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xtualElementsInSihwa"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클래스(Class)) |
|||
37번째 줄: | 37번째 줄: | ||
{{NetworkGraph | title=지영원_KU_research.lst}} | {{NetworkGraph | title=지영원_KU_research.lst}} | ||
====클래스(Class)==== | ====클래스(Class)==== | ||
− | + | ||
+ | 시화 brown circle | ||
+ | 조목 violet circle | ||
+ | 주제 cyan circle | ||
+ | 삽입시 red circle | ||
+ | 논평 purple circle | ||
+ | 평어 navy circle | ||
+ | 문헌 orange circle | ||
+ | 인물 blue circle | ||
+ | 공간 green circle | ||
+ | |||
+ | 속성 gray circle | ||
+ | |||
====관계(Relation)==== | ====관계(Relation)==== | ||
(내용 서술) | (내용 서술) |
2021년 4월 27일 (화) 02:50 판
목차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여말선초 한국 시화에서 나타나는 텍스트의 문맥적인 요소를 조사하고 관련 정보를 시각화하여 여러 가지 맥락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화는 비평의 계승관계가 뚜렷하게 부각되는 장르로, 주요 시화집을 살펴보면 같은 사건이나 인물, 장소에 대해 논의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다. 따라서 시화집 한두 편을 넘어서 시화집 일반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시화집 간의 맥락적인 정보가 필수적으로 요구되는데, 기존의 시화집 단위에 치중된 논의 방식은 관련 자료를 전체적으로 취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시화집 이상의 단위를 논의할 때 연구자의 역량과 관계없이 논리적인 비약이 수반되곤 하였다. 시화에서 논의되고 있는 여러 사건, 인물, 장소 등에 대한 관계 정보를 제공하여 이러한 난점을 해결하고, 장기적으로 시화 장르를 전체적으로 조망하는 방향성을 가진 연구의 원천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연구 대상
대상서적 | 저자 | 상세내용 |
---|---|---|
파한집 | 이인로 | 1220년(고종 7년) 지어진 우리나라 최초의 시화집이다. |
보한집 | 최자 | 1254년(고종 41년) 지어진 시화집으로, 파한집을 보충하는 속편의 형식으로 제작되었다. |
역옹패설 | 이제현 | 1342년(충혜왕 3년) 지어진 시화집으로, 전집은 역사서의 성향을, 후집은 시화서의 경향을 띠고 있다. |
동인시화 | 서거정 | 1474년(성종 5년) 지어진 시화집으로, 잡다한 내용이 포함되지 않은 우리나라 최초의 순수 시화집이다. |
연구 방법
온톨로지 설계
온톨로지 다이어그램
클래스(Class)
시화 brown circle 조목 violet circle 주제 cyan circle 삽입시 red circle 논평 purple circle 평어 navy circle 문헌 orange circle 인물 blue circle 공간 green circle
속성 gray circle
관계(Relation)
(내용 서술)
속성(Attribute)
(내용 서술)
데이터 샘플링
샘플 데이터 적용 네트워크 그래프
데이터 샘플링 결과 분석
(내용 서술)
연구 데이터
(내용 서술)
연구 결과
(내용 서술)
참고 자료
(내용 서술)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