭亡女文' 연구 | 37-73(37) | 30 | 2002 | 황미선 |
A03003 | 碑誌文에 나타난 王과 王妃의 人物 形象 : 藏書閣 23冊本 『列聖誌狀通記』 所在 碑誌文을 중심으로 | 75-102(28) | 30 | 2002 | 허원기 |
A03004 | 朝鮮後期 御製 祭文의 規範性과 抒情性 : 肅宗·英組·正祖의 祭文을 中心으로 | 103-143(41) | 30 | 2002 | 이은영 |
A03005 | 館閣文學의 槪念과 그 類型 및 特性 | 145-186(42) | 30 | 2002 | 신복호 |
A03006 | 金九容 詩의 淸淨 意象에 내포된 정신적 의미 | 187-219(33) | 30 | 2002 | 유호진 |
A03007 | 栗谷 李珥의 古文觀과 그 표현 특성 | 221-252(32) | 30 | 2002 | 홍학희 |
A03008 | 鳴皐 任鐄 詩 硏究 | 253-285(33) | 30 | 2002 | 이창호 |
A03009 | 조선후기 漢詩와 繪畵의 교섭 : 풍속화와 기속시를 중심으로 | 287-317(31) | 30 | 2002 | 강명관 |
A03010 | 조선후기 文學과 繪畵의 상호조명 : 상호 친연성 및 천기를 중심으로 | 319-351(33) | 30 | 2002 | 박수밀 |
A03011 | 傳奇小說의 전통과 『九雲夢』 | 353-379(27) | 30 | 2002 | 정길수 |
A03012 | 조선후기 바둑의 유행과 그 문학적 형상 | 381-407(27) | 30 | 2002 | 김윤조 |
A03013 | 成海應과 申綽의 考證的 詩經學 硏究 | 409-434(26) | 30 | 2002 | 이병찬 |
A03014 | 침계 윤정현의 문학활동 : 여항·서얼·서북지역 문인과의 교유를 중심으로 | 435-469(35) | 30 | 2002 | 김용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