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위

"SKLDC(2023)Research5"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클래스(Class))
(속성(Attributes))
93번째 줄: 93번째 줄:
 
====속성(Attributes)====
 
====속성(Attributes)====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 속성(name) || 설명(description) || 예시
+
! id || name || korname || chiname
 
|-
 
|-
| 생년(birthYear) || 특정 인물의 생년을 기록하기 위한 속성. 네 자리 숫자의 연도를 입력.  || 1948년
+
| PM001 || 성시전도시_김희순 || 성시전도 || 城市全圖
 +
|-
 +
| PM002 || 성시전도시_박제가 || 성시전도응령 || 城市全圖應令
 +
|-
 +
| PM003 || 성시전도시_서유구 || 성시전도_시권 || 城市全圖 試券
 +
|-
 +
| PM004 || 성시전도시_신관호 || 봉화_금직제신성시전도응제백운 || 奉和_禁直諸臣城市全圖應制百韵
 +
|-
 +
| PM005 || 성시전도시_신광하 || 어제어비_성시전도_칠언백운고시_초시장원_친시어고서하유성화삼자 || 御題御批_城市全圖_七言百韵古詩_初試壯元_親試御考書下有聲畵三字
 +
|-
 +
| PM006 || 성시전도시_신택권 || 성시전도_의응제_백운고시 || 城市全圖_擬應製_百韵古詩
 +
|-
 +
| PM007 || 성시전도시_유득공 || 성시전도응제_어평도시화_춘성유기 || 城市全圖應製_御評都是畵_春城遊記
 +
|-
 +
| PM008 || 성시전도시_이덕무 || 성시전도_칠언고시백운 || 城市全圖_七言古詩百韻
 +
|-
 +
| PM009 || 성시전도시_이만수 || 성시전도백운_문신응제 || 城市全圖百韻_文臣應製
 +
|-
 +
| PM010 || 성시전도시_이집두 || 성시전도_칠언백운고시_가선대부전행승정원우승지신이집두제진 || 城市全圖_七言百韵古詩_嘉善大夫前行承政院右承旨臣李集斗製進
 +
|-
 +
| PM011 || 성시전도시_이학규 || 성시전도_일백운 || 城市全圖_一百韻
 +
|-
 +
| PM012 || 성시전도시_이희갑 || 성시전도_백운 || 城市全圖_百韵
 +
|-
 +
| PM013 || 성시전도시_정동간 || 성시전도_칠언백운고시_임자오월병조정랑시 || 城市全圖_七言百韵古詩_壬子五月兵曹正郞時
 
|-
 
|-
 
|}
 
|}

2023년 5월 3일 (수) 14:04 판

한문학데이터큐레이션(2023) 강의 페이지로 가기


성시전도시에 활용된 전고에 관찬 고찰

-부제-




목차

Contents


연구목적 연구대상 연구방법 연구데이터 연구결과 연구소감 참고자료



연구 목적


본 데이터셋 구축의 목적은 18세기 城市全圖詩 13종을 대상으로 하여, 활용된 전고의 출처와 맥락을 분석함으로서 성시전도시에 전고를 활용한 목적과 그 효과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고가 經書, 史書, 諸子書, 賦, 詩, 散文 등의 분류에서 어디에 위치하는가를 밝히고, 그것이 활용된 문맥을 아울러 살펴서 전고의 유형과 성시전도시의 맥락 사이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조명할 것이다. 나아가 성시전도시의 저자가 전고를 본래의 맥락대로 사용하였는지, 혹 변용하였는지의 여부까지 살필 수 있다면 성시전도시에서 전고를 사용한 저자의 의도를 보다 뚜렷하게 고찰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대상


성시전도시 13종에 직,간접적으로 인용된 경서, 역사서, 제자서, (문집), 시, 부, 산문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우선 서적에 인용된 문구를 한시의 형식에 맞게 변형한 것을 기본으로 하되, 서적의 명칭 혹은 편명만 인용된 경우라도 저자가 뚜렷한 목적의식을 가지고 활용하였기에 본 데이터셋의 연구대상으로 포함시켰다.

經書: 周禮, 禮記, 書經, 周易, 春秋左氏傳, 孟子 史書: 漢書(班固), 吳錄(張勃), 後漢書, 晉書 諸子書: 莊子, 道德經 詩: 秋興(杜甫), 上韋左相二十韻(杜甫), 長安古意(盧照隣) 賦: 朝鮮賦(董越), 兩都賦(班固), 華山賦(楊敬之), 散文: 進學解(韓愈) 기타: 帝京景物略, 急就篇, 山海經, 朝鮮紀事, 鷄林類事, 宣和奉使高麗圖經, 淸明上河圖, 王會圖

각 성시전도시별 데이터 수를 제시하자면 아래와 같다.

이덕무 城市全圖七言古詩百韻: 16건 박제가 城市全圖應令: 15건 신택권 城市全圖 擬應製 百韻古詩: 10건

편당 최소 10건 이상의 전고가 활용된 것으로 파악되어, 13종 전부를 파악한다면 총 130~150건의 데이터가 확보될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 방법


지시 대상ex)성곽 등 대상이 분명/추상적 대상과 그 의미를 분석. 한단계 더 들어가서. 노드를 하나 더 개설.





데이터 샘플링


데이터 샘플링 그래프 편집 페이지로 가기
 → 데이터 샘플링 그래프 전체 화면으로 보기

그래프 전체 화면으로 보기


클래스(Class)

명칭(name) 설명(description)
Poem 성시전도시 13종을 설명하기 위한 클래스


관계(Relation)

관계정의 관계어(name) 설명(description)
수록하다 contains 문집과 작품의 포함 관계를 나타냄


속성(Attributes)

id name korname chiname
PM001 성시전도시_김희순 성시전도 城市全圖
PM002 성시전도시_박제가 성시전도응령 城市全圖應令
PM003 성시전도시_서유구 성시전도_시권 城市全圖 試券
PM004 성시전도시_신관호 봉화_금직제신성시전도응제백운 奉和_禁直諸臣城市全圖應制百韵
PM005 성시전도시_신광하 어제어비_성시전도_칠언백운고시_초시장원_친시어고서하유성화삼자 御題御批_城市全圖_七言百韵古詩_初試壯元_親試御考書下有聲畵三字
PM006 성시전도시_신택권 성시전도_의응제_백운고시 城市全圖_擬應製_百韵古詩
PM007 성시전도시_유득공 성시전도응제_어평도시화_춘성유기 城市全圖應製_御評都是畵_春城遊記
PM008 성시전도시_이덕무 성시전도_칠언고시백운 城市全圖_七言古詩百韻
PM009 성시전도시_이만수 성시전도백운_문신응제 城市全圖百韻_文臣應製
PM010 성시전도시_이집두 성시전도_칠언백운고시_가선대부전행승정원우승지신이집두제진 城市全圖_七言百韵古詩_嘉善大夫前行承政院右承旨臣李集斗製進
PM011 성시전도시_이학규 성시전도_일백운 城市全圖_一百韻
PM012 성시전도시_이희갑 성시전도_백운 城市全圖_百韵
PM013 성시전도시_정동간 성시전도_칠언백운고시_임자오월병조정랑시 城市全圖_七言百韵古詩_壬子五月兵曹正郞時


연구 데이터


데이터 수집 방법

(수집방법에 관해 서술)

데이터 목록

(추후 구글 시트에 정리)



연구 결과


(데이터 분석 내용에 관해 서술)

연구 소감


(연구를 진행한 소감에 관해 서술)

참고 자료


(참고자료가 있을 경우, 여기에 목록으로 정리)


주석