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O Say Can You Se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64번째 줄: 64번째 줄:
  
  
1. 연구 대상 및 방법  
+
<div style="text-align:justisfy;">1. 연구 대상 및 방법  
  
<font color="red">'O Say Can You See : Early Washington, Dc Law and Family'</font> 는 1800년~1862년 사이 컬럼비아 특별지구 순회 법원에 자유 청원을 제출한  
+
<font color="red">'O Say Can You See : Early Washington, Dc Law and Family'</font> 는 1800년~1862년 사이 컬럼비아 특별지구 순회 법원에 자유 청원을 제출한 초기 워싱턴 DC
  
초기 워싱턴 DC <font color="red">흑인 노예들의 소셜 네트워크</font>를 살펴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즉 국가 형성 및 노예 제도를 소셜 네트워크라는 분석적 틀을 통해 통찰한다.
+
<font color="red">흑인 노예들의 소셜 네트워크</font>를 살펴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네브래스카 링컨 대학교 인문학 디지털 연구원과 메릴랜드 대학교 메릴랜드 인문 기술 연구소가
  
네브래스카 링컨 대학교 인문학 디지털 연구원과 메릴랜드 대학교 메릴랜드 인문 기술 연구소가 노예 가족들이 제기 한 4,000개 이상의 파일을 수집하여 이를  
+
노예 가족들이 제기 한 4,000개 이상의 파일을 수집하여 이를 디지털화된 방식으로 접근 가능하게 만들어 분석하였다. 대상은 초기 워싱턴 DC의 다세대 흑인,
  
디지털화된 방식으로 접근 가능하게 만들어 분석하였다. 대상은 초기 워싱턴 DC의 다세대 흑인, 백인 및 혼혈 가족이다.
+
백인 및 혼혈 가족이다. 법적 기록에 이름이 지정된 모든 개인 간의 관계를 문서화 및 추론하여, 각 개인에 대한 소셜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
 
 +
노예와 자유의 관계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자유 소송에서 가시적인 연결을 시도하였으며 DC 순회 법원 사건 문서 및 기타 기록을 사용하여 각 자유 소송 참가자의 상황을 재구성했다.
  
 
이 사이트를 통해 초기 워싱턴 DC의 흑인 노예 및 그들과 관련된 사람들의 (미국 노예 제도의 법적 역사와 소송과 관련된 흑인 노예 가족, 법률가, 판사 등 )  
 
이 사이트를 통해 초기 워싱턴 DC의 흑인 노예 및 그들과 관련된 사람들의 (미국 노예 제도의 법적 역사와 소송과 관련된 흑인 노예 가족, 법률가, 판사 등 )  
82번째 줄: 84번째 줄:
 
* 실제 자료는 컬럼비아 특별구 순회 법원 기록은 현재 워싱턴 DC에있는 국립 문서 보관소에 있다. Papers, 1802-63,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Alexandria 세션에서 법원에서 제기 된 사건은 리치몬드의 버지니아 도서관에 있다.순회 법원 회의록은 1801–1863 컬럼비아 특별구 순회 법원 회의록 (National Archives Microfilm Publication M1021)에 있는 마이크로 필름으로 재현되었다.관련 사건은 메릴랜드 주 아나 폴리스에있는 메릴랜드 주 기록 보관소에 보관 된 웨스턴 쇼어 일반 법원, 항소 법원, 찰스 카운티 법원 및 프린스 조지 카운티 법원의 기록에서 가져왔다.
 
* 실제 자료는 컬럼비아 특별구 순회 법원 기록은 현재 워싱턴 DC에있는 국립 문서 보관소에 있다. Papers, 1802-63,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Alexandria 세션에서 법원에서 제기 된 사건은 리치몬드의 버지니아 도서관에 있다.순회 법원 회의록은 1801–1863 컬럼비아 특별구 순회 법원 회의록 (National Archives Microfilm Publication M1021)에 있는 마이크로 필름으로 재현되었다.관련 사건은 메릴랜드 주 아나 폴리스에있는 메릴랜드 주 기록 보관소에 보관 된 웨스턴 쇼어 일반 법원, 항소 법원, 찰스 카운티 법원 및 프린스 조지 카운티 법원의 기록에서 가져왔다.
  
* 각 인물들에 나타난 신상 내역 및 인물 관계 정보는 법원 기록들을 토대로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현존하는 손글씨로 쓴 읽기 어려운 자료, 손상된 부분, 문법 오류 등의 자료들은 추가 연구를 통해 보완하였다.
+
* 각 인물들에 나타난 신상 내역 및 인물 관계 정보는 법원 기록들을 토대로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현존하는 손글씨로 쓴 읽기 어려운 자료, 손상된 부분, 문법 오류 등의 자료들은 추가 연구를 통해 보완하였다.</div>
  
 
=='''When & Where 언제 & 어디서'''==
 
=='''When & Where 언제 & 어디서'''==

2020년 9월 24일 (목) 03:38 판

Main.jpg

♦ 미국 국가 : The Star Spangled Banner_첫 소절 "O say can you see"

Prologue 프롤로그

Life.jpg
Abolition.png













미국 컬럼비아 특별 지구[1] 노예 제도 폐지에 관하여 [2]

  • 1850년 이전 : 노예 우리, 노예 감옥, 노예 경매장
  • 1828년 존 퀸시 애덤즈(John Quincy Adams)등의 지도자들의 노예제도 종식 요청
  • 1862년 4월 16일 링컨의 컬럼비아 특별 지구 노예제도 폐지에 관한 법률 서명

What 무엇을

Washingtondc.jpg
Letter.jpg













1. 연구 대상 및 방법

'O Say Can You See : Early Washington, Dc Law and Family' 는 1800년~1862년 사이 컬럼비아 특별지구 순회 법원에 자유 청원을 제출한 초기 워싱턴 DC

흑인 노예들의 소셜 네트워크를 살펴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네브래스카 링컨 대학교 인문학 디지털 연구원과 메릴랜드 대학교 메릴랜드 인문 기술 연구소가

노예 가족들이 제기 한 4,000개 이상의 파일을 수집하여 이를 디지털화된 방식으로 접근 가능하게 만들어 분석하였다. 대상은 초기 워싱턴 DC의 다세대 흑인,

백인 및 혼혈 가족이다. 법적 기록에 이름이 지정된 모든 개인 간의 관계를 문서화 및 추론하여, 각 개인에 대한 소셜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노예와 자유의 관계 네트워크를 포함하여 자유 소송에서 가시적인 연결을 시도하였으며 DC 순회 법원 사건 문서 및 기타 기록을 사용하여 각 자유 소송 참가자의 상황을 재구성했다.

이 사이트를 통해 초기 워싱턴 DC의 흑인 노예 및 그들과 관련된 사람들의 (미국 노예 제도의 법적 역사와 소송과 관련된 흑인 노예 가족, 법률가, 판사 등 )

디지털화된 다세대 가족 네트워크를 통해 자유를 향한 갈망과 도전을 살펴 볼 수 있을 것이다.


2. 자료

  • 실제 자료는 컬럼비아 특별구 순회 법원 기록은 현재 워싱턴 DC에있는 국립 문서 보관소에 있다. Papers, 1802-63,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Alexandria 세션에서 법원에서 제기 된 사건은 리치몬드의 버지니아 도서관에 있다.순회 법원 회의록은 1801–1863 컬럼비아 특별구 순회 법원 회의록 (National Archives Microfilm Publication M1021)에 있는 마이크로 필름으로 재현되었다.관련 사건은 메릴랜드 주 아나 폴리스에있는 메릴랜드 주 기록 보관소에 보관 된 웨스턴 쇼어 일반 법원, 항소 법원, 찰스 카운티 법원 및 프린스 조지 카운티 법원의 기록에서 가져왔다.
  • 각 인물들에 나타난 신상 내역 및 인물 관계 정보는 법원 기록들을 토대로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현존하는 손글씨로 쓴 읽기 어려운 자료, 손상된 부분, 문법 오류 등의 자료들은 추가 연구를 통해 보완하였다.

When & Where 언제 & 어디서

Project Period


Mar 2013 – Feb 2015


Funding&Support


Funding.png


지도를 불러오는 중...

Who 누가

Project Participants

위쪽 윌리엄 G. 토마스 3 세(William G. Thomas III ),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UNL)

• 네브라스카 대학의 인문학, 역사학 교수

• 연구 분야 : 디지털 인문학, 디지털 역사, 19 세기 미국 역사, 남북 전쟁, 노예 제도, 법률 역사


위쪽 제니퍼 길리아노(Jennifer Guiliano), Indiana University

• 역사 부교수, 아메리칸 인디언 프로그램, 미국학 겸임 부교수

• 연구 분야 : 아메리칸 인디언 프로그램, 미국 연구, 역사. 공공 역사


위쪽 트레버 무뇨즈 (Trevor Muñoz), Maryland Institute for Technology in the Humanities (MITH)

• 메릴랜드대학교 디지털인문학연구원 (MITH), 원장

• 데이터 큐레이션에 대한 인문학 접근 방식과 학제 간 연구 협력의 설계 연구, 디지털 인문학 작업 컨설팅


Project Staff


위쪽 캐시 내시 (Kaci Nash),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UNL) : 프로젝트 관리자 , 연구원

• UNL 디지털인문학연구원, 연구원

• 아카이브 연구, 문서 전사, 웹 디자인 및 디지털 텍스트 인코딩


위쪽 라우라 위클리 (Laura Weakly),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UNL) : 메타 데이터 인코딩 전문가

• UNL 디지털인문학연구원, 메타 데이터 인코딩 전문가

• 온라인 학술 프로젝트 인코딩


위쪽 캐린 달지엘 (Karin Dalziel),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UNL) : 디지털 디자인 및 개발 전문가

• UNL 디지털인문학연구원, 디지털 개발 관리자, 디자이너

• 디자인, 웹 표준, 인코딩 시스템 및 XSLT


위쪽 제시카 듀썰트 (Jessica Dussault ),University of Nebraska–Lincoln (UNL) : 프로그래머

• UNL 디지털인문학연구원, 프로그래머, 분석가 II

• 사이트 구축, 설계


Project Contributors


개일 블랜 (Gail Blankenau), 계보 학자

키스텐 케이스터 (Kirsten Keister) MITH, 로고 디자이너

제레미아 바우어 (Jeremiah Bauer) UNL, 가상 회의 프로젝트 관리자

패트릭 호렌 (Patrick Hoehne) UNL, GIS 전문가


Research Assistants


엘리자베스 애스크 렌 (Elizabeth Askren)

사만다 브라이언트 (Samantha Bryant)

스테파니 카메론 (Stephanie Camerone)

마이클 딕 (Michael Dick)

크리스티 하이 먼 (Christy Hyman)

데릭 라이닝 거 (Derek Leininger)

카일리 맥코믹 (Kylie McCormick)

데이비드 맥 마이클 (David McMichael)

애슐리 토울 (Ashley Towle)

How 어떻게

Why 왜

Comment 논평

No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