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황순원의생애와주변인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29번째 줄: 29번째 줄:
  
 
1. 「옛 사랑으로 돌아오라」 출간(1997.09.05.)
 
1. 「옛 사랑으로 돌아오라」 출간(1997.09.05.)
 +
 +
 +
[[파일:옛사랑.jpg|200px]]
  
 
「옛 사랑으로 돌아오라」는 황순원과 제자들인 경희대 국문과 출신 작가들이 네가지 테마별 작품을 엮은 소설집이다. 「소리 그림자」, 「잃어버린 사람들」 등 원로문인의 작품과 해설을 싣고 전상국, 조세희, 고원정, 박덕규, 김형경, 서하진 등 작가들의 작품 1편씩과 간략한 해설을 덧붙였다.
 
「옛 사랑으로 돌아오라」는 황순원과 제자들인 경희대 국문과 출신 작가들이 네가지 테마별 작품을 엮은 소설집이다. 「소리 그림자」, 「잃어버린 사람들」 등 원로문인의 작품과 해설을 싣고 전상국, 조세희, 고원정, 박덕규, 김형경, 서하진 등 작가들의 작품 1편씩과 간략한 해설을 덧붙였다.
39번째 줄: 42번째 줄:
  
 
2. 「소년, 소녀를 만나다」 출간(2016.05.27.)
 
2. 「소년, 소녀를 만나다」 출간(2016.05.27.)
 +
 +
 +
[[파일:소년소녀.jpg|200px]]
  
 
2015년은 1915년에 태어난 작가 황순원의 탄생 100주기였다. 이를 기념해 황순원 오마주 「소나기」 이어쓰기 사업이 열렸다. 양평에 위치한 황순원문학촌 소나기마을에서 주최한 행사로, 작가 황순원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은 제자 작가 5인의 「소나기」 속편을 『대산문화』(대산문화재단)에 싣는 것으로 시작해, 황순원이 23년 6개월 동안 재직했던 경희대학교 출신 젊은 작가 4인도 「소나기」 속편을 소나기마을 소식지 『소나기마을』에 발표하였다. 60여 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그 감동을 고스란히 잇는 아홉 편의 작품은 독자들을 「소나기」의 풋풋하고도 가슴 저리는 첫사랑, 그 후의 세계로 안내했다. 그리고 이 뜻깊은 결실을 모아 황순원문학촌 촌장이자 문학평론가 김종회의 책임편집으로 『소년, 소녀를 만나다―황순원의 「소나기」 이어쓰기』가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2015년은 1915년에 태어난 작가 황순원의 탄생 100주기였다. 이를 기념해 황순원 오마주 「소나기」 이어쓰기 사업이 열렸다. 양평에 위치한 황순원문학촌 소나기마을에서 주최한 행사로, 작가 황순원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은 제자 작가 5인의 「소나기」 속편을 『대산문화』(대산문화재단)에 싣는 것으로 시작해, 황순원이 23년 6개월 동안 재직했던 경희대학교 출신 젊은 작가 4인도 「소나기」 속편을 소나기마을 소식지 『소나기마을』에 발표하였다. 60여 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그 감동을 고스란히 잇는 아홉 편의 작품은 독자들을 「소나기」의 풋풋하고도 가슴 저리는 첫사랑, 그 후의 세계로 안내했다. 그리고 이 뜻깊은 결실을 모아 황순원문학촌 촌장이자 문학평론가 김종회의 책임편집으로 『소년, 소녀를 만나다―황순원의 「소나기」 이어쓰기』가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2020년 6월 16일 (화) 12:35 판

개요

황순원은 1915년 3월 26일 평안남도 대동군에서 태어나 1934년 평양 숭실중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한국에 있다가 1934년에 일본으로 건너간다. 이후 1939년 와세다대학을 졸업할 때까지 일본에 머무르다 귀국하여 대동군 재경면 빙장리 등에서 작품활동을 하며 지내다가 1946년 월남하였다. 이후 경희대 문리대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되었으며, 1957년 예술원 회원이 되었다. 1970년대경 전국소설가협회에서 가입을 권유하나 문학단체가 생리에도 맞지 않을 뿐더러 더구나 이름만 걸어 놓는 고문 직은 의미가 없다는 이유로 거절하여 직접적인 관계보다는 간접적인 관계를 가진다.[1]이후 1980년 경희대학교에서 정년퇴임하였으며, 2000년 9월 14일 향년 86세로 별세하였다.[2]


위 황순원의 생애는 특히 초기에 한국-일본유학-귀국-월남의 과정을 거친 부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본으로의 유학, 특히 향후 공산국가인 북한에서 남한으로 월남한 과거는 황순원의 정체성과 삶에 큰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황순원 삶의 궤적상 시간순서에 따라 정리하여 황순원이 시기별로 만난 주변인물과 그에 따른 정체성 변화를 살펴보기로 하였다.

한국 거주(1915~1934)

일본 유학(1934~1939)

월남 후(1946~)

경희대학교(1957~1980)

황순원은 1957년부터 경희대학교에 부임하여 문학적인 분위기와 비교적 안정된 생활을 확보한 상태에서 더욱 왕성한 작품활동을 한다. 그 해에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으로 선임되었고, 스스로의 다산의 창작과 그 성취를 기반으로, 그것에 대한 사회적 예우가 얹어지는 가운데서 수많은 문인 제자들을 길러낼 수 있었던 시기가 이때로부터 열렸다. 경희대학교에서는 특별한 보직 없는 평교사로 23년 6개월을 봉직하고 또 말년까지 계속 명예교수로 있었다.


  • "소설가로 충분하다."

황순원은 경희대 재직 시절 대학 측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제의했으나 “소설가로 충분하다”며 거절했다. 세속에 대한 잡다한 관심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일기를 쓰지 않았던 황순원은 신문 연재소설 청탁을 거절했으며, 어떤 대담 요청도 따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일체의 잡문도 쓰지 않았다. 이 시기 황순원은 단편집 『잃어버린 사람들』과 『너와 나만의 시간』, 『탈』, 장편 『나무들 비탈에 서다』, 『움직이는 성』,『신들의 주사위』 등을 발표하며 활발한 작품 활동을 이어갔다.


  • 제자들에 대한 태도

황순원은 수많은 제자를 키워냈으나 결코 인정에 끌리지 않았다. 일간지 신춘문예 소설부문 심사를 맡아오면서도 제자의 작품이 최종심에 오르면 다른 심사위원에게 최종 결정을 맡겼다. 문하에서는 소설가 전상국ㆍ조세희ㆍ조해일ㆍ김용성ㆍ한수산ㆍ고원정ㆍ박덕규ㆍ김형경, 시인 박리도ㆍ이성부ㆍ정호승, 방송작가 신봉승ㆍ김정수, 수필가 서정범 등이 배출됐다. ‘제자 군단’은 80년대부터 스승을 모시고 ‘보신탕 모임’을 정기적으로 가져왔다. 이호철ㆍ서기원ㆍ최인호ㆍ김지원ㆍ김채원 등은 그의 추천을 거쳐 데뷔했다.


  • 제자들과의 교류


1. 「옛 사랑으로 돌아오라」 출간(1997.09.05.)


옛사랑.jpg

「옛 사랑으로 돌아오라」는 황순원과 제자들인 경희대 국문과 출신 작가들이 네가지 테마별 작품을 엮은 소설집이다. 「소리 그림자」, 「잃어버린 사람들」 등 원로문인의 작품과 해설을 싣고 전상국, 조세희, 고원정, 박덕규, 김형경, 서하진 등 작가들의 작품 1편씩과 간략한 해설을 덧붙였다.


이제 우리가 한 권의 책을 낸다면, 과연 어떤 책이라야 어울릴 것인가? 우리들 만남의 중심에 선생이 계시고, 그리고 문학이 있으니, 양자를 모나지 않게 아우르면서, 우리에게도 남에게도 모두 도움이 될 그런 책이 되어야 할 것이 아닌가? 선생과 우리가 스승과 제자 사이, 선배와 후배 사이라면, 특히 우리 다음의 세대와도 멋지게 연계될 책이 되는 게 좋지 않을까? - 「옛 사랑으로 돌아오라」 中


2. 「소년, 소녀를 만나다」 출간(2016.05.27.)


소년소녀.jpg

2015년은 1915년에 태어난 작가 황순원의 탄생 100주기였다. 이를 기념해 황순원 오마주 「소나기」 이어쓰기 사업이 열렸다. 양평에 위치한 황순원문학촌 소나기마을에서 주최한 행사로, 작가 황순원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은 제자 작가 5인의 「소나기」 속편을 『대산문화』(대산문화재단)에 싣는 것으로 시작해, 황순원이 23년 6개월 동안 재직했던 경희대학교 출신 젊은 작가 4인도 「소나기」 속편을 소나기마을 소식지 『소나기마을』에 발표하였다. 60여 년의 시간을 뛰어넘어 그 감동을 고스란히 잇는 아홉 편의 작품은 독자들을 「소나기」의 풋풋하고도 가슴 저리는 첫사랑, 그 후의 세계로 안내했다. 그리고 이 뜻깊은 결실을 모아 황순원문학촌 촌장이자 문학평론가 김종회의 책임편집으로 『소년, 소녀를 만나다―황순원의 「소나기」 이어쓰기』가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되었다.


참조

  1. 황순원과 소설가협회 중앙SUNDAY 기사 참조.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